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백악관서 美佛정상회담…트럼프, 종전협상 개시 후 서유럽 정상 처음 만나
트럼프 "젤렌스키, 금주나 내주 美 방문…광물협정 최종 합의 접근"
마크롱 "우크라에 안전보장 제공 준비돼 있어…확실한 억지력 제공해야"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왼쪽)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
[워싱턴 A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 파리=연합뉴스) 박성민 조준형 송진원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전쟁 종전 방안의 핵심으로 부상한 전후 우크라이나 안전 보장과 관련해 유럽국가들의 평화유지군 배치 방안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오벌오피스)에서 회담을 시작하기 앞서 "우리의 공동 목표는 우크라이나에 견고하고 지속적인 평화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우크라이나에 안전 보장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특히 "우리는 평화가 존중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할 준비가 돼 있다"며 "(병력 배치는) 최전선이 아니라 평화 협정을 이행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보장하기 위해 "강력한" 미국의 개입을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의 평화유지군을 우크라이나에 배치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고 본다"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이를 받아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3차대전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며 조기 종전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우리가 현명하다면, 수주 안에 전쟁이 끝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불가를 공개적으로 천명한 이후에 협상을 통해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경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재침공을 막을 안전보장을 어떻게 할 것인지가 중대 쟁점으로 부상했다.

일단 미국과 유럽 주요국인 프랑스가 유럽 주도의 평화유지군을 우크라이나에 배치하는 데 뜻을 같이 함에 따라 러시아의 반응이 주목된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와의 '광물 협정' 체결과 관련해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만날 예정"이라며 "젤렌스키 대통령이 협정에 서명하기 위해 이번 주 혹은 다음 주에 (미국에) 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희토류 등 자원에 대한 미국의 지분 획득 등을 위한 "최종 합의에 가까이 와 있다"면서 "우크라이나 의회의 승인이 필요할 것이나 나는 성사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만남에 대해선 "적절한 시기에 모스크바를 방문할 용의가 있다"면서도 5월 9일 러시아 전승절에 맞춰 방문하는 것에 대해선 "조금 이른 것 같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울러 "러시아와 경제 발전 협력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자신이 설립한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도 "나는 푸틴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과, 미국과 러시아 사이에 이뤄질 주요 경제 개발 거래에 대해 심각한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대화는 매우 잘 진행되고 있다"고 적은 바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유럽이 더이상 러시아의 침략에 직면하지 않으려면 "확실한 억지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유럽은 더 강력한 파트너가 될 준비가 돼 있으며, 국방 측면에서 더 많은 일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이는 나토 유럽 회원국들의 국방비 지출 확대를 시사한 것으로 외신들은 평가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아울러 우크라이나가 종전 협상 회담에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정상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2일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전화통화를 계기로 종전협상 중재에 착수한 이후 러시아에 힘을 실어주는 듯한 그의 언행에 유럽 주요국들의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이뤄졌다.

트럼프 대통령과 마크롱 대통령은 회담후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이날 논의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00 [36.5℃] 아파트, 사는 이도 짓는 이도 남는 게 없다? 랭크뉴스 2025.02.25
47099 미국-프랑스 정상회담…“우크라 몇 주 내 종전 가능” 랭크뉴스 2025.02.25
47098 친명계, 전남 조직 꾸려 세 과시…그 뒤엔 심상찮은 호남 민심 랭크뉴스 2025.02.25
47097 웅진, 코웨이도 뛰어든 상조 시장…10兆 선수금, 오너 ‘자금줄’ 전락 우려 랭크뉴스 2025.02.25
47096 오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최후 변론…3월 중순 선고 전망 랭크뉴스 2025.02.25
47095 [단독] 사전투표지 외부서 위조? "잉크·재질 보니 위조 아니다" 랭크뉴스 2025.02.25
47094 이진우 “대통령이 ‘4명이 1명씩 들고나오라’ 할 때 마음 확 닫혀” 랭크뉴스 2025.02.25
47093 사과에만 발라 먹나, 된장에도 섞는다... 요즘 대세 '땅콩버터' 랭크뉴스 2025.02.25
47092 미국vs 중국, 대만해협 워게임 결과는…“美 스텔스 미사일에 中 주력 구축함 초토화”[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2.25
47091 尹 오늘 최후진술…"한강 피바다""국힘 해체" 극단으로 랭크뉴스 2025.02.25
47090 [단독]무용계, 국립예술단체 통합 반대 서명운동… 현대무용단 위축 불보듯 랭크뉴스 2025.02.25
47089 "밀으라고 했어요"‥김 여사-명태균 녹취 첫 공개 랭크뉴스 2025.02.25
47088 尹, 오늘 탄핵심판 변론 종결...대국민 메시지 던지나 랭크뉴스 2025.02.25
47087 홍준표 '대선' 기정사실화‥"대구시장 던진다" 랭크뉴스 2025.02.25
47086 "계엄군, 국회 왜 갔나" 12번 물었다, 헌재 질문으로 본 尹탄핵심판 랭크뉴스 2025.02.25
47085 맵고 짜게 먹었더니…세계로 뻗어나가는 K-위장 치료제[비즈니스 포커스] 랭크뉴스 2025.02.25
47084 윤 '최후' 변론‥국민 사과·통합 메시지 담길까? 랭크뉴스 2025.02.25
47083 최후변론 나서는 尹…탄핵심판 흔들 승부수 던질까 랭크뉴스 2025.02.25
47082 “복지차관 ‘올해 출산율 0.80명’ 근거 있었다”…출산 바우처 신청 급증[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2.25
47081 [단독] "잘못 짜깁기해" "빼주세요"… 김건희, '尹 맞춤 조사' 받고 '김영선 공천' 보답했나 랭크뉴스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