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법, 2심 무죄 파기자판 거의 없어
"대통령 재판 출석, 헌법 취지 반해"
李 대선 사법리스크 사실상 사라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법에서 열린 공직선거법 사건 항소심 선고 공판을 마친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검찰이 상고했지만, 이 대표 대선 가도에 최대 걸림돌인 '사법리스크'는 사실상 사라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 대표의 형사재판 5개 가운데 선거법 사건은 가장 속도가 빨랐다. 2심에서 유죄가 선고됐다면 법률심(사실관계는 심리하지 않고 항소심 법률 판단의 잘못 여부만 심리하는 재판)인 대법원 재판만 남아, 대선 전이든 당선 이후든 확정 선고가 내려지는 게 이론적으로 가능했다.

하지만 전날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하면서 이런 가능성은 '제로'에 가까워졌다. 항소심 무죄를 유죄로 바꾸려면, 항소심 재판이 다시 열려야 한다. 대법원 재판에는 양형심리 기능이 없어 파기자판(대법원이 원심 판단을 뒤집고 곧장 선고하는 것) 가능성은 거의 없다. 결국 ①대법원이 파기환송하고 ②파기 후 항소심에서 유죄를 선고한 뒤 ③대법원이 이를 확정하는 절차를 거쳐야 유죄 확정이 가능하다. 공직선거법상 신속 재판 조항(이른바 6·3·3원칙)에 따르더라도 이 과정은 최소 9개월이 걸린다. 윤석열 대통령이 파면되면 두 달 내 치러지는 조기 대선 이전에 이 대표가 유죄 확정 선고를 받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이 대표가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현직 대통령에 대한 1, 2심 재판이 진행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헌법 84조는 '대통령은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직 중 형사상 소추를 받지 아니한다'고 정하고 있다. '소추'가 기소만 의미하는지 재판까지 포함하는지를 두고는 법조계와 학계에서도 해석이 엇갈리지만, 현직 대통령을 형사 법정에 세우는 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데는 대체로 의견을 같이한다.

현실적인 문제도 있다. 형사재판은 피고인에게 출석 의무가 있다. 하지만 피고인이 현직 대통령이면 경호 문제로 출석 때마다 법원을 통째로 비워 법원의 재판활동을 마비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현직 대통령의 재판 출석은 윤 대통령 체포 뒤 진행된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이 유일했다.

한상희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불소추특권의 취지는 대통령 직무를 방해하지 말라는 것"이라며 "원심 법원의 법리만을 판단하는 대법원 재판은 허용될 수 있어도, 피고인 출석 의무가 있는 1, 2심 재판은 대통령 임기 시작과 동시에 멈춘다고 봐야 한다"고 밝혔다. 검사장 출신의 한 변호사는 "대통령에 대한 형사재판이 가능하다고 해석하면, 유력 정치인을 무더기로 기소해 대통령 임기 내내 재판을 받도록 하는 권력이 검찰에게 부여되는 셈"이라며 "이는 대통령 직무 수행을 보호하고자 한 불소추특권 취지에 반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일각에선 대법원 최종 판단 전까지는 사법리스크가 남아있다고 해석한다. 현직 대통령에 대한 재판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여전히 대법원 몫이기 때문이다. 장영수 고려대 교수는 "이 대표는 5개의 형사재판을 받고 있고, 대통령 당선 이후에도 재판 진행 여부는 해당 재판부가 판단하는 것"이라며 "선거법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단이 다른 재판부 판단의 기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43 경북 영덕서 산불감시원 숨진 채 발견‥바닷가 마을도 잿더미 랭크뉴스 2025.03.27
45142 울주 온양산불, 6일 만에 주불 잡혀…‘단비’에 진화 속도 랭크뉴스 2025.03.27
45141 日연구소 “2075년 韓소득순위 21위, 일본 45위로 추락” 랭크뉴스 2025.03.27
45140 [속보] 울산 울주 온양 산불 6일만에 진화···산림청 “128시간만에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27
45139 기다리던 굵은 비에 ‘환호’…아쉬운 강수량 랭크뉴스 2025.03.27
45138 지리산 확산 저지‥하동 주불 잡기 총력전 랭크뉴스 2025.03.27
45137 울산시 "울주 온양 산불 발생 엿새째 만에 완전 진화" 랭크뉴스 2025.03.27
45136 대법원, ‘형제복지원 사건’ 피해자에 국가배상 첫 확정 랭크뉴스 2025.03.27
45135 산불 진화 100% 완진…이 시각 울주 랭크뉴스 2025.03.27
45134 검찰, ‘윤석열 가짜 출근’ 취재한 한겨레 기자 무혐의 아닌 기소유예 랭크뉴스 2025.03.27
45133 지리산 천왕봉 4.5㎞ 앞까지 불길…“봉우리로 번지면 속수무책” 랭크뉴스 2025.03.27
45132 한화에어로, 3.6조 유상증자 일시정지… 금감원 제동 걸려 랭크뉴스 2025.03.27
45131 의성에 내린 비 1㎜…“도움은 되지만 주불 진화에는 한계” 랭크뉴스 2025.03.27
45130 지리산 천왕봉 4.5㎞ 앞까지 불길…“강풍 불면 걷잡을 수 없어져” 랭크뉴스 2025.03.27
» »»»»» 검찰 상고했지만... 대선 전 이재명 대법 선고 사실상 불가능 랭크뉴스 2025.03.27
45128 의성 산불…시간당 8.2km 날아 동해안 도달 랭크뉴스 2025.03.27
45127 [속보] 울산시 “울주 온양 산불 발생 엿새째 만에 완전 진화” 랭크뉴스 2025.03.27
45126 “800m 호스 들고 산 중턱까지…고령자 많고 전문장비 못 받은 채 투입” 랭크뉴스 2025.03.27
45125 이집트 홍해서 관광 잠수함 가라앉아 6명 사망 랭크뉴스 2025.03.27
45124 "이쪽 꺼지면 저쪽에서 활활"‥20헥타 태우고 200명 대피 랭크뉴스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