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위스 알프스 산맥의 론 빙하. 기후변화로 빙하가 빠르게 녹는 걸 막기 위해 지난해 여름 빙하의 일부분(사진 오른쪽 아래)을 하얀 천으로 덮었다. AFP=연합뉴스
‘영원한 얼음’으로 불리는 빙하가 소멸할 위기에 처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 빙하의 녹아내리는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유럽 알프스 산맥은 21세기 들어 40% 가까운 빙하가 사라졌다.

세계기상기구는 21일(현지시각) “2022~2024년은 관측 역사상 3년 동안 가장 큰 규모로 빙하가 감소한 해”라며 “지난 6년 중 5년은 가장 빠른 빙하 후퇴를 목격한 해로 기록됐다”고 밝혔다.

지구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전례 없는 속도로 빙하를 녹이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전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대비 1.55도 상승하면서 1.5도 선을 처음으로 돌파했다. 1.5도는 국제사회가 2015년 파리 기후변화 협약에서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 합의한 마지노선이다.



알프스 빙하 21세기 이후 40% 사라져
21세기 이후(2000~2023년) 지역별 빙하 손실. 전 세계적으로 빙하의 질량이 5.4% 줄었으며, 알프스를 포함한 중부 유럽(11번)은 38.7% 줄었다. The GlaMBIE Team 제공
빙하는 그린란드부터 아시아의 히말라야, 유럽의 알프스,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산맥까지 대륙을 가리지 않고 모든 곳에서 녹아내렸다. 그중에서도 알프스 산맥은 빙하 손실이 가장 큰 지역으로 꼽힌다. 유럽 8개국에 걸쳐 1000㎞가 넘는 알프스는 지구에서 가장 크고 높은 산맥 중 하나로 수천 개의 빙하가 있다.

지난 2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21세기 이후(2000~2023년) 알프스를 포함한 중부 유럽의 빙하가 38.7%의 질량 손실을 겪었다. 40%에 가까운 빙하가 24년 만에 사라진 셈이다.



하얀 얼음 대신 회색 바위
그레이트 알레치 빙하(the Great Aletsch Glacier)도 소멸 위기에 놓인 얼음 덩어리 중 하나다. 알레치 빙하는 길이 20㎞, 무게 100억t(톤)에 달하는 알프스 최대 빙하다. 융프라우요흐 전망대에서 이 광활한 빙하를 보기 위해 연간 100만 명 이상이 찾는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최근 알레치 빙하가 지난 40년 동안 얼마나 녹아내렸는지 보여주는 두 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NASA의 지구 관측 위성이 1984년 9월과 2024년 8월에 각각 촬영한 빙하의 모습이다.

2024년 8월에 촬영한 그레이트 알레치(가운데 영역) 빙하의 모습. 하얀 눈과 얼음으로 덮여 있던 지역이 줄면서 회색 땅이 넓어졌다. 계곡을 따라 형성된 빙하의 길이는 1984년(아래 사진) 이후로 1300m가량 후퇴했다. NASA 제공
두 사진을 보면 빙하의 길이와 폭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하얀 눈과 얼음으로 뒤덮여 있던 곳 중 많은 영역이 회색 바위로 바뀌었다. 스위스 빙하 모니터링 네트워크(GLAMOS)에 따르면, 알레치 빙하는 1984년 이후로 1300m 이상 후퇴했다. 또한 빙하 두께가 얇아지면서 폭도 좁아졌다.

1984년 9월에 촬영한 그레이트 알레치 빙하의 모습. NASA 제공
스위스 과학 아카데미는 “기후변화가 이대로 진행되면 얼음 강이 사라지고 회색 계곡만 남겠지만, 온난화를 2도 이하로 억제한다면 일부 얼음을 보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마티아스후스 GLAMOS 이사는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알프스의 거의 모든 빙하가 사라질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고지대에 있는 알레치 빙하가 일부 얼음을 보존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산악빙하는 자연 급수탑 “20억 식량 위기”
오스트리아의 빙하에서 물이 떨어지는 모습. AP=연합뉴스
높은 산악 지역에 있는 빙하는 세계의 급수탑 역할을 한다. 빙하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전 세계 수십억 명의 식수와 농업용수로 활용된다. 빙하가 고갈되면 하류에 사는 사람들의 물 공급이 위협받게 된다. 유네스코는 지금처럼 빙하가 예측불가능한 속도로 녹아내리면 20억 명이 물과 식량 위기를 겪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여기에 산사태 등 자연 재해의 위험도 커진다.

유엔(UN)도 22일 세계 물의 날을 맞아 올해 주제를 ‘빙하 보존’으로 꼽았다. 그만큼 빙하가 지구 물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WMO)의 설레스트 사울로 국장은 “빙하 보존은 단지 환경 및 경제·사회적 필요가 아니다. 생존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13 하회마을·병산서원도 위태‥'문화유산 방어전' 사투 랭크뉴스 2025.03.28
45212 "얘네들 다 탔네 어떡해"…거센 산불 속 '목줄'에 묶여 홀로 남겨진 개들 랭크뉴스 2025.03.28
45211 국민연금, 고려아연 ‘이사 수 상한’ 찬성…최윤범 측 주총 승기 랭크뉴스 2025.03.28
45210 금감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증 일단 막았다 “당위성, 주주소통 미흡” 랭크뉴스 2025.03.28
45209 미국 제철소 짓는 현대제철, 인천공장은 셧다운 랭크뉴스 2025.03.28
45208 멕시코, 美와 車부품 등 관세우대 협상중…"내달 2일 발표 목표" 랭크뉴스 2025.03.28
45207 산불 확산 속 골프장 영업 강행 논란 랭크뉴스 2025.03.28
45206 한국판 ‘러스트벨트’ 우려…트럼프 관세, 국내 자동차업계 직격타 랭크뉴스 2025.03.28
45205 [Today’s PICK] 토허제 재지정 위력 컸다…송파 집값 58주만에 하락 랭크뉴스 2025.03.28
45204 홍준표, 이재명 무죄에 "오히려 잘됐다…차기 대선 더 편해져" 랭크뉴스 2025.03.28
45203 이승환 공연에 응원봉 들고 "파면"…광화문 탄핵촉구 집회(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28
45202 "또 산불 날 뻔"…지리산으로 번지려던 화재, 여행 중이던 소방관이 '맨몸 진압' 랭크뉴스 2025.03.28
45201 지리산 천왕봉 향하는 불길‥밤샘 진화 총력 랭크뉴스 2025.03.28
45200 美이민당국 '팔레스타인 지지' 터프츠大생 루이지애나 이송 랭크뉴스 2025.03.28
45199 인턴부터 사장까지 “일 하루 쉽니다”…사유: 윤석열 파면 미뤄서 랭크뉴스 2025.03.28
45198 청송서 1명 사망 추가 확인‥경북 산불 사망자 24명 랭크뉴스 2025.03.28
45197 국민은행 점포 가서 하나은행 대출 받는다…은행대리업 상반기 시행 랭크뉴스 2025.03.28
45196 전북 ‘무주 산불’ 축구장 130개 면적 태우고 꺼졌다 랭크뉴스 2025.03.28
45195 미국인들도 '간장게장' 맛 알게 될까…통영서 만든 게장, 美 수출길 열었다 랭크뉴스 2025.03.28
45194 사장단 부른 구광모 “절박감 갖고 전략·실행 불일치 떨쳐내자” 랭크뉴스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