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보일러·온수기 年 200만대→439만대 확대
주방기기 브랜드 ‘나비엔 매직’도 생산 계획
“공기질 관리하는 주방 시스템 구현”
트럼프 관세정책 대응…美 공장 설립도 검토

“윙~ 드르륵, 드르륵.”

지난 27일 경기도 평택 서탄에 있는 경동나비엔의 보일러·온수기 생산기지 ‘에코허브’. 근로자들이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온 사람 몸통만한 보일러 케이스에 열교환기, 순환펌프 등 주요 부품을 조립하는 데 한창이었다. 이후 검사, 포장 등을 거친 보일러 완제품은 로봇에 의해 물류 창고로 옮겨졌다. 에코허브에선 하루 1만대의 보일러, 온수기가 생산돼 국내와 해외 시장으로 팔린다.

경기도 평택 경동나비엔 ‘에코허브’에서 보일러가 생산되고 있다. /경동나비엔 제공

13만2000㎡(약 4만평) 규모의 에코허브는 연간 200만대 생산능력을 지닌 단일 공장 기준 세계 최대 보일러·온수기 제조공장이다. 지난 2014년 가동을 시작, 작년 4월 누적 보일러 1000만대를 생산했다.

에코허브의 또 다른 경쟁력은 부품 자체 생산능력이다. 열교환기, 버너, 순환 펌프, 송풍기, 가스 밸브 등 보일러 제조에 필요한 핵심 부품을 자체 생산한다. 부품 자체 생산율은 60%에 이른다.

에코허브의 변신…생산능력 확대, 주방기기도 제조
에코허브는 현재 공장 증축에 나서면서 새로운 변신을 준비하고 있다. 생산능력 확대와 최근 선보인 주방기기 브랜드 ‘나비엔 매직’ 생산이다.

에코허브는 부지를 33만578㎡(약 10만평)으로 늘려 보일러·온수기의 연간 생산능력을 439만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2026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빠르면 2년 후에는 나비엔 매직 브랜드 생산 공장도 들어선다. 경기도 김포에 있는 3D에어후드 생산 공장도 추후 에코허브로 이전한다.

'나비엔 매직' 3D에어후드(위)와 전기레인지. /경동나비엔 제공

경동나비엔은 지난해 5월 SK매직으로부터 가스레인지와 전기레인지, 전기오븐 영업권을 인수했다. 10월에는 경기도 화성에 있던 SK매직의 3개 주방기기 생산라인을 경동나비엔 평택 세교 공장으로 이전을 마무리했다.

이후 경동나비엔은 3월 1일 자사 3D에어후드·환기청정기를 더해 주방기기 브랜드 나비엔 매직을 선보였다. 단순 주방기기 판매가 아닌, 3D에어후드 등을 연계해 요리 매연을 없애는 등 고객의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는 주방 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한다.

주방기기를 생산하는 경동나비엔 세교 공장은 현재 연간 76만대의 생산능력을 지녔다. 가스레인지 45만대, 전기레인지 26만대, 전기오븐 5만대다. 추후 AI 등의 기술을 적용, 공장 첨단화 작업을 거친 후 에코허브로 이전할 계획이다.

올해 국내 매출 5000억 목표...2028년엔 1兆로 확대
경동나비엔은 나비엔 매직 론칭을 통한 실적 상승도 기대하고 있다. 경동나비엔은 주방기기가 포함된 생활가전사업 부문에서 지난해 매출 296억원을 기록했다. 주력 사업인 보일러, 온수기 등을 제외한 매출이다.

경동나비엔은 이번 나비엔 매직 브랜드 론칭을 계기로 올해 생활가전사업 부문 매출 1000억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4월 전기레인지·3D에어후드 등 나비엔 매직 구독 서비스에 이어 주력 상품인 보일러도 구독, 관리 비즈니스에 나선다. 이를 통해 보일러 등을 포함 4000억원에 머문 국내 총 매출을 5000억원으로 늘린다는 목표다. 2028년에는 국내 매출 1조원(나비엔 매직 3000억원)을 목표한다.

경동나비엔은 미국 공장 설립 가능성도 내비쳤다. 경동나비엔은 지난해 매출 1조3500억원 중 약 70%를 해외에서 올렸다. 미국, 중국, 러시아가 주요 시장이다. 현재 경동나비엔은 중국에만 생산 공장을 두고 있다.

이날 에코허브에서 만난 김용범 경동나비엔 부사장은 “미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상황을 지켜봐야 하지만, 부정적 영향이 크다면 경동나비엔 주요 시장인 미국에 공장을 설립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동나비엔이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매입한 미 동부 버지니아 8만2644㎡(약 2만5000평) 부지에 보일러·온수기 공장을 짓는다는 것이다. 현재 이 곳은 경동나비엔 물류 창고로 사용되고 있다.

김 부사장은 “보일러에 이어 주방기기 사업으로 업을 넓힌 경동나비엔이 다시 한번 성장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67 “밤잠 설치는 고민이 뭔가요?” 머스크 또 “한국이…”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1
47166 “‘윤 탄핵 기각 땐 국민적 불복 운동’ 미리 공표해야” 박홍근, ‘파면’ 촉구 랭크뉴스 2025.04.01
47165 '액션영화 같은 점프!' 태국에서 '국민 남편' 된 한국인 남성 [World now] 랭크뉴스 2025.04.01
47164 편의점서 일하던 전처 살해한 30대…경찰 사전안전조치에도 범행 랭크뉴스 2025.04.01
47163 헌재 인근 3호선 안국역, 일부 출구 폐쇄…4일엔 무정차 운행 랭크뉴스 2025.04.01
47162 실손보험 비중증 비급여 자부담 50%로↑…보상 일 20만원 한도 랭크뉴스 2025.04.01
47161 재판관 8인 제체 선고, 탄핵 아니면 4대4 전망…무게추는 파면에 랭크뉴스 2025.04.01
47160 문재인 소환 통보에 전주지검 달려간 친문 의원들..."정치검찰의 끝은 파멸뿐" 랭크뉴스 2025.04.01
47159 장제원 전 의원 숨진 채 발견…고소인 측 기자회견 취소 랭크뉴스 2025.04.01
47158 한덕수 대행, ‘상법개정안’ 재의 요구…연금법 개정안 공포 랭크뉴스 2025.04.01
47157 커피도 콜라도 아니었다…편의점 매출 1위 음료는 ‘이것’ 랭크뉴스 2025.04.01
47156 [속보] 헌재, 윤석열 탄핵심판 4월4일 오전 11시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155 전원일치면 이유부터 낭독이 관례…尹 탄핵 선고 절차는? 랭크뉴스 2025.04.01
47154 [속보]대통령실, 윤석열 선고 기일 지정에 “차분하게 헌재 결정 기다릴 것” 랭크뉴스 2025.04.01
47153 장제원 유서엔 가족 향한 내용…고소인 측, 기자회견 취소 랭크뉴스 2025.04.01
47152 헌재 “尹 탄핵 선고 생중계… 일반인 방청 허용” 랭크뉴스 2025.04.01
47151 안철수 "윤석열·정치권, 헌재 어떤 결정 하더라도 승복해야" 랭크뉴스 2025.04.01
47150 헌재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4월 4일 오전 11시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149 한덕수 상법 거부권 행사하며 "고심 거듭" …마은혁 임명은 침묵 랭크뉴스 2025.04.01
47148 장제원 전 의원 유서엔 가족 향한 내용…경찰 "타살 혐의점 없어"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