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위스 알프스 산맥의 론 빙하. 기후변화로 빙하가 빠르게 녹는 걸 막기 위해 지난해 여름 빙하의 일부분(사진 오른쪽 아래)을 하얀 천으로 덮었다. AFP=연합뉴스
‘영원한 얼음’으로 불리는 빙하가 소멸할 위기에 처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 빙하의 녹아내리는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유럽 알프스 산맥은 21세기 들어 40% 가까운 빙하가 사라졌다.

세계기상기구는 21일(현지시각) “2022~2024년은 관측 역사상 3년 동안 가장 큰 규모로 빙하가 감소한 해”라며 “지난 6년 중 5년은 가장 빠른 빙하 후퇴를 목격한 해로 기록됐다”고 밝혔다.

지구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전례 없는 속도로 빙하를 녹이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전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대비 1.55도 상승하면서 1.5도 선을 처음으로 돌파했다. 1.5도는 국제사회가 2015년 파리 기후변화 협약에서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합의한 마지노선이다.



알프스 빙하 21세기 이후 40% 사라져
21세기 이후(2000~2023년) 지역별 빙하 손실. 전 세계적으로 빙하의 질량이 5.4% 줄었으며, 알프스를 포함한 중부 유럽(11번)은 38.7% 줄었다. The GlaMBIE Team 제공
빙하는 그린란드부터 아시아의 히말라야, 유럽의 알프스,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산맥까지 대륙을 가리지 않고 모든 곳에서 녹아내렸다. 그중에서도 알프스 산맥은 빙하 손실이 가장 큰 지역으로 꼽힌다. 유럽 8개국에 걸쳐 1000㎞가 넘는 알프스는 지구에서 가장 크고 높은 산맥 중 하나로 수천 개의 빙하가 있다.

지난 2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21세기 이후(2000~2023년) 알프스를 포함한 중부 유럽의 빙하가 38.7%의 질량 손실을 겪었다. 40%에 가까운 빙하가 24년 만에 사라진 셈이다.



하얀 얼음 대신 회색 바위
그레이트 알레치 빙하(the Great Aletsch Glacier)도 소멸 위기에 놓인 얼음 덩어리 중 하나다. 알레치 빙하는 길이 20㎞, 무게 100억t(톤)에 달하는 알프스 최대 빙하다. 융프라우요흐 전망대에서 이 광활한 빙하를 보기 위해 연간 100만 명 이상이 찾는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최근 알레치 빙하가 지난 40년 동안 얼마나 녹아내렸는지 보여주는 두 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NASA의 지구 관측 위성이 1984년 9월과 2024년 8월에 각각 촬영한 빙하의 모습이다.

2024년 8월에 촬영한 그레이트 알레치(가운데 영역) 빙하의 모습. 하얀 눈과 얼음으로 덮여 있던 지역이 줄면서 회색 땅이 넓어졌다. 계곡을 따라 형성된 빙하의 길이는 1984년(아래 사진) 이후로 1300m가량 후퇴했다. NASA 제공
두 사진을 보면 빙하의 길이와 폭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하얀 눈과 얼음으로 뒤덮여 있던 곳 중 많은 영역이 회색 바위로 바뀌었다. 스위스 빙하 모니터링 네트워크(GLAMOS)에 따르면, 알레치 빙하는 1984년 이후로 1300m 이상 후퇴했다. 또한 빙하 두께가 얇아지면서 폭도 좁아졌다.

1984년 9월에 촬영한 그레이트 알레치 빙하의 모습. NASA 제공
스위스 과학 아카데미는 “기후변화가 이대로 진행되면 얼음 강이 사라지고 회색 계곡만 남겠지만, 온난화를 2도 이하로 억제한다면 일부 얼음을 보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마티아스후스 GLAMOS 이사는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알프스의 거의 모든 빙하가 사라질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고지대에 있는 알레치 빙하가 일부 얼음을 보존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산악빙하는 자연 급수탑 “20억 식량 위기”
오스트리아의 빙하에서 물이 떨어지는 모습. AP=연합뉴스
높은 산악 지역에 있는 빙하는 세계의 급수탑 역할을 한다. 빙하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전 세계 수십억 명의 식수와 농업용수로 활용된다. 빙하가 고갈되면 하류에 사는 사람들의 물 공급이 위협받게 된다. 유네스코는 지금처럼 빙하가 예측불가능한 속도로 녹아내리면 20억 명이 물과 식량 위기를 겪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여기에 산사태 등 자연 재해의 위험도 커진다.

유엔(UN)도 22일 세계 물의 날을 맞아 올해 주제를 ‘빙하 보존’으로 꼽았다. 그만큼 빙하가 지구 물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WMO)의 설레스트 사울로 국장은 “빙하 보존은 단지 환경 및 경제·사회적 필요가 아니다. 생존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06 영남 산불 사망 30명·부상 43명, 피해 면적 482㎢…의성 재발화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3.29
46005 국회의장에 경고한 국민의힘…“중립 지켜달라”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29
46004 경찰, '문형배 살인 예고' 글 올린 유튜버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3.29
46003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명 넘어‥부상자 2천376명 랭크뉴스 2025.03.29
46002 "심우정 딸이나 수사해라!" 문재인 소환 통보에 민주당 '분노' 랭크뉴스 2025.03.29
46001 권성동 "이재명·김어준 내란선동 고발"…野 "황당무계 헛소리"(종합) 랭크뉴스 2025.03.29
46000 “존경하는 여덟분의 재판관님” 헌재앞 민주당 의원들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29
45999 미얀마 군정 “사망자 1,002명 확인”…“사상자 수 1만 명 넘을 수도” 랭크뉴스 2025.03.29
45998 민주당 “권성동, 목적어 헷갈렸나…내란죄 묻겠다면 윤석열 고발하라” 랭크뉴스 2025.03.29
45997 때아닌 눈인데 색깔도 낯설다?…수도권서 '검은 눈' 목격담 랭크뉴스 2025.03.29
45996 산불 속 봄 축제 고심…‘축소 진행’ 진해군항제 두고 갑론을박도 랭크뉴스 2025.03.29
45995 권성동 "'내각총탄핵'은 내란음모, 이재명·김어준·野 초선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94 미얀마 강진 사망자, 하루만에 1000명 넘었다…부상자 2376명 랭크뉴스 2025.03.29
45993 검찰, 천하람 소환… 명태균, 이준석 만난 '칠불사 회동' 확인 랭크뉴스 2025.03.29
45992 미얀마 혈액 턱없이 부족…"사망 1만명 이상, 여진 몇달 갈수도" 랭크뉴스 2025.03.29
45991 명태균 수사팀, ‘칠불사 회동’ 천하람 원내대표 참고인 조사 랭크뉴스 2025.03.29
45990 권성동 “‘내각 총탄핵’ 예고 민주당 초선의원·이재명 등 72명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89 부동산 계약 체결 후 잔금지급기일 이전 매도인이 사망하면?[이철웅의 법으로 읽는 부동산] 랭크뉴스 2025.03.29
45988 권성동 "'내각 줄탄핵 경고' 민주당 초선·이재명 등 72명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87 [속보] 산림청, 경남 산청·하동 오늘 주불 진화 어려워…진화율 99%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