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후 5시 기준 진화율 63%, 오전보다 19% 올라…산불 영향 구역 3만5697㏊
119 산불특수대응단이 27일 오후 청송읍 청운리에서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경북도소방본부 제공


경북 5개 시·군을 휩쓸고 있는 의성 산불이 엿새 만에 역대급 피해를 낳으며 계속 동쪽으로 확산하고 있다.

당국은 일몰과 함께 야간 대응 체재로 전환했으며 인력 3700명, 진화 장비 651대를 투입해 야간 진화작업을 펼친다.

세계문화유산인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주변 잔불을 정리하고 안동시내 방면으로 불이 근접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저지선을 구축할 계획이다.

청송지역에서는 주왕산국립공원을 보호하기 위한 인력을 투입하고 광범위한 산불 피해가 진행 중인 영덕에는 산불 재난 특수진화대 8개 팀을 배치한다.

하지만 이날 야간에도 산불 현장에는 순간 최대풍속이 초속 8∼10m인 강풍이 불어 진화 작업은 더디게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강한 바람과 극도로 건조한 날씨 등이 이어져 가파르게 확산하는 산불에 당국이 속수무책으로 당하면서 며칠 새 진화율은 뚝 떨어졌고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이런 까닭에 이번 의성 산불은 ‘역대 최악’의 산불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지난 24일 낮 12시 기준으로 71%까지 올랐던 의성·안동 산불 진화율은 사흘 만에 60%대 초반으로 내려갔다. 다수 사망자가 발생한 영덕 진화율은 60%, 영양 진화율은 55%에 각각 그치고 있다.

특히 의성산불 확산 속도는 한때 시간당 8.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 중인 것으로 조사됐고이런 까닭에 이날 오후 5시 기준 이번 북부권 산불영향구역은 3만5697㏊로 집계됐다.

경북 북부 일부지역에 27일 저녁 빗방울이 떨어진 것과 관련, 산림 당국은 산불 주불 진화에 직접적인 요인이 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산불 확산이나 다른 지역으로의 비산화 등 위험은 낮추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의성 등 일부 지역에 내린 비로 주불이 진화되는 상황은 아니지만 산불이 확산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비화할 가능성은 줄어들었다”며 “진화대원들이 연기에 갇히는 위험도 낮아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브리핑에 참석한 기상청 관계자는 “산불이 번진 모든 지역에 비가 내린 것은 아니지만 의성 일부 지역에 강수량 1㎜가 기록됐다”며 “충청 부근에서 강수대가 동진하고 있는데 오늘 밤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일(28일) 오전 3시까지는 빗방울 가능성이 있고 울진과 영덕 일부 지역에는 오전 중에 많지는 않지만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날 높은 습도 탓에 전날보다 비교적 순조롭게 진화작업이 이뤄지면서 오후 진화율은 오전보다 19% 오른 63%로 추산됐다.

임 산림청장은 “오늘은 진화 작업하기에 좋은 여건이어서 진화율이 크게 올랐다”며 “하지만 모레부터는 상층에서 찬 공기가 내려오고 모레 이후로는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돼 날씨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야간에는 지상 진화인력을 투입해 서풍이 불 것으로 예보된 안동 시내 쪽 방면의 저지선 구축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임 산림청장은 “청송 주왕산국립공원과 영양읍 확산 위험 지역에 적극적으로 진화 인력을 투입할 예정”이라며 “특히 영덕의 경우 산불영향 구역이 넓기 때문에 산림청 산불 재난 특수진화대 8개 팀을 배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95 “원자폭탄 334개 위력”…미얀마 강진 나흘째, 사망자 1600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30
46394 정산 계획 내놓지 못한 발란…결제서비스까지 전면 중단 ‘잠정 폐업’ 랭크뉴스 2025.03.30
46393 고령 고객 개인정보로 대출 받은 휴대전화 대리점 직원 송치 랭크뉴스 2025.03.30
46392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의대생도 전원 등록…복귀 '대세'로 랭크뉴스 2025.03.30
46391 삼전 주주만 516만 명인데…전자주총땐 발언·의결권 행사 현실적 불가 랭크뉴스 2025.03.30
46390 정부, 산불 피해 대응 등 '10조 추경안' 내놨지만… 여야, '재난 예비비' 공방만 랭크뉴스 2025.03.30
46389 韓, 野 재탄핵 경고에도 침묵… 마은혁 임명 ‘여야 합의’ 고수 랭크뉴스 2025.03.30
46388 민주 "당장 파면 결단‥마은혁 1일까지 임명 안하면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387 헌재 앞 탄핵 반대 철야집회 확대…찬성측 파면촉구 서명운동(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386 한덕수 ‘마은혁 임명’ 침묵…민주 “윤 복귀 위한 위헌적 버티기” 랭크뉴스 2025.03.30
46385 내일 공매도 전면 재개…‘공매도 실탄’ 대차잔고 20억주 쌓였다 랭크뉴스 2025.03.30
46384 [뉴스와 경제+] 48조!31조! 잇따른 미국 투자 약속에도‥상호 관세 '임박' 랭크뉴스 2025.03.30
46383 의대생 복귀 확산…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전원 복학 완료 랭크뉴스 2025.03.30
46382 권성동 "야권 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 법안 추진‥국헌문란 시도" 랭크뉴스 2025.03.30
46381 "가족 9명 깔려, 생후 20일 아들까지" 한국서 애타는 미얀마인들 랭크뉴스 2025.03.30
46380 ‘티몬부터 홈플러스·발란까지’... ‘생존 게임’ 나선 유통업계, 약체 기업 줄도산 랭크뉴스 2025.03.30
46379 데드라인 하루 앞두고 부산대·충남대 의대생도 전원 복귀 랭크뉴스 2025.03.30
46378 "메리츠를 '한국의 버크셔'로"…주총서 CEO 건강 챙긴 주주들 랭크뉴스 2025.03.30
46377 ‘불쏘시개’ 침엽수 위주 숲가꾸기 사업, 산림청은 왜 귀닫고 있나 랭크뉴스 2025.03.30
46376 경남북 산불 주불 진화 공식 발표…"사망 30명 등 사상자 75명"(종합)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