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인 집도 전소됐지만… "젊은 제가 나서야죠"
7시간씩 잿더미 긁어가며 실종자 수색하기도
이재민 위해 자원봉사 손길… '세심 배려'까지
경북 산불 대응에 투입된 소방관들이 28일 경북 청송군 청송군민운동장에 마련된 집결지 건물 복도에서 컵라면 등으로 식사를 하고 있다. 청송=뉴시스


"이곳 의용소방대원 19명 중 6명은 집이 전소됐어요. 저도 그 여섯 중 한 명입니다."


27일 경북 안동시 길안면에서 만난 의용소방대원 황창희(58)씨는 지친 기색이 역력했다. 일반 시민들로 구성된 의용소방대는 화재나 재난상황 시 소방관들을 보조하는 일종의 '예비군'이다. 소방 호스를 연결·연장해 소방관들이 특정 지점까지 올라갈 수 있도록 후방 지원한다. 올해 의용소방대에 자원한 황씨는 1주일 가까이 불길을 막느라 분주했다. 방염복도 없이 이곳저곳에서 불과 사투를 벌이는 동안, 화염은 그의 집까지 삼켜 버렸다. 황씨는 "불이 도깨비처럼 튀어다니면서 순식간에 넓은 지역을 훑고 지나갔다"며 몸을 떨었지만 꿋꿋한 모습이었다. "마을에 젊은 사람이 없는데 저라도 도움이 돼야 하지 않겠어요."

의성군에서 시작돼 경북 북동부 지역 5개 시·군을 휩쓴 '괴물 산불'의 주불이 발화 엿새 만인 28일 진화됐다. 이번 산불로 24명(경남 산청 산불 사망자 4명 제외)이 숨졌고, 주택 등 시설 4,646곳이 불에 탔으며 여의도 156개 면적이 소실됐다. 산불에 쫓겨 터전을 나온 이재민도 3만3,000명이 넘는다. 불길이 휩쓴 6일은 고통의 시간이었지만, 화염과 싸우며 이재민을 포용한 수많은 이들의 땀방울이 빛났던 시간이기도 했다.

화마와 맞서 싸운 이들

27일 경북 안동 길안면 대곡1리에 위치한 의용소방대원 황창희씨의 주택이 전소돼 무너져 있다. 안동=강지수 기자


소방대원들은 산불 최전선에서 온 힘을 짜냈다. 의성군 산불 대응에 투입된 영주소방서 김주철 소방관은 28일 한국일보 통화에서 "(화재가 가장 심했던) 25, 26일은 교대를 못 하고, 옷도 갈아입지 못한 채 이틀 꼬박 불을 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싸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큰 불길은 잡았지만 잔불 제거를 위해 전국 소방서 소속 대원들은 야산에 투입돼 낙엽 사이사이까지 훑어내리고 있다.

불길에 산산이 무너진 집을 헤집으며 분투한 구조대원들도 있다. 조양현(60) 전남소방본부 119특수구조대장은 화마가 영덕을 덮친 이튿날인 26일, 영덕읍 석1리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이모(101)씨를 찾아나섰다. '불바다'가 됐던 현장은 처참했다. 전소돼 형체도 알 수 없이 내려앉은 집터에서, 조 대장과 대원들은 호미와 갈퀴로 하루 꼬박 재를 긁어내며 고인의 흔적을 찾았다. "장례를 치르고 싶으니 작은 시신 조각만이라도 꼭 찾아달라"던 유족의 눈물을 외면할 수 없었다. 그러나 7시간 넘는 사투 끝에 겨우 찾아낸 건 작은 뼛조각 몇 개뿐이었다. 조 대장은 "황토집이 무너지면서 불로 가마처럼 달궈져 있었다. 30년 소방관 생활에서 처음 느껴보는 열기가 확 끼쳐왔다"며 "(상황상) 고인이 완전히 소사(燒死)하신 걸로 추정된다"고 눈시울을 붉혔다.

경북 지역 산불 대응에 투입된 소방 구조대원들이 26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1리의 전소된 주택을 호미·곡괭이 등으로 수색하고 있다. 조양현 전남소방본부 119특수구조대장 제공


이재민 보듬은 손길들

26일 경북 안동시 임동면에 세워진 무료급식소가 화재 대응에 투입된 공무원과 의용소방대원들로 붐비고 있다. 안동=김나연 기자


소방·구급 대원의 '밥심'을 챙기러 팔을 걷어붙인 이들도 있었다. 26일 낮 12시쯤, 안동시 임동면 무료급식소에서 바삐 일하던 새마을부녀회장 최희자(69)씨는 기자를 보자마자 "식사하시겠느냐"고 권했다. 최씨는 25일 불이 급격히 번진 것을 보고 이튿날 오전 곧장 급식소를 차렸다. "주민들이 배라도 채워야 덜 슬프지 않겠느냐. 작은 보탬이라도 되려고 나와 있다"며 분주히 밥을 펐다. 이곳을 찾은 의용소방대원 이덕철(55)씨는 "지난밤 한숨도 못 자고, 집마다 찾아다니며 밤새 구조한 뒤 먹는 첫 끼"라며 급히 한술 떴다.

