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2월 21일 울산시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25일 국가·지역전략사업 단지를 선정하면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할 수 있다고 한 곳을 보면 환경 보전 가치가 높은 1·2등급 지역이 80%에 달한다. 환경단체 등에선 기후위기 시대에 역행하는 정책으로 “정부가 사실상 개발제한구역 자체를 없애겠다는 것”이라며 반발했다. 실제로 지역 경제를 살리지 의문이라는 지적과 함께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를 앞둔 시기에 대규모 규제 완환책을 내놓는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정부 발표에 따라 해제가 검토되는 비수도권 개발제한구역 42㎢에 가운데 환경평가 1·2등급지가 74%(31㎢)를 차지한다. 환경평가 1·2등급지는 대부분 창원권과 울산권에 분포해 있다. 울산의 수소 융복합밸리 산단의 경우 1·2등급지가 사업지의 80%에 달했고, 창원 도심융합기술단지는 78%에 달한다.

환경 평가 1·2등급지는 원칙적으로 개발이 차단된 지역이다. 정부는 지난해 2월 총선을 앞두고 윤석열 대통령이 민생토론회를 하면서 이곳을 개발하겠다고 선언했고, 그해 4월 국토부는 훈령을 바꿔 그린벨트에 편입할 대체 부지를 마련하면 개발이 가능토록 했다.

25일 국토부가 발표한 개발제한구역 비수도권 전략사업 선정 지역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국토교통부는 해제된 그린벨트 면적만큼 신규 대체 그린벨트를 지정해 1·2등급 전체 그린벨트 총량을 맞추도록 ‘안전 장치’를 설계했다고 강조했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해제된 그린벨트를 얼마나 실효성 있게 대체할 수 있을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장 그린벨트 대체 부지를 마련하기가 쉽지 않은 데다 국토부는 이미 훼손된 지역도 그린벨트로 편입할 수 있다는 방침이어서 녹지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녹색연합·환경운동연합·풀씨행동연구소 등 환경단체 10곳은 공동 성명을 내고 “개발제한구역은 도시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 완충지대이자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생태축”이라며 “정부는 단기적인 경제 논리를 앞세운 환경 규제 완화 정책을 즉각 중단하라”고 밝혔다.

임희자 마창진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은 “창원권은 이미 국지적으로 그린벨트를 해제하고도 사업성이 인정 안 돼 공사조차 못 하는 지역이 수두룩하다”며 “남은 그린벨트 해제 총량이 50%를 넘는 상황에서 추가로 규제를 푸는 것은 난개발을 부추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진우 서울환경연합 생태도시전문위원도 “국제 협약에 따라 보전지역을 늘려가야 되는 상황에서 기존의 그린벨트를 송두리째 개발할 땅으로 바꾼다는 것은 기후위기 대응에 거꾸로 가는 정책”이라고 말했다.

25일 국토부가 발표한 개발보전구역 비수도권 전략사업 선정 결과. 국토교통부 제공


지역경제 살리기 취지의 사업이라고 하지만 실제로 효과를 발휘할 지에 대해서도 평가가 갈린다. 마강래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는 “인구가 빠져나가고 산업이 쇠퇴하는 지역에서 외곽만 자꾸 개발하면 도심이 황폐화된다”며 “그린벨트를 해제해 외곽에 도시기반시설을 새로 설치하는 것은 도시계획 측면에서 낭비적이고 지양해야 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우명제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광역 대도시권 인구도 계속 줄어드는 만큼 지역 거점을 선택하고 집중 조성해 인근 광역시와 연결하는 방향은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거점 간 연결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발표 시기도 논란이다.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대규모 규제 완화 정책을 내놓을 것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이런 대규모 정책은 선거나 국민의 심판을 받고 난 뒤에 추진해야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05 [속보] 국힘 “계엄 절박함 충분히 설명···임기 언급 의미심장” 최후진술 두둔 new 랭크뉴스 2025.02.25
47504 “폭탄 터지는 소리에 창문 흔들”…철근·콘크리트 얽혀 참혹 new 랭크뉴스 2025.02.25
47503 윤석열, 최종변론 7시간 지각 출석…저녁 9시께 등장 new 랭크뉴스 2025.02.25
47502 “당선인이 밀라고 해”…김건희 여사·명태균 녹취 첫 공개 new 랭크뉴스 2025.02.25
47501 끝까지 사과는 없었다···‘간첩’만 25번, 선동 가득한 윤석열 최후진술 new 랭크뉴스 2025.02.25
47500 野 “尹, 개헌 복귀 구상에 섬뜩…내란범 다시 권력 쥐겠다는 속내”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99 ‘임기단축’ 카드 꺼낸 尹… 與 ‘탄핵 기각’ 목소리 커질 듯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98 尹의 최종진술 “계엄은 대국민 호소”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97 尹 "계엄 후 84일, 내 삶의 가장 힘든 날…국민께 감사·송구" [최후진술 전문]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96 [단독] 혼자 사는 이웃 여성 집에 녹음기 설치‥컴퓨터에선 무더기 '불법 촬영물'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95 국민의힘 "대통령, 진솔한 변론·국민 통합 메시지‥이제 헌재의 시간"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94 尹탄핵심판, 8시간 최종변론 끝에 종결…3월 중순 선고 전망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93 정청래 "마음에 안든다고 국민 린치해도 되나…양심 있어야"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92 아내가 휘두른 양주병에 숨진 '부동산 1타 강사'...제자들 추모글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91 “尹 파면” “공산당 가라”… 인근 찬탄·반탄 집회로 난장판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90 야권 "윤석열, 끝까지 내란 인정 안 해‥개헌 운운 섬뜩"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89 尹 "잔여 임기 연연 않겠다"…최후진술서 임기단축 개헌 시사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88 윤석열 최종진술 “거대 야당이 북한 지령 받아 탄핵 선동”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87 尹 “직무 복귀한다면 개헌과 정치개혁에 집중” new 랭크뉴스 2025.02.25
47486 정청래 "윤석열은 몽상에 빠진 권력자, 만장일치로 신속 파면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