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위클리옵션 매도 늘자… ‘매수’ 개인은 진입·청산 수월
옵션 프리미엄 감소… ETF 투자자 손실 위험 커져

40대 투자자 A씨는 지난해 말부터 위클리옵션 매매에 뛰어들었다. 옵션은 미래 특정 시점에 특정 가격으로 코스피200 등의 상품을 사고팔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파생상품인데, 위클리 옵션은 만기가 1주일로 짧은 상품이다.

A씨는 최근 증시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에 대응해 스캘핑(분·초 단위 매매) 전략을 익히고 있다. 한 거래당 수익은 적어도 여러 번 거래해 누적 수익률을 올리는 데 집중하는 것이다. 최근 그는 콜옵션 매수 포지션을 잡은 후 16초 만에 청산해 20만원을 벌었다. A씨는 “요즘 콜옵션 매도 물량이 많아지니 옵션 진입과 청산이 더 수월해졌다”며 “말 그대로 도파민 투자”라고 말했다.

위클리 콜옵션 매도 물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이를 노리고 옵션 투자에 나서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등장한 위클리 커버드콜 상장지수펀드(ETF)에 막대한 자금이 쏠린 영향이다. 시장 규모에 비해 많은 콜옵션 매도 물량이 나오면서 위클리 옵션 가격이 떨어지는 등 시장 왜곡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단기 차익을 노린 일부 투자자들이 위클리 옵션 시장에 등장한 이유다.

일러스트=챗GPT 달리3

위클리 커버드콜 ETF 시장이 커지며 위클리옵션 매도거래도 덩달아 늘었다. 지난 26일 기준 월간 위클리옵션 매도거래는 총 1452만7324계약으로, 전년 동기(1262만3355계약) 대비 15%가량 늘었다. 그중 기관이 685만5120계약을 체결해 절반을 차지한다.

매도 물량은 많은데 이를 받아줄 수요자는 적다 보니 위클리 콜옵션 프리미엄은 크게 떨어졌다. 위클리옵션 프리미엄은 작년 8월 월평균 0.8%대에서 올해 들어 0.4%대로 줄었다. 최근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콜옵션 프리미엄이 반등할 수 있는 환경이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문제는 거래의 절반을 차지하는 기관의 매매가 한 방향(매도)에 쏠려있다는 점이다. 위클리옵션 시장 내 매수 포지션을 잡는 투자자는 한정적인데, 운용사의 매도 물량이 갑자기 많아지다 보니 자연스럽게 프리미엄은 저렴해질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위클리 옵션 시장은 일반(먼슬리) 옵션 시장에 비해 비교적 최근 조성돼 거래 규모나 참여자 기반 측면에서 성숙도가 낮다는 평가다.

옵션을 매수하는 투자자들이 ‘단타(단기 투자)’에 나서기에 쉬운 환경인 셈이다. 최근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옵션 투자가 늘어난 영향도 있지만, 월간 위클리옵션 매수거래 내 개인 비중은 석 달 새 26%에서 30%로 늘었다. 개인들은 매수 포지션을 매도보다 더 많이 잡는데, 주로 기관 물량을 받는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커버드콜 ETF 구조상 콜옵션을 팔아 프리미엄을 확보하면서 포지션도 구축해야 하고, 들어온 자금으로 분배금도 줘야 하니 운용사 입장에선 반강제적으로 거래를 할 수밖에 없다”며 “개인들은 기관 물량을 많이 받는데, 물량이 많아지니 파는 쪽에서 싸게 팔 수밖에 없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커버드콜 ETF는 기초자산을 보유하는 동시에 해당 자산을 기초로 한 콜옵션(주식을 미리 정한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을 매도해 옵션 프리미엄을 수익으로 갖는 전략이다. 국내 위클리옵션은 코스피200을 기초지수로 하고,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 만기로 상장되는 상품이 있다.

