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10차 변론에 출석해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헌법재판소에 처음 나왔을 때랑 표정이 많이 달랐다.”
20일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에 출석한 윤석열 대통령을 현장에서 유심히 지켜본 국회 탄핵소추위원들이 이구동성으로 한 말이다. 같은 날 오전 형사재판에 출석해 ‘피고인석’에 처음 앉아본 윤 대통령이 뒤늦은 ‘현실자각’에 망연자실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국회 탄핵소추위원단인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은 21일 유튜브 방송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해 “(헌법재판소에 가서 윤 대통령의) 얼굴을 보니까 굉장히 현실 인식을 하는 듯한 표정이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20일 헌재에 출석해 윤 대통령 쪽의 증인신문을 지켜봤다. 함께 자리에 있었던 국회 탄핵소추위원단 소속 김기표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같은 방송에 나와 “저도 그 얘기를 하려고 했다. (당시에도) 옆에 (앉아) 있는 박균택 민주당 의원과 그 얘기를 했다”며 “기가 빠졌다고나 할까, 풀이 죽었다고나 할까. 저도 그걸 느꼈다”며 박 의원의 말을 거들었다.
윤 대통령의 표정이 눈에 띄게 달라진 건 20일 오전에 있었던 첫 형사재판과 무관치 않다는 게 국회 탄핵소추위원들의 시각이다.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는 윤 대통령은 20일 오전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의 공판준비기일과 구속취소 심문기일에 연달아 출석했다. 27년간 검찰에 몸담으며 검사석에만 앉다가, 처음으로 피고인석에 자리한 순간이라 충격을 크게 받았을 수 있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검사석과 마주 보는 피고인석이 아닌 판사석과 마주 보는 증인석에 앉으려다가 안내를 받고 자리를 옮기기도 했다. 윤 대통령이 검사로서 공판에 참여할 당시엔 피고인석이 판사와 마주 보는 자리였지만 현재는 검사와 마주 보는 자리가 피고인석이 됐다. 김 의원은 “본인이 검사 생활을 했을 때는 증인석이 피고인석이었다”며 “(재판정 자리배치가 바뀐 줄 몰라서) 그래서 거기 앉은 것 같다”고 했다.
윤 대통령이 20일 탄핵심판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증인신문 때 잠시 자리를 비운 것을 두고도 여러 해석이 나온다. 윤 대통령 쪽은 대통령이 총리의 증언을 듣는 것이 국가 위상에 걸맞지 않다며 퇴정 사유를 설명했으나, 박 의원은 “(형사재판에서의 충격으로) 한 총리 증인신문 때 나간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도저히 못 있겠다’ 생각했을 수도 있다”며 “원래 잘 그런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