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늦어지면서, 종교계와 학계에선 조속한 파면을 촉구하는 시국선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천7백여 시민단체 연합은 '전국 긴급 집중행동'을 예고했는데요.
광장으로 가보겠습니다.
정한솔 기자, 헌법재판소가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질타가 많이 나오고 있다고요?
◀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넘어 헌법재판소에 온 지 오늘로 107일이 됐습니다.
그 사이 계절이 바뀌고 옷차림도 가벼워졌지만, 시민들의 마음은 한층 더 무거워졌습니다.
어떠한 설명도 하지 않는 헌법재판소를 향한 분노도 조금씩 커지고 있는데요.
시민들의 얘기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이동규]
"헌법재판관들이 이게 뭐가 어렵길래 도대체 늦어지는 마땅한 이유를 찾지 못하겠는데 그렇게 배우신 분들이 이게 어려운 건가."
[조은나]
"기본적인 생활조차 흔들리고 무너지는 상황이 조금은 위험하다고 생각이 되고‥ (산불같은) 자연 재해 또한 안정적인 행정부가 있다면 (덜 불안할 텐데)‥"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목소리를 내 온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도 시국미사를 열고 조속한 파면 선고를 촉구했습니다.
"고통에 중립이 없듯 정의에도 중립이 없다"며 "헌법재판관들은 사회에 대한 책임과 의무가 있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송년홍/신부(정의구현사제단)]
"(헌법재판관들은) 상식도 없고 양심의 가책도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많이 맡기신 사람에게는 그만큼 더 청구하신다.'"
윤 대통령의 모교인 서울대에서도 7백 명이 넘는 교수와 연구자들이 다시 시국선언에 동참했습니다.
비상계엄 선포를 전후해 서울대에서만 벌써 4번째 시국선언입니다.
[이준호/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윤석열이 대통령직에 복귀한다면 헌법재판소는 그 존재 이유를 상실할 것이 될 뿐 아니라 윤석열은 비상계엄 면허증을 발급받은 꼴이 될 것입니다."
1천 7백여 개 시민단체 모임은 '전국 긴급 집중행동'을 선포하고, "헌법재판소의 존립 근거와 사명은 내란수괴 즉각 파면"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파면을 촉구하는 시민 서명에는 하루 만에 40만 명 넘게 이름을 올렸는데, 1백만 명을 모아 헌법재판소에 탄원서를 제출할 계획입니다.
시민단체들은 내일부터 1박 2일간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철야 집회와 행진도 이어갈 예정인데요.
그만큼 시민들의 눈과 귀가 8명의 헌법재판관들에게 쏠려 있습니다.
헌법재판소 인근 집회 현장에서 MBC뉴스 정한솔입니다.
영상취재 : 나준영, 김백승, 이원석 / 영상편집 : 김민상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