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6일 미국 워싱턴 디시(D.C.)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사인을 했다. 연합뉴스

미국 트럼프 정부가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자동차에도 ‘관세 폭탄’을 예고하며 국내 완성차·부품 업계에 일제히 비상이 걸렸다. 연간 140만대에 이르는 미국 수출 차량에 관세가 매겨지면 국내 자동차 생산·수출·고용 전반이 직격탄을 맞게 돼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했던 충격인데도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선 정부를 향한 비판도 적지 않다.

국내 자동차 산업은 생산 물량 기준 세계 7위로, 제조업 노동자 10명 중 1명이 차·부품 제조업체에서 일한다. 전체 자동차 수출액의 절반에 육박하는 최대 시장인 미국의 관세 장벽과 현지 생산 확대 등으로 중소·중견 업체들이 존폐의 위기를 겪고 일자리 감소로 인해 ‘한국판 러스트벨트(제조업 쇠락 지역)’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018년 전북 군산에선 한국지엠(GM)이 자동차 공장을 폐쇄하면서 지역 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입은 바 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통계를 보면, 지난해 국내 공장에서 생산된 자동차(상용차 포함) 413만대 가운데 수출 물량은 278만대다. 3대 중 2대가 국외로 나간다는 뜻이다. 전체 자동차 수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차량 대수 기준으로 51.5%(143만대), 수출액 기준으론 49.1%(347억달러)에 이른다.

수출 확대를 이끈 것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2016년부터 시행된 자동차 무관세였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다음달부터 25%의 관세를 외국산 자동차에 물리면, 국내 자동차 제조 생태계는 미국 현지 생산에 견줘 경쟁력을 잃을 판이다. 전체 완성차 생산 물량의 51%(2024년 기준) 남짓을 국내 울산·화성 공장 등에서 만드는 현대차와 기아도 발등에 불이 떨어진 건 마찬가지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현대차그룹의 미국 현지 생산 비중이 다른 경쟁사보다 낮은 편이어서 이번 조처의 여파도 더 클 수밖에 없다. 한국은 안보 문제로 유럽연합(EU)이나 캐나다처럼 강경하게 나서기 어려운 만큼 국내 일자리 감소 등을 막기 위한 민관 협업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했다.


한국지엠의 위기감은 더 크다. 국내 생산 물량의 84.8%(지난해 기준 약 42만대)를 미국으로 수출해 미국 시장 의존도가 절대적이다. 트럼프 정부 출범 직후 공장 철수설이 7년 만에 다시 불거진 이유다. 금속노조 관계자는 “최악의 경우 현대차그룹과 한국지엠의 국내 생산 물량이 100만대까지 줄어들 수 있는 만큼 산업 공동화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다”며 “정부가 국산 부품 사용과 내수 촉진 등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타격이 큰 건 대응 여력이 떨어지는 중소·중견 부품 업체들이다. 한국자동차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 1만7천곳에서 일하는 종사자 수만 약 29만2천명에 이른다. 전체 하청 부품사의 44.7%는 연 매출 300억원 미만으로,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가 부품까지 확대 시행되는 오는 5월3일 이전에 자구책을 마련하기가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다.

이 판국에 정부는 대책을 다음달에 내놓겠다고 ‘지각 대응’을 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지난달 중순부터 자동차·반도체·의약품 등 품목별 관세를 매기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7일 현대차·만도 등과 회의를 열고 “우리 자동차 기업들의 대미 수출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거로 우려된다”며 다음달께 자동차 산업 비상 대책을 내놓겠다고 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42 “휴지 없어, 화장실 청소도 해”…‘치사’한 트럼프의 작은 정부 [뉴스in뉴스] 랭크뉴스 2025.04.02
47641 AI 기술 적용된 軍 장비, 국회 예산 삭감에 도입 하세월 랭크뉴스 2025.04.02
47640 권성동, 이복현에 “금감원장이 감히 대통령 운운, 오만한 태도” 랭크뉴스 2025.04.02
47639 서울경찰, 尹선고일 24시간 대응…서울에 기동대 1만4천명 투입 랭크뉴스 2025.04.02
47638 ‘25시간 5분’ 꼬박 서서 트럼프 비판, 최장 연설 신기록 세운 미 상원의원 랭크뉴스 2025.04.02
47637 [단독]시민 폭행한 ‘UDT 출신’ 보수 유튜버, 경찰은 “조치할 권한 없다” 뒷짐 랭크뉴스 2025.04.02
47636 “아빠, 집 사게 30억원 빌려줘요”···국토부, 편법 증여 등 위법 의심거래 고강도 조사 랭크뉴스 2025.04.02
47635 "기내에선 따뜻한 커피 절대 마시지 마라" 여객기 내부자들의 폭로 랭크뉴스 2025.04.02
47634 산불에 어르신 업고 뛴 인니 선원... 법무부 "장기거주 자격 부여 검토" 랭크뉴스 2025.04.02
47633 수원 오피스텔 앞 거리서 모녀 숨진 채 발견... 옥상서 추락 랭크뉴스 2025.04.02
47632 민주당 “한덕수 재탄핵, 윤석열 선고 이후 결정…최상목 탄핵은 오늘 보고” 랭크뉴스 2025.04.02
47631 인천 연수구 아파트서 방화 추정 화재...주민 15명 대피 랭크뉴스 2025.04.02
47630 “뇌 닮은 반도체로 응용”…세계 최고 삼진법 光소자 개발 [이달의 과기인상] 랭크뉴스 2025.04.02
47629 챗GPT 가입자 5억 명 돌파…‘지브리 열풍’에 고급 기능도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2
47628 '지브리 놀이' 전세계 유행 타더니…챗GPT 이용자 5억명 돌파 랭크뉴스 2025.04.02
47627 47억 아파트 샀는데 30억 아빠가 빌려줘…국토부, 위법 거래 조사 랭크뉴스 2025.04.02
47626 ‘재산 누락 혐의’ 이병진 의원, 1심서 당선 무효형 랭크뉴스 2025.04.02
47625 ‘계엄에 미군 투입 가능’ SNS 주장에…주한미군 “허위 정보” 랭크뉴스 2025.04.02
47624 탄핵선고 D-2…헌재 인근 24시간 철야집회로 도로 통제·출근길 혼잡 랭크뉴스 2025.04.02
47623 [단독] 중국시계 12만개 국내산 둔갑…제이에스티나 대표 기소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