지난해 3월 KB자산운용에서 ‘RISE 200위클리커버드콜’ ETF를 처음 출시한 후 같은 해 8월 ‘PLUS 고배당주위클리커버드콜’, 12월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KODEX 금융고배당TOP10타겟위클리커버드콜’이 잇달아 나왔다. 이달 5일엔 ‘PLUS 고배당주위클리고정커버드콜’도 상장됐다. 이 상품들의 순자산은 총 1조원에 달한다.

위클리 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으로 수익을 내는 커버드콜 ETF에는 계속 자금이 들어오고 있는데, 옵션 시장이 이를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자, 결국 커버드콜 ETF 투자자들이 손해를 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프리미엄이 줄어들면 연 12~15%를 목표로 한 분배금을 지급하기 위해 결국 원금을 내줘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추종하는 지수까지 떨어지면 ETF 가격이 더 하락할 수 있다. 이달 들어 코스피200지수는 2.60% 상승했지만, 위클리 커버드콜 ETF 상품 5종은 이보다 낮은 마이너스(-) 1.15~1.76% 등락률을 보였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옵션 매도 물량이 많아졌다고 해서 당장 시세 왜곡 문제가 발생하는 건 아니지만, 매수하려는 단타 투자자들이 거래하기 좋은 장에서 운용사들의 옵션 매도 전략이 더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옵션은 만기 시점까지 행사 가격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투자금 전액 손실을 볼 수 있는 고위험 상품이라 개인 투자자들은 충분히 공부한 후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78 일반인 방청도 허용한다? "이건 헌재의 자신감" new 랭크뉴스 2025.04.01
47277 외교부, 심우정 자녀 특혜 채용 의혹 공익감사 청구…감사 착수 가능할까? new 랭크뉴스 2025.04.01
47276 尹 탄핵심판 선고일 방청신청 폭주…20석에 수만명 몰려 new 랭크뉴스 2025.04.01
47275 미얀마 지진에 방콕 고층 빌딩 왜 무너졌나… 불량 철근 사용 확인 new 랭크뉴스 2025.04.01
47274 미얀마 강진 사망자 2700명 넘어…실종 440명 new 랭크뉴스 2025.04.01
47273 탄핵 선고 임박, 헌재 앞 ‘진공상태’ 준비 돌입…윤석열 ‘국민변호인단’ 천막 철수 랭크뉴스 2025.04.01
47272 삼성전자, 한종희 부회장 후임에 노태문 사장 임명 랭크뉴스 2025.04.01
47271 尹선고일 정해지자 아전인수 여론전…"4:4 기각" "8:0 인용" 랭크뉴스 2025.04.01
47270 ‘두 학번 같은 수업’ 돌아온 의대생… 일부 ‘재휴학’ 조짐도 랭크뉴스 2025.04.01
47269 유승준, 데뷔 28년 자축 "팬 실망시킬 줄 몰라…참 어리석었다" 랭크뉴스 2025.04.01
47268 한덕수 권한대행 “적 도발하면 압도적으로 대응해 도발 의지 분쇄” 랭크뉴스 2025.04.01
47267 지진 붕괴 직전 52층 다리 뛰어넘은 한국인… “딸 구해야 한다는 생각만” 랭크뉴스 2025.04.01
47266 ‘헌재 100m 진공상태’ 시작됐다…선고 당일 안국역 폐쇄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1
47265 “코인도 금도 아냐”1~2년 후 가격 6배 뛰는 유망 투자처는? 랭크뉴스 2025.04.01
47264 “고된 뱃일에 스트레스 받았다”…동료 선원 살인·시신유기한 선장 랭크뉴스 2025.04.01
47263 성범죄 혐의 조사 받던 20대, 경찰서 건물서 투신해 사망 랭크뉴스 2025.04.01
47262 “붕괴 이전으로 돌아가요”…박해일 등 영화인 1025명 ‘윤석열 파면’ 성명 랭크뉴스 2025.04.01
47261 헌재 본관 창문 커튼 싹 내렸다…'尹 운명의날' 지정 후 철통 보안 랭크뉴스 2025.04.01
47260 中서 샤오미 전기차 사고 후 폭발… 3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01
47259 임지봉 "선고일 공지 의미?‥탄핵 인용 결정" [4일 尹탄핵선고]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