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순간최대풍속 초속 35m 강풍에
의성 산불 끄던 진화대원도 대피
서산-영덕고속도로 전면 차단
울주·의성·하동도 특별재난지역
24일 경북 의성군 산불 현장에서 경북소방본부 119산불특수대응단원들이 불길을 잡기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다. 경북소방본부 제공


지난 21일 시작된 영남지방 대형 산불이 발생 나흘째인 24일에도 확산했다. 진화헬기와 소방차, 진화대원 등 가용자원을 총동원했지만 강풍과 짙은 연기에 막혀 큰 불길을 잡는 데 실패했다. 순간최대풍속 초속 35m의 강풍이 몰아친 의성 산불은 안동시로 번졌고, 산청 산불은 하동군까지 위협하고 있다.

산림청과 소방 당국 등에 따르면 산불대응 3단계가 발령된 경남 산청군, 경북 의성군, 울산 울주군 산불은 이날도 계속 확산했다. 오후 6시 기준 진화율은 산청 85%, 의성 60%, 울산 울주 83%다. 특히 의성 산불은 낮 한때 진화율이 71%까지 올랐지만 오후 들어 강풍이 몰아치며 다시 떨어졌다.

급기야 오후 4시 10분쯤 의성군과의 경계인 안동시 길안면 현하리 야산으로도 불길이 옮겨붙었다. 산림청과 소방 당국은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진화에 나섰지만 강풍에 올라탄 화마는 결국 저지선을 뚫었다. 바람이 워낙 강해 진화에 투입한 헬기 60대 중 소형 헬기 일부는 이륙에도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의성 산불의 경우 오후 6시 기준 산불영향구역이 8,490㏊로 늘어 2022년 울진·삼척 산불 이후 최대 규모가 됐다. 총 화선은 164㎞이고, 66.4㎞에 걸쳐 진화를 하고 있다.

화선이 커지면서 산불영향구역 주민은 물론 진화대원에게도 대피 명령이 내려졌다. 의성군은 이날 오후 2시 34분쯤 "현재 산 속에 있는 진화대원들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라"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했다. 안동시도 길안면, 남선면, 임하면 일대 주민들에게 인근 실내체육관이나 마을회관, 학교 등으로 대피하라고 안내했다.

지난 22일 낮 발화한 울주 산불도 강풍을 타고 계속 번지고 있다. 농막작업 용접 불꽃으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산불영향구역은 404㏊, 총 화선은 16.1㎞로 집계된다. 울주 주민 185명이 온양읍사무소 등으로 대피 중이다.

4명이 숨지고 8명이 부상한 산청 산불도 이날까지 불길을 잡지 못했다. 산불영향구역은 1,553㏊에 총 화선은 53㎞이고, 8㎞를 진화 중이다. 산청 산불은 인접한 하동군 옥종면까지 번져 산불로 대피한 주민이 전날 저녁(589명)보다 2배 많은 1,143명으로 늘었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진화헬기 및 진화 인력 등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주불 진화와 인명·민가 피해 방지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21일 경남 산청군에서 시작된 대형 산불이 24일 오후 산등성이를 타고 하동군 옥종면으로 확산하자 산림 당국이 헬기를 동원해 진화 작업을 펼치고 있다. 산청=뉴시스


산불 영향으로 서산-영덕고속도로 차단과 통행 재개도 반복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는 이날 오후 1시 20분부터 서산-영덕고속도로 북의성IC-동안동IC구간을 전면 차단한 데 이어 3시 35분부터는 영덕까지 통제 구간을 확대했다.

영남 산불이 연일 커지자 정부는 먼저 지정한 산청군에 이어 이날 울주군, 의성군, 하동군도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선포했다. 탄핵 기각 결정으로 업무에 복귀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는 이날 오후 의성군 안평면 산불 현장 지휘소를 방문해 현황을 보고 받고 "산불 진화를 위한 지원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030 가좌역 물 고임 운행중단 경의중앙선…코레일 "1일 첫차부터 재개" 랭크뉴스 2025.04.01
47029 [단독] 이재용 일주일 중국 출장 동행, 반∙배∙디 수장 총출동했다 랭크뉴스 2025.04.01
47028 [단독] 같은 산불 사망에 안전보험 보장액 제각각...영양 7000만 원, 의성 3000만 원 랭크뉴스 2025.04.01
47027 ‘10년 전 비서 성폭행’ 장제원, 숨진 채 발견… “타살 혐의점 없어” 랭크뉴스 2025.04.01
47026 서학개미 대거 물린 테슬라…월가 공매도 세력은 15兆 벌었다[인베스팅 인사이트] 랭크뉴스 2025.04.01
47025 美, 韓 무역압박 '교본' 나왔다…소고기부터 車·법률·국방·원전까지 총망라 [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4.01
47024 장제원 전 의원, 서울 강동구 오피스텔서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01
47023 전화도 안 받는 한덕수‥"윤석열 복귀 작전인가" 랭크뉴스 2025.04.01
47022 美, 韓무역장벽 7쪽 분량 발표…소고기부터 망사용료까지 망라 랭크뉴스 2025.04.01
47021 삼쩜삼 대항… 국세청, ‘수수료 0원’ 소득세 환급서비스 출시 랭크뉴스 2025.04.01
47020 美, 상호관세 앞두고 韓 무역장벽으로 '국방 절충교역' 첫 명시(종합) 랭크뉴스 2025.04.01
47019 경의중앙선 운행 1일 첫차부터 재개 랭크뉴스 2025.04.01
47018 美, 韓 무역장벽 7쪽 분량 발표… 수입차, 망사용료 등 랭크뉴스 2025.04.01
47017 美, 상호관세 앞두고 韓의 수입소고기 30개월 월령 제한 지적 랭크뉴스 2025.04.01
47016 옥죄여오는 상호관세···작은 공장들, 숨통이 막힌다 [문닫는 공장] 랭크뉴스 2025.04.01
47015 한국 무역장벽 '소고기', '망 사용료' 명시 랭크뉴스 2025.04.01
47014 우리 집이 정부와 공동명의?···‘도입 n회차’ 지분형 주택금융 관건은 랭크뉴스 2025.04.01
47013 [속보]美 무역대표부, 한국 비관세 장벽으로 쇠고기, GMO 등 총망라 랭크뉴스 2025.04.01
47012 美, 한국의 디지털 무역장벽으로 망사용료·플랫폼법 등 거론 랭크뉴스 2025.04.01
47011 美, 상호관세 앞두고 韓 무역장벽으로 '국방 절충교역' 첫 명시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