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군 지휘부 주요 진술로 본 ‘체포 지시’ 구체적 증거들


“문 부수라” 지시받은 곽종근

707 단장과 ‘국회 단전’ 논의


“계엄 미리 인지했다” 여인형

곽에 비화폰 기록 삭제 언급

‘체포 지시’ 증거 은폐 정황도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군 지휘부에 수차례 “국회의원들을 체포하라”고 지시한 사실이 계속 드러나고 있다. 국회와 수사당국,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등에 나온 군 관계자들이 당시 체포 지시 정황들에 대해 밝힌 내용이 점점 더 구체적으로 확인되면서다.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체포 지시는) 마치 호수 위에 떠 있는 달그림자 같은 얘기”라던 윤 대통령의 주장이 갈수록 힘을 잃고 있다.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등 비상계엄을 수행한 핵심 관계자들은 모두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체포 지시자’로 지목했다. 이들이 밝힌 당시 ‘계엄의 밤’ 관련 진술은 시간이 갈수록 구체적인 내용으로 전해지고 있다.

24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이진우 전 사령관은 지난해 12월 군검찰에서 계엄 선포 이후 윤 대통령으로부터 총 4차례 전화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윤 대통령이 두 번째 통화에서 “화를 내며 ‘4명씩 들어가면 1명씩은 데리고 나올 수 있지 않냐’고 했다”고 진술했다. 이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으로부터 ‘체포’라는 말을 들었다”며 “윤 대통령이 ‘4명이 들고 나오라’고 할 때 확 마음이 닫혔다”고 말했다. “체포하라는 대통령의 지시를 (부하들에게) 입 밖으로 되풀이한 것은 제정신으로 한 것은 아니었다”고도 말했다. 이 전 사령관은 최근까지도 내란 공범으로 기소된 자신의 상황 때문에 공개적인 발언을 회피해 왔으나 수사를 받으며 했던 발언들이 속속 확인되고 있다.

이 전 사령관은 당시 국회 앞에서 시민들이 계엄군을 막아서자 윤 대통령이 세 번째로 전화를 걸었다고 했다. 이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이 소리를 엄청 크게 지른 건 기억난다”며 “문을 부수란 얘기도 기억나고 ‘총’이라는 단어도 기억난다”고 했다. 다만 “총으로 어떻게 하라는 내용은 기억이 안 난다”며 “(윤 대통령이) ‘어, 어?’ 이러면서 악을 썼다”고 말했다. “문을 부수라”는 지시까지 하자 이 전 사령관은 “‘의사당 안에 있는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뜻으로 이해했다”고 했다. 당시 국회의사당에서는 계엄 해제를 위한 표결이 진행 중이었다.

특전사 병력 투입 지시를 받고 국회에 출동한 곽종근 전 사령관도 “윤 대통령이 직접 전화해 ‘의결정족수가 아직 안 된 것 같다.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국회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고 했다”고 밝혔다. 곽 전 사령관은 군검찰에서 “처음에 (국회) 봉쇄로 알고 갔고, 그 뒤에 추가로 계엄 해제 요구 표결 방해 임무를 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문을 부수라”는 지시를 두고 곽 전 사령관과 김현태 육군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이 ‘국회 단전’ 논의를 한 정황도 확인됐다. 곽 전 사령관의 피의자 신문조서를 보면 곽 전 사령관은 “의결정족수가 넘으면 안 된다는 생각에 김현태에게 ‘의원 150명 넘으면 안 된다’고 말했을 수 있다”며 “(국회 안에) 못 들어가면 전기로 표결을 못하게 하는 방법이 있는지 논의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 단장이 지난 18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출석해 “단전은 표결을 방해하려는 목적이 아니었다”고 증언한 것과 배치된다.

체포 지시 등의 증거를 은폐하려 한 정황도 속속 나오고 있다. 곽 전 사령관은 군검찰에서 “지난해 12월4일 오전 4시30분 계엄 해제 이후 여인형과의 통화에서 여인형이 ‘비화폰 통화기록을 삭제해야 한다’고 얘기했다”고 밝혔다.

여 전 사령관은 계엄 당일 김 전 장관으로부터 이른바 ‘체포조 명단’을 전화상으로 들었다고 군검찰에서 진술했다.

그는 “전화로 이름을 불러주면서 ‘잡아라’ ‘일단 국회로 가라’고 했다”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이 기억하는 체포 대상 명단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 모두 14명이다.

계엄 선포를 미리 인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정황과 진술도 나왔다. 여 전 사령관은 “첩보를 통해 미리 인지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 전 사령관의 휴대전화를 포렌식한 결과 계엄 선포 전날인 지난해 12월2일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문을 열 거나 부수는 데 사용하는 도구’를 검색했고, 계엄 당일 오전에는 ‘국회 해산이 가능한가요’를 검색한 사실도 확인됐다.

계엄 당일 밤 10시30분 김 전 장관이 계엄사령관으로 임명한 박안수 전 육군참모총장은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계엄포고령을 하달하란 윤 대통령의 지시를 받았고, 이를 이행했다고 군검찰에서 진술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97 한동훈 “이재명이 가장 위험…유죄 막으려 계엄 할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96 [Why] 트럼프가 펜타곤을 장악하려는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95 "화교는 수능 7등급도 서울대 의대 간다"…'화교 특혜' 알고보니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94 기준금리 연 2.75%로 인하…“내수·수출 다 어려워”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93 ‘기본급 500%’ 대한항공, 역대 최고 성과급 지급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92 [영상]"엿가락 부러지듯 와르르"…천안 교량 붕괴, 3명 사망·5명 부상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91 납기 늦은 美 로켓… 에스토니아, 한화 ‘천무’에 눈길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90 민주당 “정부, 우크라이나 북한군 포로 송환 추진하길 바란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89 충남 서산 LG화학·롯데케미칼서 정전, 공장 가동 중단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88 서산 LG화학·롯데케미칼 정전…공장 가동 중단(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87 與, 상법·명태균특검법 거부권 요청키로…단일대오 내부정비(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86 [속보]천안 고속도로 공사현장 구조물 붕괴…3명 사망·5명 부상 추정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85 “문값 물어내라고?” 소방관 손해배상 위기에 나선 시민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84 서산 LG화학·롯데케미칼 등서 정전…공장 가동 중단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83 [속보] 천안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로 8명 매몰 추정…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82 한은, 금리 2.75%로 인하… 다시 열린 2% 기준금리 시대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81 불황 시그널에…한은, 기준금리 0.25%p 낮춰 하강 속도 늦춘다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80 [속보] 최상목 대행 “여야 협의로 지속가능한 연금개혁안 마련되길”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79 쿠팡, 유통업계 1위 굳힌다…1년 결제액만 '55조원' new 랭크뉴스 2025.02.25
47178 최상목 “기업 투자가 살 길”···17년 만에 그린벨트 푼다 new 랭크뉴스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