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아이를 홀로 키우는 한부모 가족은 한 달에 평균 58만 원을 양육비로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가족부는 지난해 3~12월 전국 한부모가족 가구주 3,31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2024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오늘(30일) 발표했습니다.

●'한부모 양육비 지출' 첫 조사…가장 큰 어려움은 ‘양육비 부담’


한부모 가족은 자녀의 양육비에 한 달 평균 58만 2천 5백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연령별로는 미취학 자녀의 경우 월 46만 천 원, 초등생과 중등 이상 자녀에는 매달 각각 50만 5천 원과 66만 천 원의 양육비가 드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부모 가족의 자녀 양육비 조사 결과가 발표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가장 큰 어려움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 한부모들은 자녀의 연령대와 관계 없이 '양육비‧교육비 부담'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하지만 전체 한부모의 71.3%는 이혼 상대 등으로부터 양육비를 한 푼도 받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법적 채권' 여부에 따라 양육비 지급 비율 큰 차이


조사 대상자의 33.3%는 법적으로 결정된 양육비 채권(정기지급·일시지급 포함)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지난 2021년 조사 당시(21.3%)보다 10% 이상 늘어난 수치입니다.

양육비의 실제 지급 여부는 법적 채권 유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법적 양육비 채권이 있는 이혼·미혼 한부모 10명 중 8명은 양육비를 받았고, 평균 지급 금액은 78.6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법적 양육비 채권이 없는 한부모 중에서는 2.6%만 양육비를 지급받았고, 평균 지급 금액은 27.1만 원이었습니다.

한부모들은 양육비 이행 확보를 위해 '양육비 긴급 지원 확대 및 양육비 선지급제 도입'(71%)이 가장 시급하다고 꼽았고, '제재조치 강화'(17.5%)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정부 지원 받는 한부모 12년 만에 두 배로…"현금 지원 필요"


정부의 양육비 지원을 받는 한부모 가족의 비율은 65.9%로, 2012년(30.4%)과 비교해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여가부는 지원 대상의 소득기준을 계속해서 완화하고, 지원 자녀 연령도 12세 미만에서 22세 미만까지로 확대하는 등 정부가 한부모 가족 지원 정책을 적극 추진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한부모 가족에게 가장 필요한 정책 지원은 '생계비·양육비 등 현금 지원'(66.9%)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주거 지원(12.9%)과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6.3%), 의료 지원(5.7%) 순이었습니다.

한부모의 평균 연령은 2021년 조사 결과와 같은 43.6세로, 대다수(84.2%)가 이혼 한부모였고 평균 1.5명의 자녀를 키우고 있었습니다.

가구 구성은 어머니가 아이를 혼자 키우거나 모자와 다른 세대원이 함께 거주하는 '모자 중심 가구'가 68.7%로 가장 많았는데, 이러한 가족 구성 형태는 2018년(65.5%)부터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부모 가족의 월 평균 소득은 294.6만 원으로, 2021년보다 49만 원 올랐지만 여전히 전체 가구 소득 대비 60% 수준이었습니다.

금융자산, 부동산, 부채를 포함한 순자산액은 평균 1억 1,568만 원으로, 전체 가구 순자산액의 25% 수준이었습니다.

신영숙 여성가족부 차관은 "이번 조사로 한부모 가구의 어려움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면서 "오는 7월 시행을 앞둔 '양육비 선지급' 제도를 비롯한 관련 정책을 세심히 살피고 필요한 지원을 지속해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71 탄핵선고일 발표에 헌재앞 '폭풍전야'…"즉각파면" "탄핵각하" 랭크뉴스 2025.04.01
47170 10대들이 간다는 출입금지업소 ‘룸카페’를 아시나요? 랭크뉴스 2025.04.01
47169 장제원 사망에 여당 “마음 아파” “명예훼손 말라”…피해자 언급은 없어 랭크뉴스 2025.04.01
47168 헌법재판소 인근 3호선 안국역, 정오부터 일부 출구 폐쇄 랭크뉴스 2025.04.01
47167 “밤잠 설치는 고민이 뭔가요?” 머스크 또 “한국이…”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1
47166 “‘윤 탄핵 기각 땐 국민적 불복 운동’ 미리 공표해야” 박홍근, ‘파면’ 촉구 랭크뉴스 2025.04.01
47165 '액션영화 같은 점프!' 태국에서 '국민 남편' 된 한국인 남성 [World now] 랭크뉴스 2025.04.01
47164 편의점서 일하던 전처 살해한 30대…경찰 사전안전조치에도 범행 랭크뉴스 2025.04.01
47163 헌재 인근 3호선 안국역, 일부 출구 폐쇄…4일엔 무정차 운행 랭크뉴스 2025.04.01
47162 실손보험 비중증 비급여 자부담 50%로↑…보상 일 20만원 한도 랭크뉴스 2025.04.01
47161 재판관 8인 제체 선고, 탄핵 아니면 4대4 전망…무게추는 파면에 랭크뉴스 2025.04.01
47160 문재인 소환 통보에 전주지검 달려간 친문 의원들..."정치검찰의 끝은 파멸뿐" 랭크뉴스 2025.04.01
47159 장제원 전 의원 숨진 채 발견…고소인 측 기자회견 취소 랭크뉴스 2025.04.01
47158 한덕수 대행, ‘상법개정안’ 재의 요구…연금법 개정안 공포 랭크뉴스 2025.04.01
47157 커피도 콜라도 아니었다…편의점 매출 1위 음료는 ‘이것’ 랭크뉴스 2025.04.01
47156 [속보] 헌재, 윤석열 탄핵심판 4월4일 오전 11시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155 전원일치면 이유부터 낭독이 관례…尹 탄핵 선고 절차는? 랭크뉴스 2025.04.01
47154 [속보]대통령실, 윤석열 선고 기일 지정에 “차분하게 헌재 결정 기다릴 것” 랭크뉴스 2025.04.01
47153 장제원 유서엔 가족 향한 내용…고소인 측, 기자회견 취소 랭크뉴스 2025.04.01
47152 헌재 “尹 탄핵 선고 생중계… 일반인 방청 허용”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