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7일 오전 대규모 경북 산불의 피해를 입은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의 모습. 오동욱 기자


“우리는 바닷가 방파제 밑 공간에 엎드려 숨만 쉬고 있었지.”

지난 25일 산불 피해를 본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의 이미상 이장(62)은 27일 기자와 만나 당시 대피 상황을 이렇게 표현했다. 그는 산에서 넘어오는 “불뭉치“의 화력이 강해 바닷가 석리방파제로 대피를 했는데도, 열기 때문에 숨을 제대로 쉴 수 없어 방파제 아래 계단으로 불어오는 바람에 숨을 겨우 쉬었다고도 했다.

윤석열 정부가 추진해온 신규 원전(천지1·2호)의 유력 후보지역인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가 이번 산불로 전소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곳은 한때 신규 원전 건설부지로 선정됐다가 한차례 취소된 뒤 최근들어 원전 건립이 재추진되고 있는 지역이다. 전문가들은 산불 위험이 있는 지역에 원전 건설은 매우 위험하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27일 찾아간 석리 마을은 포탄이라도 떨어진 듯한 모습이었다. 산불이 마을을 덮쳐 쑥대밭이 돼 있었다. 염소와 소, 닭의 울음만이 들렸다.

커다란 슬레이트 지붕들이 화염에 구겨져 길바닥에 나뒹굴었다. 시멘트벽으로 쌓은 벽면은 군데군데 무너져 내려있었다. 집 몇몇 곳에선 아직도 매캐한 연기가 새어나왔고, 한 집의 보일러실로 보이는 곳에서는 빨간 불꽃이 타닥타닥 소리를 내며 타고 있었다.

대규모 산불 피해를 입은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의 길 위에는 길게 전깃줄이 늘어져 있다. 오동욱 기자


주변 산도 불을 피하지 못했다. 마을 주민들 말처럼 “지면을 타며 가는 게 아니라 하늘을 날았다”는 화염에 산마다 나무가 검게 타버린 채 꽂혀있었다. 그 위로는 방화용 소방헬기가 방화수를 담는 가방을 아래로 늘어뜨린 채 날고 있었다. 마을 안에도 큰 돌과 풀, 흙마저도 검게 그을려 있었다. “대나무가 빽빽했다”던 야트막한 언덕도 잿더미만 남았다.

산불로 60여 가구가 피해를 본 이곳 석리는 신규 원전의 가장 유력한 후보지다. 지난 2월 국회 상임위를 통과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신규 원전 건립이 담겼는데, 석리는 주민동의율이 높아 가장 유력한 후보지역으로 꼽혔다.

석리는 과거 신규 원전부지로 확정된 적도 있었다. 문재인 정부 들어 탈원전 정책이 추진되면서 확정이 취소됐다. 주민들도 “저 타버린 산까지 해서 이 근방 100만평 가량이 원자력부지로 선정된 공간이었다”고 말했다.

27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에 불에 타 무너진 집의 잔해가 방치돼 있다. 백민정 기자


이날 오전 마을의 전 어촌계장 이우용씨(62)는 자신의 축사 앞 개울가에서 물통에 물을 채우고 있었다. 10마리 정도 되는 소들이 마실 물을 뜨기 위해서였다. 지난 25일 벌어진 경북지역 산불 피해로 물마저 끊기면서 당장 취할 수밖에 없는 방법이었다. 기초적인 설비는 물만이 아니었다. 마을의 전기선은 땅에 길게 늘어져 있었고, 휴대전화에는 “서비스제한구역”이라는 표시가 마을 밖 3㎞를 벗어날 때까지도 이어졌다.

이씨는 “저기(마을을 둘러싼 산)에서부터 불이 보이기 시작하더니 3분도 채 되지 않아 불바다가 됐다”고 화재 당시를 기억했다. 이어 “(당시 바람에 의해) 타고 다니는 1t(톤) 트럭이 좌우로 흔들릴 정도”며 “우리 옆으로 불똥도 막 날아오고 칼바람이 불어오니까 피해가 컸다”고 말했다.

