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 더중플 - 이난향의 ‘명월관’ 이난향(1901~79)은 일제강점기 조선 최고의 기생으로 손꼽혔습니다. 당시 관기(官妓) 출신으로 공연을 하던 예기(藝妓)를 '기생'이라 불렀고, 몸을 팔던 여성은 '창기' 혹은 '더벅머리'라 하여 그 급을 달리 보았습니다.

평양 출신인 난향은 열셋에 서울에 와 스물다섯에 조선권번의 취체 자리에 오릅니다. 명기(名妓·이름난 기생)를 많이 배출하기로 유명한 기생조합, 요즘으로 치면 하이브나 YG에서 일종의 교장 역할을 맡은 겁니다.

오늘의 추천! 더중플은 이난향의 '명월관’(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64)입니다. 일제강점기 조선 최고의 기생으로 손꼽혔던 이난향(1901~1979)이 1970년 중앙일보에 남긴 글에 사료를 추가해 더 풍성하게 만든 버전입니다. 이난향의 '명월관'은 기생이 직접 남긴 기생의 역사이자, 독립투사부터 친일파까지 명월관을 드나들던 유력 인사들이 뒤얽힌 구한말 격동의 기록이기도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기생조합 1909년 관기제도가 폐지되고 기생들이 서울로 몰려들어 요릿집들은 매일밤 성시를 이루었다. 장사 잘되는 것까지는 좋았으나 여기에도 골치아픈 일이 차차 생겨나기 시작했다.

찾아온 손님이 부르고 싶은 기생의 이름을 대면 일일이 연락해서 불러와야 했고, 한 기생을 놓고 신분의 고하(高下·높고 낮음)가 있는 몇 사람이 서로 불러 오라고 으르렁대는 경우가 생기는가 하면, 불려온 기생이 실수를 범하거나 손님이 너무 무례하여 시비가 벌어지는 날에는 요릿집 주인이 일단 책임을 져야 했으니 무척 번거롭고 신경쓰이는 일이었다.

이와같은 불편을 덜기위해 생각해 낸 것이 기생조합이라는 것이다.

다동기생조합은 1913년 내가 13세 때 서울에 올라온 지 얼마 안 돼서 조직되었다. 이때 기생조합은 최소한 30명이 되어야 당국에서 허가해 주었다. 다동조합을 만들 때 30명이 채 안 돼 다른 친구들이 급한 김에 나의 어머니 이름까지 적어넣었던 일이 지금 새삼스럽게 머리에 떠오른다.

1913년 다동기생조합 창립 멤버들. 앞줄 맨 오른쪽이 13세였던 난향.
후에 경화기생조합이라는 것이 생겨났는데 이것은 당시 경무사(警務使·경찰청장) 신태휴가 주로 3패들을 중심으로 남부시동에 마련하였다.

3패란 일명 ‘더벅머리’라고 불렀던 ‘창부(娼婦)’를 지칭하는 것으로 1패·2패와 구별되는 것이었다.

언젠가 명월관에 시장에서 돈을 번 상인들이 몰려든 일이 있었다. 당시만 해도 장사치를 깔보던 분위기라, 이름 있는 기생들은 눈살을 찌푸리며 마지못해 방에 들어갔다. 그런데 잠시 후, 뽑혀 들어갔던 기생들이 전부 도망쳐버렸다. 황당한 상황에 손님들은 들고 일어나 항의했고, 명월관은 한바탕 소동에 휘말렸다.

뒤늦게 밝혀진 진실은 뜻밖이었다. 기생들이 “이런 굴욕은 참을 수 없다”며 자리를 박차고 나간 건, 상인들과 함께 온 여인들의 정체를 알아차린 순간부터였다.

※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749

“어찌 역적의 첩이 되겠습니까?” 『매천야록』 1906년 ‘진주 기생 산홍의 의기’ 편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실렸다.

진주의 기생 산홍은 미색과 기예가 모두 뛰어났다. 이지용이 천금을 주며 그녀를 자신의 첩으로 삼고자 했으나 산홍이 이를 거절하며 말했다. “세상에서 대감을 오적의 우두머리라고 합니다. 저는 비록 천한 기생일지라도 스스로 자유로운 사람입니다. 어찌 역적의 첩이 되겠습니까?” 이에 이지용은 크게 노하여 산홍을 심하게 매질하였다.

이지용(1870~1928)은 을사오적 중 하나다. 1904년 외부대신서리(외교부 장관)로서 한일의정서에 서명해 일본군의 한국 주둔 길을 열었다. 1905년에는 내부대신으로서 을사조약 체결을 주도했다. 강제병합 직후 일제는 그의 공로를 인정해 백작 작위와 은사공채 10만원을 하사했다. 나는 새도 떨어뜨린다고 할 만큼 위세를 떨치던 이지용이 1906년 진주 기생 산홍에게 마음을 빼앗겨 1만원을 주고 첩으로 들이려다 망신당한 것이다.

