미 ‘상호관세’ 3일 발표
이번엔 암표 거래 제한…트럼프, 연일 행정명령 사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대선 때 그를 적극 지지한 가수 키드 록이 지켜보는 가운데 암표 거래를 제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동맹국 한·일, 중국과 밀착 가능성에…트럼프 “우려 안 해”
백악관 “이제는 상호주의 시간”…각국·업계 대응책 부심
세계 각국을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많은 나라가 이를 피해가기 어려울 것이라는 뜻을 거듭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어쩌면 내일(1일) 밤 또는 아마 수요일(2일)에 (상호관세 발표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세율과 관련해선 “그들(다른 나라)이 우리한테 무엇을 부과하든 우리도 부과하겠지만, 우리는 그들보다 관대하다”면서 “그들이 우리한테 부과한 관세보다는 숫자(관세율)가 낮을 것이고, 어떤 경우에는 훨씬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동영상 플랫폼 틱톡과 관련한 협상을 대중국 관세 협상과 연계하느냐는 질문에는 “아니다. 하지만 그럴 수도 있겠다. 알다시피 난 관세를 여러 다른 이유로 사용해왔다”고 답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정부가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는 데 협조하면 대중 관세를 인하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이날 회견에선 지난달 30일 한·중·일 경제통상장관이 만나 협력을 확대하기로 한 것에 관한 질문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가 미국의 동맹인 한국·일본을 중국과 더 협력하게 할 가능성을 우려하냐고 취재진이 묻자 “우려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2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전체 각료들이 참석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레빗 대변인은 다른 나라가 관세를 면제받기 위해 할 수 있는 게 있냐는 질문에 “이 나라들은 너무 오랫동안 우리 나라를 갈취해왔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유럽연합(EU)의 50% 유제품 관세, 일본의 700% 쌀 관세, 인도의 100% 농산물 관세, 캐나다의 300% 버터·치즈 관세 등을 ‘불공정 무역 사례’로 나열했다.
그는 “지난 수십년간 이런 관세가 미국 제품을 수출하는 것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들고, 많은 미국인이 폐업하고 일자리를 잃게 했다. 이제는 상호주의의 시간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 단위의 관세 면제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레빗 대변인은 호주처럼 대미 관세가 없지만 비관세 장벽이 있는 나라도 상호관세 부과를 예상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미국인을 불공정하게 대우한 모든 국가는 관세를 예상해야 한다”고 답했다.
각국 정부와 업계는 상호관세 발표를 예의주시하면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유럽연합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단호하게 대처하겠지만 협상에도 열려있다고 말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국내 산업·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철저하게 조사해 필요한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면서 “일본을 제외해달라고 계속해서 미국에 강하게 요구하겠다”고 했다.
미국 자동차 제조사 포드, 제너럴모터스, 스텔란티스는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에게 저가 부품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해달라고 막바지 로비를 벌이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이들은 저가 수입부품에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내 자동차 생산비용이 수십억달러 늘어난다며 정부를 설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