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올 성장률 전망도 1.5%로 하향
이창용 “재정 공조” 강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 이후 이어진 기준금리 3% 시대가 막을 내렸다. 한국은행은 통화정책 방향을 한 달 만에 전환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 내수 부진 장기화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까지 겹치며 국내외 주요 기관들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하향 조정하자 경기 부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25일 열린 올해 두 번째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2.75%로 0.25%포인트 낮췄다. 금통위원 전원 일치 의견이다. 기준금리가 2%대를 기록한 건 2022년 10월 이후 2년 4개월 만이다.

앞서 한은은 지난해 8월까지 13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연 3.50%)했다가 10월부터 통화정책 기조를 완화(금리 인하)로 전환했다. 이후 10월과 11월 두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내렸고 이번이 세 번째 인하다. 직전 회의였던 올해 1월에는 비상계엄 쇼크로 인한 환율 불안 등으로 동결을 택한 바 있다.

이번 금리 인하는 경제 성장 둔화를 반영한 조치다. 한은은 이날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1.5%로 0.4%포인트 낮췄다. 한은이 연간 전망치를 0.4%포인트 이상 조정한 것은 2022년 11월 당시 이듬해 전망치를 0.4%포인트(2.1%→1.7%) 낮춘 이후 처음이다.

이번 한은 전망치(1.5%)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2.1%), 국제통화기금(IMF·2.0%), 정부(1.8%), 한국개발연구원(KDI·1.6%) 등보다 낮다. 주요 해외 투자은행(IB) 8곳의 평균 전망치(올해 1월·1.6%)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한은은 탄핵정국으로 인한 정치 불확실성을 주요 변수로 판단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 기조 아래 추진 중인 관세 정책도 영향을 줬다. 소비·건설 투자 등 내수 회복 지연과 수출 증가율 둔화 등 경기 하방 요인이 산재한 가운데 재정정책마저 여야 정쟁에 발이 묶인 상황이라는 점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추가경정예산(추경)이 시급하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지만 정치권 논의는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이 총재는 이날 금통위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도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공조를 강조하며 “15~20조 추경 집행 시 성장률이 1.5%에서 1.7%로 0.2%포인트 오르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추경은 꼭 필요한 곳에만 집행해야 하며 20조 이상은 “부작용이 크다”고 덧붙였다.

당분간 기준금리는 동결될 것으로 보이다. 이 총재는 “금통위원 6명 중 4명이 대내외 정책 여건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금리 추가 인하 여력이 빠르게 소진되는 데 대한 우려를 들었다”며 “(기준금리를) 3개월 내 연 2.75%로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이라고 밝혔다.

이어 “나머지 2명은 2.75%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도 열어놔야 한다는 의견”이라고 부연했다.

올해 안에 금리가 총 2~3회 인하될 수 있단 시장 전망엔 한은 금통위도 비슷한 시각을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에선 한은이 이번에 기준금리를 낮출 것이란 시각이 우세했다.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진 데다 최근 환율이 떨어진 것도 영향을 줬다. 환율은 올해 1월 금통위 당시 1460원대에서 2월 현재 1430원대로 내려왔다. 앞서 금융투자협회의 채권 전문가 100명 대상 조사에서도 절반 이상이 금리 인하를 전망했다(2025년 3월 채권시장지표).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23 윤 탄핵심판 마지막 증거 조사 마쳐…“국회 단전 있었다”·“의원 제지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22 [단독] 계엄 이틀 뒤, 국회협력단서 나온 종이가방 4개…검찰, 출입내역 확보(영상)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21 트럼프와 푸틴, ‘예측불허 브로맨스’는 어떻게 꽃피었나?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20 하다하다…국회 봉쇄없었다며 의장 월담 영상까지 낸 윤석열쪽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19 “박근혜 때는 사상자 발생”···윤석열 탄핵 결정 앞두고 경찰 초긴장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18 [속보] 국회 측 “선출된 사람이 선거 공정성에 의문 제기하면 민주공화국 존립 불가”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17 [속보] 국회 측 “비상계엄, 헌법 파괴·민주공화국 전복 행위...尹 신속히 파면돼야”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16 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차 심하게 떨려” “500m 밖에서도 굉음”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15 [2보] 헌재 '마은혁 임명보류' 권한쟁의 27일 결론…오전 10시 선고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14 [육성 공개] 김건희, 명태균에 “당선인이 전화해 ‘김영선 밀으라’ 했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13 이라크가 한국의 천궁-II를 구매한 소름 돋는 이유 [무기로 읽는 세상]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12 [속보] 헌재, 27일 ‘마은혁 재판관 불임명 권한쟁의심판’ 선고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11 ‘교량 붕괴’ 블박 영상 운전자 “5초만 늦었으면…끔찍”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10 FIU "업비트 3개월간 신규 고객 가상 자산 입출고 제한"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09 尹탄핵심판 마지막 변론…계엄군 단전·이재명 월담영상 증거로(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08 임성근 사단장 오늘 무사히 전역‥"부하 죽음 앞에 석고대죄하라" 비판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07 KDI “기초연금 재정지출 과도…노인 소득 ‘하위 70%’에서 ‘중위소득’으로 지급 기준 바꿔야”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06 [속보] FIU "업비트 3개월간 신규고객 가상자산 입출고 제한"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05 FIU, 업비트에 영업 일부정지 3개월 및 대표 문책·직원 면직 new 랭크뉴스 2025.02.25
47304 [속보] 헌재 ‘마은혁 임명 보류’ 권한쟁의심판 27일 선고 new 랭크뉴스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