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8일 규모 7.7의 지진이 강타한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마하 미야트 무니 불교 사찰의 불탑이 지진으로 인해 붕괴돼 있다. EPA=연합뉴스
지난 28일 미얀마를 강타한 113년만의 강진(규모 7.7)으로 속출하는 매몰자와 실종자를 구하기 위한 사투가 현지에서 벌어지고 있다. CNN 등에 따르면 현재까지 미얀마 군사정권이 밝힌 인명피해 규모는 사망 144명, 부상 732명이다. 태국 방콕에서도 10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이번 지진으로 인한 총사망자 수는 154명으로 늘었다.

하지만 붕괴한 건물 잔해에 깔린 사람들이 많아 피해 규모는 급속도로 늘어날 확률이 높다. 지진 진앙지와 가장 가까워 큰 피해를 본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 주변에 사는 한 자원봉사 구조대원은 “무너진 건물 잔해를 치우기 위한 기계가 없어 구조가 역부족인 상황”이라고 BBC에 호소했다. 그는 “우리는 맨손으로 (잔해를) 파내면서 사람들을 끄집어내고 있다. 시신들을 수습하고 잔해 아래에 갇힌 사람들을 구해내려면 이걸로는 부족하다”며 “사람들이 ‘도와줘요, 도와줘요’하고 울부짖는다. 정말 희망이 없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김주원 기자
만달레이에서 구조작업을 하는 또 다른 대원은 “건물 대부분이 붕괴했다”며 “(사람들이) 거리에서 달리면서 비명을 지르고 울부짖고 있었다”고 했다. 이 대원에 따르면 만달레이 종합병원은 지진 피해자들로 거의 꽉 찬 상태다. 병원 건물 역시 지진으로 손상된 상태다. 그는 “밤이 돼도 사람들이 집에 들어가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었고 잠을 이루지 못해 길바닥에 앉아 있는 이들도 있었다”며 “눈앞에서 가족, 친구, 친인척이 사라지는 것을 보고 사람들이 공포에 떨고 있다”고 말했다.

미얀마 수도 네피도 지역에서 구조작업에 참여 중인 한 대원도 무너진 건물 잔해 아래 사람들이 갇혀서 도움을 요청하는데도 구조할 방법이 없었다고 말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강진이 발생한 사가잉 단층선에 가까운 지점에 있는 미얀마 바간 불교유적이 파괴됐을 확률이 있다고 전했다. 11세기에 지어진 불탑들과 사찰 등 2200여개의 불교 유적들이 밀집된 곳이다. 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태국 임신부, 지진 피해 길거리 출산
29일 태국 방콕 짜뚜짝에서 30층 높이 고층건물 건설 붕괴 현장에서 매몰자 가족들이 구조 상황을 기다리고 있다. AP=연합뉴스
지진 피해는 인접국인 태국에서도 속출하고 있다. 태국 방콕의 한 병원에서 환자들을 대피시키는 작업에 참여한 목격자 믹 오셰이는 BBC에 “처음에는 사람들이 환자들을 휠체어나 들 것에 싣고 나왔으나, 휠체어와 들 것이 바닥났는지 (환자들의) 팔과 다리를 붙잡고 등에 지고 나오더라”고 말했다.

병원에 입원 중이던 임산부가 들것에 실려 건물 밖으로 대피한 후 들것에 누운 상태로 의료진에 둘러싸여 거리에서 출산하는 장면이 목격되기도 했다. BBC는 방콕 짜뚜짝에서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의 고층건물 붕괴 현장에서 잔해가 계속 떨어지고 있어 구조대원과 매몰자들이 위험하다고 전했다.



군부 “해외 도움 요청”…트럼프 “도울 것”
지난 28일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서 구조대원들이 지진으로 인해 무너진 건물에서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AP=연합뉴스
미얀마 군정은 국제 사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 군정 최고사령관은 28일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와 부상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며 “모든 국가와 모든 조직의 도움과 기부를 받겠다”고 밝혔다. 2021년 쿠데타로 집권한 뒤 국제사회와 단절하고 지냈던 군정이 해외 원조를 촉구한 건 이례적이다.