27일 산불로 마을이 전소된 영덕군 영덕읍 석리 마을에서 어촌계장 이우용씨가 개울가에서 물을 뜨고 있다. 오동욱 기자


이곳에 실제 원전이 들어섰다면 어떻게 됐을까. 전문가들은 “화재 다발 지역에 원전을 짓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행여 주변 산을 다 밀어내서 직접적인 화재 피해를 막는다해도, 원전으로 이어지는 송전선로 등이 불에 타면 발전소 정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박종운 동국대 에너지전기공학과 교수는 이날 기자와 통화하면서 “불꽃보다 정원 시설을 타격해 발전소 정전을 유발하게 되면 원전의 냉각이 불가능할 수 있다”며 “이게 심해지면 후쿠시마처럼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양이원영 전 의원은 “울진삼척 산불 때문에 한울송전선로가 완전히 끊기기 직전까지 갔다”며 “전력 공급이 대규모로 끊겨버리면 전력망 안정성이 깨지며 대규모 정전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주민들은 원전 건립을 여전히 원한다는 입장이다. 한 주민은 “어차피 타버린 김에 더 탈 것도 없으니 전부 원자력발전소가 들어오면 좋겠다”고 했다. 화재피해를 복원하는 대신 원전을 짓고 아예 주민들을 이주시키자는 얘기였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50 경찰, 산림보호법 위반 혐의로 '경북 산불' 50대 입건 랭크뉴스 2025.03.30
46149 [영상]붉은 행성 정착, 이렇게나 어렵다고?…“유독성 먼지가 풀풀” 랭크뉴스 2025.03.30
46148 [속보]경찰, ‘의성 산불’ 실화 혐의 50대 입건···곧 대면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147 안동·의성 산불 긴장감…이 시각 안동 대피소 랭크뉴스 2025.03.30
46146 산불의 60% 이상이 '소각 부주의'…강원도 "불법소각 엄중 처벌" 랭크뉴스 2025.03.30
46145 리스, 파트타임...서울시가 법인택시 월급제 손대려는 까닭 랭크뉴스 2025.03.30
46144 경찰 '경북산불' 실화 혐의 50대 입건…"산림보호법 위반" 랭크뉴스 2025.03.30
46143 [속보]경찰, ‘의성 산불’ 실화 혐의 50대 입건 랭크뉴스 2025.03.30
46142 하마터면… 야구장 구조물 추락해 3명 부상, 경기 취소 랭크뉴스 2025.03.30
46141 “커피값이라도 아껴야죠”...불황이 불러온 ‘초저가’ 전성시대 랭크뉴스 2025.03.30
46140 [단독]‘김건희 공천’ 노리고 명태균에 돈 준 여권인사 더 있다···검찰, 명단 확보 랭크뉴스 2025.03.30
46139 과자 먹을 아이들 수 줄었는데… 제과사들의 3색 생존법 랭크뉴스 2025.03.30
46138 장고 빠진 尹 탄핵 선고…내달 4일이냐, 11일이냐?[안현덕의 LawStory] 랭크뉴스 2025.03.30
46137 라스베이거스 카지노서 사라진 中…"하룻밤 3억" 이 나라가 큰손 랭크뉴스 2025.03.30
46136 3년 전 ‘윤석열 홍보’ 중국어 책 선물한 ‘화교TK’ 학자... 尹은 외면, 이유는? 랭크뉴스 2025.03.30
46135 맘카페처럼 '찐정보' 나누는, 의외의 곳…커뮤니티 만드는 백화점 [New & Good] 랭크뉴스 2025.03.30
46134 '尹 4월 선고' 전망에 여야 강경론 득세…중도층 반감은 딜레마 랭크뉴스 2025.03.30
46133 “아들 수술비인데…” 한마디에 폐기물업체 직원들이 한 일 [작은영웅] 랭크뉴스 2025.03.30
46132 김혜수까지 모델로 썼는데...망할 위기 놓인 ‘이 회사’ 랭크뉴스 2025.03.30
46131 뉴진스 전속계약 분쟁서 어도어 1승…공방 장기화할 듯 [장서우의 판례 읽기]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