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금통위,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
경기 둔화 가능성에 재개된 금리 인하
고환율 우려로 추가 인하는 늦어질 듯
“가파른 인하보다 완만한 흐름 예상”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75%로 내리면서 인하 흐름을 재개했다. 한은이 지난 2022년 10월 기준금리를 2.75%에서 3.0%로 인상하면서 막을 내렸던 기준금리 2% 시대가 다시 열리게 됐다. 비상계엄 이후 정국 불안이 이어지면서 경기 하방 리스크가 커진 것이 금리 인하의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25일 열린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75%로 0.25%포인트(p) 내렸다. 작년 10월·11월 연속 인하로 금리를 3.5%에서 3.0%까지 낮췄던 금통위는 지난달 금리를 동결하면서 숨 고르기에 나선 바 있다. 그러나 이번에 다시 금리를 내리면서 인하를 재개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스1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외환시장의 경계감이 여전하지만 물가상승률 안정세와 가계부채 둔화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해 경기 하방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면서 “앞으로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금통위를 앞두고 시장에서는 기준금리 인하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동결 가능성도 제기됐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2~17일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채권 운용 종사자 100명 중 55%는 한은이 2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다. 45%는 동결을 전망했다.

인하를 점치는 전문가들은 비상계엄과 탄핵정국 등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경제 성장세가 둔화된 것에 주목했다. 한은은 지난달 자체 블로그를 통해 올해 성장률이 종전 전망치(1.9%)보다 낮은 1.6~1.7%가 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지난 18일에는 이창용 총재가 국회에서 “성장률 전망 1.6%도 다시 보고 있다”고 밝히면서 추가 하향 조정 가능성도 커졌다.

지난달 금통위에서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인 전원이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밝힌 점도 인하 기대감을 높였다. 금통위원들은 당시 국내 경기가 예상보다 좋지 않은 상황인 만큼 단기적으로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과 대외 경제 여건의 변화를 확인한 이후 금리 인하를 통해서 경기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


다만 원·달러 환율이 높은 수준은 유지하고 있어 다음번 금통위에서도 금리 인하 행진이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환율은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직후 1486원대를 넘어서면서 금융위기 시기였던 2009년 3월 16일(1488.5원)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이후 헌법재판관 임명 등으로 정치 불안이 다소 해소되면서 1420원대로 내려왔지만, 여전히 1400원을 웃돌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고개를 들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된 점도 동결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 그룹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미국 연방기금 금리(FF) 선물시장 참가자들은 3월 FOMC에서 금리가 현행 연 4.25~4.5%로 동결될 확률을 95.5%로 예상하고 있다. 동결 확률은 한 달 전(72.4%)과 비교해 23.1%p 커졌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2분기 추가경정예산안 집행과 하반기 경기 개선 가능성, 물가 목표 수준(2.0%) 수준의 물가 상승률, 원화 약세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가파른 인하보다는 완만한 인하 흐름을 예상한다”면서 “이창용 총재도 금리 인하의 부작용으로 자산가격 상승 위험과 환율 절하 부담을 직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금통위는 금융중개지원대출(금중대) 금리를 연 1.50%에서 연 1.25%로 인하해 이날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금중대는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을 늘리기 위해 한은이 저금리로 자금을 공급하는 제도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04 [속보] 이창용 “올해 금리인하 횟수, 2월 포함 2~3회 가능성” 랭크뉴스 2025.02.25
47203 “덕분에 합격했는데…” 아내에 피살된 부동산 1타 강사 ‘충격’ 랭크뉴스 2025.02.25
47202 [단독] "판세 잘 짠다" 평판에 명태균 '스카우트'... 갈등 빚다 尹 부부 뇌관으로 랭크뉴스 2025.02.25
47201 중대재해 처벌 강화했는데…여전히 위험한 일터 [낮은곳 향하는 죽음]① 랭크뉴스 2025.02.25
47200 [속보] 17년 만에 그린벨트 손보는 정부…최상목 “해제 면적 확대” 랭크뉴스 2025.02.25
47199 [속보] 서울~세종 고속도로 천안 구간 교각 위 구조물 붕괴... 10명 매몰 랭크뉴스 2025.02.25
47198 [3보]천안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인부 3명 사망·5명 부상 추정 랭크뉴스 2025.02.25
47197 한동훈 “이재명이 가장 위험…유죄 막으려 계엄 할 수도” 랭크뉴스 2025.02.25
47196 [Why] 트럼프가 펜타곤을 장악하려는 이유 랭크뉴스 2025.02.25
47195 "화교는 수능 7등급도 서울대 의대 간다"…'화교 특혜' 알고보니 랭크뉴스 2025.02.25
47194 기준금리 연 2.75%로 인하…“내수·수출 다 어려워” 랭크뉴스 2025.02.25
47193 ‘기본급 500%’ 대한항공, 역대 최고 성과급 지급 랭크뉴스 2025.02.25
47192 [영상]"엿가락 부러지듯 와르르"…천안 교량 붕괴, 3명 사망·5명 부상 랭크뉴스 2025.02.25
47191 납기 늦은 美 로켓… 에스토니아, 한화 ‘천무’에 눈길 랭크뉴스 2025.02.25
47190 민주당 “정부, 우크라이나 북한군 포로 송환 추진하길 바란다” 랭크뉴스 2025.02.25
47189 충남 서산 LG화학·롯데케미칼서 정전, 공장 가동 중단 랭크뉴스 2025.02.25
47188 서산 LG화학·롯데케미칼 정전…공장 가동 중단(종합) 랭크뉴스 2025.02.25
47187 與, 상법·명태균특검법 거부권 요청키로…단일대오 내부정비(종합) 랭크뉴스 2025.02.25
47186 [속보]천안 고속도로 공사현장 구조물 붕괴…3명 사망·5명 부상 추정 랭크뉴스 2025.02.25
47185 “문값 물어내라고?” 소방관 손해배상 위기에 나선 시민들 랭크뉴스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