쿠데타 이후 제재에 나서는 등 미얀마 군사정권과 선을 그어온 미국과 유럽연합(EU)도 인도적 차원의 도움을 약속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에서 미얀마 군정의 도움 요청에 응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지진은) 끔찍한 일”이라며 “우리는 도울 것이며, 이미 그 나라와 이야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지난 28일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지진으로 인해 붕괴된 건물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X(옛 트위터)에 “(미얀마에) 더 많은 지원을 할 준비가 됐다”며 “EU의 기후변화 감시용 코페르니쿠스 위성을 통해 긴급 구조대에 관측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엔은 500만 달러(약 73억원) 규모의 초기 긴급 지원을 약속했다. 미얀마 군정과 우호적 관계를 이어온 중국과 러시아도 구조대와 의료진을 태운 항공기를 미얀마로 급파했다. 이 밖에도 미얀마는 이미 인도와 ‘아세안 재난관리 인도적 지원 조정센터’(AHA 센터)의 지원 제안을 수락한 상태다.



“군부 저항세력엔 물품 안 줄 것”
지난 28일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서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부상자들이 야외에서 긴급 치료를 받고 있다. AP=연합뉴스
하지만 국제사회의 구조 지원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국제 원조의 가장 큰 역할을 하는 미국이 트럼프 대통령 집권 이후 국제개발처(USAID) 폐지를 추진하고 외국 원조 사업 대부분을 중단시켰기 때문이다. 미 싱크탱크 글로벌개발센터(CGD)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USAID 운영자금 중단으로 미국의 대(對)미얀마 원조액은 5200만 달러(약 760억 원) 삭감됐다. 국제앰네스티의 미얀마 담당 연구원 조 프리먼은 “이번 지진은 미얀마 입장에서는 미국의 원조 삭감에 따른 인도적 지원 공백의 영향이 막 나타나기 시작한 최악의 시점에 일어났다”고 지적했다.

미얀마 군정이 일부 지역엔 국제 사회 지원을 고의로 전달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몬시 페러 국제앰네스티 부국장은 “군정 하에서 수십년간 고통을 받아온 집단들이 있다”며 “저항 전력 집단 활동 지역에 군부가 지원을 거부한 전력이 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27 [속보]국회 운영위, ‘마은혁 임명 촉구 결의안’ 野 주도로 통과 랭크뉴스 2025.03.31
46726 김혜경 항소심, 이재명 전 수행직원 증인 채택…"4월 14일 종결" 랭크뉴스 2025.03.31
46725 문재인 소환 통보…민주당 “국면 전환 위한 정치 탄압” 랭크뉴스 2025.03.31
46724 [속보] 권성동 "野, 韓탄핵 돌입시 대통령몫 재판관 추천 정부와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23 장제원 고소인 측 “호텔방 촬영 영상·국과수 감정지 제출”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31
46722 與,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행사 요청… 권성동 “경제 혼란 키워” 랭크뉴스 2025.03.31
46721 창원NC파크 추락 구조물 맞은 20대 여성 끝내 사망 랭크뉴스 2025.03.31
46720 이재명 "尹복귀 프로젝트 진행중…유혈사태 어떻게 감당" 랭크뉴스 2025.03.31
46719 [속보] 권성동 “‘野 강행 처리’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행사 요청” 랭크뉴스 2025.03.31
46718 尹 탄찬측 긴급집중행동 선포…반대측은 철야집회 확대 예고 랭크뉴스 2025.03.31
46717 광주 종합병원 어린이집 화재…3명 연기흡입 병원 이송(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716 '저가 커피'도 줄인상…메가커피 아메리카노 1천700원으로 랭크뉴스 2025.03.31
46715 마늘·송이·사과생산, 산불에 직격탄…송이 지원대상 제외 울상 랭크뉴스 2025.03.31
46714 미얀마 강진, 흘러가는 '구조 골든타임'…"사망자 2천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31
46713 ‘성폭력 혐의’ 장제원 고소인, 동영상·채취 감정 결과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712 경찰, BTS 진에 '강제 입맞춤' 50대 일본인 수사 중지 결정 랭크뉴스 2025.03.31
46711 국민의힘, 민주당 이재명·초선 70명·김어준 '내란 혐의' 고발 랭크뉴스 2025.03.31
46710 ‘입주지연 위기’ 장위자이 레디언트, 임시사용승인 받아…2800여가구 입주 시작 랭크뉴스 2025.03.31
46709 "싸서 아침마다 들렀는데"…메가커피, 아메리카노 등 인상 랭크뉴스 2025.03.31
46708 경찰, 경호차장 구속영장 기각에 "법원이 尹구속취소 고려한 듯"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