장안 떠들썩하게 만든 매국노 아내 한편 이지용 못지 않게 그의 부인도 장안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매천야록』 1911년 ‘이홍경과 유옥경의 음행’ 편에선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이지용 부인의 이름이 '경현'이었으나 일본 파견을 계기로 이홍경으로 개명한다는 소식이 실린 황성신문 1906년 11월 27일자. 국립중앙도서관.

이지용이 특파대사로 일본에 가게 됐다. 이토 히로부미와의 관계를 유지하고 자신과 박영효를 보고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이지용의 부인 홍씨는 스스로 이홍경(李洪卿)이라 칭했다. 본래 조선의 여성들은 이름을 드러내지 않고 단지 ‘어느 씨(氏)’라고만 불렀다. 그러나 홍경은 일본의 풍습을 따라 스스로 이름을 밝히고 사회에 나선 최초의 사람이었다.

홍경은 처음에는 일본 관료 하기하라 슈이치(萩原守一)와 관계를 맺었으며, 이후 고쿠분 쇼타로(國分象太郞), 나중에는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好道)와도 관계를 맺었다. 이를 두고 하기하라가 분노하며 시기하였으나 별다른 방법이 없었다.

일본에서는 남녀가 만나면 반드시 악수와 키스를 하며 친밀함을 나타내는 풍습이 있었다. 하기하라가 일본으로 돌아가게 되자 홍경이 그를 환송하며 작별 인사를 나누었는데, 이때 홍경이 혀끝을 내밀어 그의 입에 넣자, 하기하라가 혀를 깨물어 피를 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749

이난향의 '명월관' ▶ 12살 소녀는 기생이 되었다…전설의 이난향, 그가 겪은 시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4651

▶ “땅 팔아서라도 취하고 싶다” 최고의 기생 몰려든 명월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7989

▶ 아내 바치고 아궁이 불땠다…매까지 대신 맞은 기생서방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0410

▶ 눈맞은 대감님들과 맞담배질…그들은 ‘기생 재상’이라 불렸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6337

▶ 육혈포 품고 다녔던 의친왕, 日 경찰 앞 ‘대한남아’ 불렀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0582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68 [속보] 상법 개정안 거부권 '직 걸고' 반대했던 이복현, 결국 사의 표명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7 마은혁 불임명 ‘위헌’ 판단한 헌재…‘8대 0’ 외 다른 길 있나?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6 美 경기둔화 우려, 글로벌 자금도 유럽·중국으로 이동[글로벌 현장]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5 쓰레기통서 발견된 찢긴 수표 1억2700만원, 알고보니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4 '개인빚 역대 최고' 1인당 가계대출 9,600만원···40대 평균 대출잔액 1억 넘어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3 "직 걸겠다"던 이복현 "사의 표명했지만 금융위원장이 만류"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2 [속보] 韓대행 "헌재 어떤 결정도 받아들여야…폭력엔 무관용"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1 [속보] 한 대행 “헌재 결정, 법치주의 원칙 따라 차분히 받아들여야”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0 EU, 폐차 담합 제조사 15곳 7천억대 과징금…현대차·기아도 190억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9 이복현 "최근 금융위원장에 사의 표시…상법 거부권 행사는 존중"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8 3월 물가 2.1%↑…석달째 2%대에 가공식품·공공서비스 '들썩'(종합)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7 “상법 개정안에 직 걸겠다”던 이복현, 한덕수 거부권에 사의 표명 랭크뉴스 2025.04.02
47556 [속보]韓, 尹선고 이틀 앞두고 "사회통합 책임 보여달라" 랭크뉴스 2025.04.02
47555 韓대행 "어떤 헌재결정도 받아들여야…정치인들 자극발언 삼가달라" 랭크뉴스 2025.04.02
47554 “이걸 민주주의라고 할 수 있을까요?”…헌재 주변 학생들의 질문 랭크뉴스 2025.04.02
47553 탄핵심판 선고 D-2, 尹 측 “대통령 출석 여부 아직 결정 안 돼” 랭크뉴스 2025.04.02
47552 [속보] 이복현, 금융위원장에게 사의 표명…일단 반려 랭크뉴스 2025.04.02
47551 ‘상법 반대’ 최태원 저격한 이복현 “SK이노 합병, 주주 목소리 들었어야” 랭크뉴스 2025.04.02
47550 수원 길거리에서 여성 2명 숨진 채 발견‥"오피스텔서 추락 추정" 랭크뉴스 2025.04.02
47549 “엄마 가게 살리자!” 자녀들이 나섰다…이게 지금, 자영업 현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