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순간최대풍속 초속 35m 강풍에
의성 산불 끄던 진화대원도 대피
서산-영덕고속도로 전면 차단
울주·의성·하동도 특별재난지역
24일 경북 의성군 산불 현장에서 경북소방본부 119산불특수대응단원들이 불길을 잡기 위해 사투를 벌이고 있다. 경북소방본부 제공


지난 21일 시작된 영남지방 대형 산불이 발생 나흘째인 24일에도 확산했다. 진화헬기와 소방차, 진화대원 등 가용자원을 총동원했지만 강풍과 짙은 연기에 막혀 큰 불길을 잡는 데 실패했다. 순간최대풍속 초속 35m의 강풍이 몰아친 의성 산불은 안동시로 번졌고, 산청 산불은 하동군까지 위협하고 있다.

산림청과 소방 당국 등에 따르면 산불대응 3단계가 발령된 경남 산청군, 경북 의성군, 울산 울주군 산불은 이날도 계속 확산했다. 오후 6시 기준 진화율은 산청 85%, 의성 60%, 울산 울주 83%다. 특히 의성 산불은 낮 한때 진화율이 71%까지 올랐지만 오후 들어 강풍이 몰아치며 다시 떨어졌다.

급기야 오후 4시 10분쯤 의성군과의 경계인 안동시 길안면 현하리 야산으로도 불길이 옮겨붙었다. 산림청과 소방 당국은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진화에 나섰지만 강풍에 올라탄 화마는 결국 저지선을 뚫었다. 바람이 워낙 강해 진화에 투입한 헬기 60대 중 소형 헬기 일부는 이륙에도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의성 산불의 경우 오후 6시 기준 산불영향구역이 8,490㏊로 늘어 2022년 울진·삼척 산불 이후 최대 규모가 됐다. 총 화선은 164㎞이고, 66.4㎞에 걸쳐 진화를 하고 있다.

화선이 커지면서 산불영향구역 주민은 물론 진화대원에게도 대피 명령이 내려졌다. 의성군은 이날 오후 2시 34분쯤 "현재 산 속에 있는 진화대원들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라"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했다. 안동시도 길안면, 남선면, 임하면 일대 주민들에게 인근 실내체육관이나 마을회관, 학교 등으로 대피하라고 안내했다.

지난 22일 낮 발화한 울주 산불도 강풍을 타고 계속 번지고 있다. 농막작업 용접 불꽃으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산불영향구역은 404㏊, 총 화선은 16.1㎞로 집계된다. 울주 주민 185명이 온양읍사무소 등으로 대피 중이다.

4명이 숨지고 8명이 부상한 산청 산불도 이날까지 불길을 잡지 못했다. 산불영향구역은 1,553㏊에 총 화선은 53㎞이고, 8㎞를 진화 중이다. 산청 산불은 인접한 하동군 옥종면까지 번져 산불로 대피한 주민이 전날 저녁(589명)보다 2배 많은 1,143명으로 늘었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진화헬기 및 진화 인력 등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주불 진화와 인명·민가 피해 방지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21일 경남 산청군에서 시작된 대형 산불이 24일 오후 산등성이를 타고 하동군 옥종면으로 확산하자 산림 당국이 헬기를 동원해 진화 작업을 펼치고 있다. 산청=뉴시스


산불 영향으로 서산-영덕고속도로 차단과 통행 재개도 반복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는 이날 오후 1시 20분부터 서산-영덕고속도로 북의성IC-동안동IC구간을 전면 차단한 데 이어 3시 35분부터는 영덕까지 통제 구간을 확대했다.

영남 산불이 연일 커지자 정부는 먼저 지정한 산청군에 이어 이날 울주군, 의성군, 하동군도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선포했다. 탄핵 기각 결정으로 업무에 복귀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는 이날 오후 의성군 안평면 산불 현장 지휘소를 방문해 현황을 보고 받고 "산불 진화를 위한 지원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067 임무 중 실종된 미군 4명 중 3명 시신 발견…리투아니아서 뭔일 랭크뉴스 2025.04.01
47066 [단독] 한림대 의대생도 '전원 복귀'… 미등록 의대 한 곳만 남았다 랭크뉴스 2025.04.01
47065 “이 판단이 그렇게도 어려운 일인가?”…서울대 교수 헌재에 ‘신속 선고’ 주문 랭크뉴스 2025.04.01
47064 SK증권 "한화, 그룹 승계 완료로 주가 불확실성 해소"[줍줍리포트] 랭크뉴스 2025.04.01
47063 벚꽃 폈다구요? “이 나무 가지에 세 송이 활짝 피어야 기록됩니다” 랭크뉴스 2025.04.01
47062 [속보] ‘성폭력 피소’ 장제원 전 의원, 숨진 채 발견…현장서 유서 나와 랭크뉴스 2025.04.01
47061 크래프톤은 베이비몬스터, 블리자드는 르세라핌… ‘인기 걸그룹’과 손잡는 게임업계 랭크뉴스 2025.04.01
47060 “갈치구이 인당 10만 원”…제주지사의 작심 발언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01
47059 장제원 전 의원, 어젯밤 숨진 채 발견…"현장서 유서 발견" 랭크뉴스 2025.04.01
47058 '너도나도 지브리 프사'…이미지 생성 열풍에 챗GPT 역대급 이용 랭크뉴스 2025.04.01
47057 예대금리차 통계 작성 후 최대… 은행 배만 불린다 랭크뉴스 2025.04.01
47056 트럼프 "북한과 소통 중... 김정은과 뭔가 하게 될 것" 랭크뉴스 2025.04.01
47055 한국인 1인당 年 18회 외래진료…OECD 3배, 75∼79세 41회 랭크뉴스 2025.04.01
47054 [속보]장제원 전 의원, 유서 남기고 숨진 채 발견···성폭력 고소인 측 “기자회견 취소” 랭크뉴스 2025.04.01
47053 매번 말로만 “FDA 승인 임박”…HLB는 언제쯤 볕들까요[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01
47052 [속보] 트럼프 "상호관세 디테일, 美동부시간 1일밤 내지 2일 보게될것" 랭크뉴스 2025.04.01
47051 금융사 말만 믿고 옮겼다간 '낭패'…퇴직연금 중도해지 손실 폭탄 랭크뉴스 2025.04.01
47050 “높은 월세 감당 못 해”…중국 사회 초년생의 회사 화장실살이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01
47049 엄마 교통사고가 내 탓? 불의의 사고?... 복제인간 '미키'들은 왜 성격이 다를까 랭크뉴스 2025.04.01
47048 [속보]트럼프 "반도체법, 前정부보다 나은 협상할 것" 보조금 재협상 시사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