대피소 곳곳에선 삶의 터전을 잃은 이들의 아픔을 보듬으려는 도움의 손길도 눈에 띄었다. 28일 안동시 대피소인 안동체육관은 이재민뿐 아니라 전국에서 달려온 자원봉사자들로 붐볐다. 경국대 간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신지영·김솔이(이상 21세)씨는 휴교한 틈에 도움의 손길을 보태러 왔다. 이들은 "우리 집도 안동과 멀지 않은 예천이라서 남 일 같지가 않다"며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돕고 싶다"고 입을 모았다. 체육관에 차려진 식혜·쌀국수 배급 천막에서 일하던 60대 정모씨도 "우리 집 역시 불에 지붕이 녹아내렸다"면서도 "나도 머리가 복잡하지만, 여기라도 나와서 서로 아픔을 나누고 싶었다"고 말했다.

28일 경북 안동시 안동체육관에 설치된 산불 피해 이재민 대피소에 이재민들이 모여 앉아 있다. 안동=강지수 기자


고된 대피소 생활을 돕기 위한 '세심한 고민'도 보였다. 영덕군 축산면 대피소인 축산면사무소에서 28일 만난 자원봉사자 서모(57)씨는 삼삼오오 모인 이재민들에게 다가가 "차를 불러 곧 목욕탕에 모시고 가겠다"고 알렸다. 서씨는 "벌써 나흘째인데 씻지를 못하니, 지금은 씻는 게 급한 것 같아서 봉사단체 회장님들과 차량을 조율 중"이라며 "가시려는 분이 많으면 다른 면에 있는 큰 목욕탕으로 어르신들을 모셔 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안동체육관에서 아이들의 색칠 공부를 도와주던 유하영 안동시가족센터장은 "어제 현장을 둘러보니 이재민 중 아이들도 적지 않아 오늘 바로 센터에서 나와 부스를 차렸다"며 "아이들은 물론 적적하실 어르신들을 위한 윷놀이 도구도 마련해 놨다"고 전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28 野 "최상목, 환율위기에 美국채 베팅" 崔측 "자녀유학 준비로 보유" 랭크뉴스 2025.03.31
46827 "尹 파면" 시국선언 서울대 교수에…"관상이 좌파상" 학내 저격 랭크뉴스 2025.03.31
46826 김수현 “미성년자 교제 아녔다”···고 김새론 유족 반박하며 소송전 알려 랭크뉴스 2025.03.31
46825 한덕수, 이재명 회동 제안 사실상 거부…“현안 우선 대응 뒤 검토” 랭크뉴스 2025.03.31
46824 [단독]계엄 날 “KBS에 줄 간첩죄 보도 자료 준비” 진술에도···안 캐물은 검찰 랭크뉴스 2025.03.31
46823 '서부지법 폭동' 촬영 감독 무죄 주장‥"기록은 예술가의 소명" 랭크뉴스 2025.03.31
46822 국회 법사위 소위, ‘임기연장’ 등 헌재법개정안 야당 주도 의결 랭크뉴스 2025.03.31
46821 [단독] 野 ‘재판관 임기 연장’ 추진에 “2012·2017년 위헌소지 의견” 랭크뉴스 2025.03.31
46820 ‘우리편 재판관’ 확보전… 사법불신 키우는 정치 랭크뉴스 2025.03.31
46819 김승연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 아들에 증여 랭크뉴스 2025.03.31
46818 [속보]강남 마지막 판자촌 ‘구룡마을’, ‘초품아’ 대단지로 다시 태어난다 랭크뉴스 2025.03.31
46817 ‘위헌’ 마은혁 미임명은 놔두고···문형배·이미선 후임 지명 요구한 여당 랭크뉴스 2025.03.31
46816 배우 김수현 기자회견 "교제는 사실‥미성년 때 아냐" 가세연 등에 120억 원 손배소 랭크뉴스 2025.03.31
46815 '성폭행 혐의' 장제원, 여당서도 공개 비판... "죄 지었으면 처벌받아야" 랭크뉴스 2025.03.31
46814 野,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소위 의결…與 '반헌법' 반발(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813 민주, 내일 '쌍탄핵' 가능성…韓은 '침묵' 속 국무위원 간담회 예고(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812 여야 '추경' 위해 만났지만... '尹 호칭' 두고 입씨름만 벌이다 헤어졌다 랭크뉴스 2025.03.31
46811 별·우주를 노래한 윤하, 과학 유튜버와 결혼 랭크뉴스 2025.03.31
46810 [속보] 국회 법사위 소위, ‘임기연장’ 등 헌재법개정안 야당 주도 의결 랭크뉴스 2025.03.31
46809 김수현 “김새론 20살 때 교제…120억 손배소 유족·가세연에 제기”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