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건 당일 해바라기센터 상담일지 등 제출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이 2023년 12월12일 국회 소통관에서 22대 총선 불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을 성폭력 혐의로 고소한 전 비서 ㄱ씨 쪽이 직접 촬영한 동영상과 국가과학수사원(국과수) 감정 결과 등 증거 자료를 수사기관에 제출했다고 31일 밝혔다.

피해자 ㄱ씨 고소대리인인 김재련 변호사(법무법인 온세상)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피해 당시 자세한 정황과 함께 장 전 의원의 성폭력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경찰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ㄱ씨가 수사기관에 제출한 증거 자료는 사건 당일 현장에서 피해자가 직접 찍은 사진과 동영상, 사건 당일 해바라기센터 방문으로 남긴 상담일지와 증거물 채취에 따른 국과수 감정서 등이다.

ㄱ씨 쪽에 따르면 성폭력 사건은 2015년 11월18일 자정 무렵부터 아침 8시30분께 사이 서울 강남구의 한 호텔에서 벌어졌다. 당일 아침 일어나 성폭력 피해가 발생했음을 인지한 ㄱ씨는 장 전 의원이 잠들어 있는 사이 호텔 방 안 상황을 사진과 동영상으로 촬영해 보관해왔다. ㄱ씨는 장 전 의원이 다시 추행을 시도하려고 하자 ‘화장실에 다녀오겠다’고 핑계를 댄 뒤 호텔을 빠져나왔다고 한다.

이날 지인에게 도움을 청한 ㄱ씨는 사건 당일 바로 서울 해바라기센터를 찾았다. 응급 키트로 증거물을 채취했고, 국과수 감정 결과에 따르면 피해자의 특정 신체 부위와 속옷 등에서 남성 유전자형이 검출됐음이 확인됐다는 게 고소대리인 설명이다. ㄱ씨가 해바라기센터에 방문했을 때 남긴 상담일지에는 신고 당일 상황과 이후 대처는 물론 가해자가 누구인지도 담겨있다고 한다.

ㄱ씨 쪽은 “(이 사건은) 만취 상태에서 발생한 성폭력이고, 위력 성폭력 사건이며, 약 9년 전에 발생한 사건이기 때문에 성폭력 범죄를 증명할 수 있는 객관적 증거 자체를 확보하기 어려운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면서도 “피해자가 확보한 여러 객관적 증거들, 피해자 진술, 피해자 진술을 뒷받침하는 객관적 정황증거 등을 종합했을 때 가해자가 피해자를 성폭행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는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피해자는 사건 직후 장 전 의원이 보낸 문자메시지도 공개했다. ㄱ씨 쪽은 장 전 의원이 범행 이후 ㄱ씨에게 “걱정된다, 방송 켄슬했다” “나 하루종일 마음이 너무 힘들다. 내일 꼭 출근해라” “보고 싶다” 등의 문자메시지를 보냈다고 주장했다. ㄱ씨 쪽은 “가해자는 문자메시지 내용이 편집된 것처럼 주장했으나, 피해자가 호텔에서 몰래 도망쳐 나온 뒤 가해자로부터 오는 전화, 문자에 일체 응답하지 않았다”며 “대화 형태의 메시지가 아니라 맥락을 따질 필요조차 없고, 일방적으로 가해자가 다급하게 피해자에게 보낸 메시지들”이라고 설명했다.

고소에 이르기까지 9년여가 걸린 이유도 설명했다. ㄱ씨는 성폭력 사건 충격으로 무단결근을 하던 중 장 전 의원 보좌관 출신인 경남정보대학의 한 교수에게 피해 사실을 알렸으나, 해당 교수가 “신고하면 금마(그 아이)는 죽는다” “마흔살 되면 다 잊혀진다”며 “덮고 넘어가라”고 말했다고 주장했다. 이후 ㄱ씨는 수차례 형사고소를 할 마음을 먹었다가 가해자 보복이 두려워 포기하길 반복한 끝에 용기를 냈다고 밝혔다.

ㄱ씨 쪽은 “장 전 의원이 가지고 있는 막강한 힘에 대한 두려움, 성폭력 신고 이후 맞닥뜨려야 하는 상황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피해자는) 형사 고소를 하지 못한 채 약 9년간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내왔다”며 “더 이상 피해자의 삶이 피폐해지는 것을 막고, 엄중한 법의 심판을 구하기 위해 고소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아울러 “장 전 의원이 해야 할 일은 잘못을 인정하고 피해자에게 제대로 사과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피해자 ㄱ씨는 지난 1월17일 고소장을 접수한 뒤 세 차례 경찰 조사를 받았다. 장 전 의원은 지난 28일 경찰에 출석해 조사받았다. 장 전 의원은 성폭력 피소 사실이 알려진 지난 4일 페이스북을 통해 “고소인의 고소 내용은 거짓”이라며 “엄중한 시국에 불미스러운 문제로 당에 부담을 줄 수가 없어 당을 잠시 떠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71 尹선고일 정해지자 아전인수 여론전…"4:4 기각" "8:0 인용" 랭크뉴스 2025.04.01
47270 ‘두 학번 같은 수업’ 돌아온 의대생… 일부 ‘재휴학’ 조짐도 랭크뉴스 2025.04.01
47269 유승준, 데뷔 28년 자축 "팬 실망시킬 줄 몰라…참 어리석었다" 랭크뉴스 2025.04.01
47268 한덕수 권한대행 “적 도발하면 압도적으로 대응해 도발 의지 분쇄” 랭크뉴스 2025.04.01
47267 지진 붕괴 직전 52층 다리 뛰어넘은 한국인… “딸 구해야 한다는 생각만” 랭크뉴스 2025.04.01
47266 ‘헌재 100m 진공상태’ 시작됐다…선고 당일 안국역 폐쇄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1
47265 “코인도 금도 아냐”1~2년 후 가격 6배 뛰는 유망 투자처는? 랭크뉴스 2025.04.01
47264 “고된 뱃일에 스트레스 받았다”…동료 선원 살인·시신유기한 선장 랭크뉴스 2025.04.01
47263 성범죄 혐의 조사 받던 20대, 경찰서 건물서 투신해 사망 랭크뉴스 2025.04.01
47262 “붕괴 이전으로 돌아가요”…박해일 등 영화인 1025명 ‘윤석열 파면’ 성명 랭크뉴스 2025.04.01
47261 헌재 본관 창문 커튼 싹 내렸다…'尹 운명의날' 지정 후 철통 보안 랭크뉴스 2025.04.01
47260 中서 샤오미 전기차 사고 후 폭발… 3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01
47259 임지봉 "선고일 공지 의미?‥탄핵 인용 결정" [4일 尹탄핵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258 ‘반값 실손’ 연말께 나온다…중증 입원 자기부담 500만원 한도 신설 랭크뉴스 2025.04.01
47257 ‘1호 헌법연구관’의 확신 “윤석열, 만장일치 파면…기각 땐 군사 독재 시대로” 랭크뉴스 2025.04.01
47256 尹 운명 쥔 8인의 헌법재판관…앞선 탄핵·권한쟁의 판단은 랭크뉴스 2025.04.01
47255 서울 관악경찰서에서 조사받던 피의자 투신해 숨져 랭크뉴스 2025.04.01
47254 미얀마 강진 닷새째… 2700명 사망·440명 실종 랭크뉴스 2025.04.01
47253 이재명 ‘위증교사 사건’ 항소심, 6월3일 변론 종결···이르면 7월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252 이재명 위증교사 항소심 6월 3일 종결… 선고일은 '미정'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