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왼쪽)와 박용진 전 의원이 21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만나 악수하며 인사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비이재명계인 박용진 전 의원에게 “우리에게 주어진 역할은 지금의 위기 상황을 잘 극복하는 게 아닐까 싶다”며 “앞으로 더 큰 역할을 같이 만들어 가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박 전 의원은 “국민 요구와 대의 명분 앞에 모든 걸 털고 미래로 나아가자. 힘을 합쳐 민주당의 승리를 만들어내자”고 화답했다.

오찬을 겸한 이날 회동은 당내 통합 행보 차원에서 비명계 인사를 잇따라 만나고 있는 이 대표 측 제안으로 성사됐다. ‘비명 횡사’로 불렸던 지난해 4월 총선 공천에서 박 전 의원이 세 차례 경선 끝에 낙천한 뒤 이뤄진 첫 만남이었다.

이 대표는 “힘든 상황인데도 함께해줘서 고맙다”고 인사했다. 박 전 의원은 “총선 과정에서의 일들이 저한테는 모진 기억이지만 이렇게 웃는 얼굴로 맞이할 수 있게 된 것을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자 이 대표는 “당 일을 하다 보니까 내 손 때문에 힘들어하는 사람이 많아서 저도 더 힘들다. 박 의원이 가슴 아픈 걸 안다”며 “위기를 이겨내는 데 우리 박 의원이 할 일이 많다”고 강조했다.

두 사람은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1시간 40분간 비공개로 대화했다. 박 전 의원은 회동 후 취재진에게 “2030 젊은 세대가 보기에 민주당의 말과 행동이 다른 정치적·도덕적 ‘내로남불’ 사례가 너무 많다”며 “그런 의미에서 ‘세대 교체와 586 정치의 청산이 필요하다. 정책이나 사람 등용이 많이 달라져야 한다’는 제 소신을 말씀드렸다”고 전했다.

또 “(이 대표에게) 개헌을 통해 국민 통합의 고리를 이뤘으면 좋겠다. 대부분의 국민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합의안이 있다고 했다”고도 했다. 다만, 이 대표는 개헌에 대해 “시기에 따라 적절한 의견을 내겠다. 지금은 개헌을 말하기 이르지 않은가”라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고 한다.

회동 직후 ‘이 대표가 박 전 의원에게 자리를 제안했다’는 말이 돌기도 했다. 하지만 박 전 의원은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엉뚱한 소리다. 정치적 거래를 하기 위해 만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오후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에서 열린 현장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이 대표는 통합 행보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조기 대선을 대비하고 있다. 박 전 의원 외에도 친문재인계 적자로 불리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와 지난 13일 만났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24일),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27일), 김동연 경기지사(28일)와도 만남을 약속한 상태다.

이런 가운데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당면한 내란을 완전히 진압하고 우리 헌정 질서를 지켜야 되겠다는 차원의 연대는 이준석, 한동훈, 또 유승민, 안철수 이런 의원들도 다 함께 할 수 있는 연대라고 생각한다”고 YTN 라디오와 인터뷰했다. 전날 친명계 좌장인 정성호 의원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을 거론하며 중도보수 연대 가능성을 열어둔 것의 연장선상이다.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중도보수 논쟁이 한창인데, 세상이란 흑백만 있는 게 아니다”며 “명색이 국가 살림을 하겠다는 정당이 ‘오로지 진보’, ‘오로지 보수’ 이래서 어떻게 국정을 운영하느냐”고 했다. 야권 내 정체성 논란에 직접 반박한 것이다. 김민석 최고위원도 “민주당의 가치는 일관되게 합리적 보수, 건전한 보수를 포괄해 왔다”며 “1955년 창당 때 중도적 국민 정당으로 출발해 강령에 중도를 명시해 왔다”고도 했다.

하지만 여진은 계속되고 있다. 이날 당 일각에서는 민주연구원이 이재명 대표 2기 체제였던 지난해 11월 “민주당의 정치 철학은 전 세계 중도진보 정당의 주류 노선”이라고 명시한 보고서가 재조명됐다. 임종석 전 실장은 “민주당은 중도보수 정당이 아니다”며 “이를 용인하면 앞으로 숱한 의제에서 물러서야 할지 모르는데, 이는 실용의 차원을 넘어서는 것이고 대표가 함부로 바꿀 수 없는 문제”라고 페이스북에 썼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59 트럼프 측근들 '나치식 경례' 논란…머스크 이어 옛 책사도 했다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58 “집이 춥다” 아파트 안에서 불 피운 50대 구속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57 "자기 전 스마트폰 1시간 더 봤는데…근시라고요?" 발병 위험 21%씩 높아져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56 금보다 값진 명상 뒤 최고의 치앙마이 커피 한 잔, 극락이네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55 ‘윤석열 탄핵’ 인용되면 5월 중순 ‘장미 대선’ 유력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54 與 "공수처, 중앙지법서 尹영장신청 시작하고 왜 서부로 옮겼나"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53 이재명, 與에 "1천억 자산가 상속세를 100억이나 깎아줘야 하나"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52 정부, 日 '다케시마의 날' 도발에 강력 항의 "즉각 폐지 촉구"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51 피규어 만들다 '펑'…용인 아파트 22층서 폭발 사고, 40대 사망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50 '얼죽신' '얼죽재' 다 있다…서울 아파트 매매 52% 폭증한 이곳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49 오세훈 “절박 심경 서울시 조기 추경…긴급 지원 강화”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48 바이비트 해킹으로 2조원대 이더리움 도난… “北 라자루스 소행 추정”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47 ‘나는 반딧불’ 황가람 "147일 노숙, 슬프지 않은 이유는...“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46 尹탄핵 헌재 최종변론 앞둔 마지막 주말…전국서 찬반 집회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45 日, 어김없이 '다케시마의 날' 행사…외교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44 외교부, 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 항의…“즉각 폐지 촉구”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43 [크랩] “세금 18억 아껴줌”…비버는 왜 댐 짓기에 진심일까?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42 서부지법 난동에 ‘서울대 출신 증권맨’도 가담…무단결근 강제 퇴사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41 트럼프, 군수뇌부 물갈이…흑인·여성장군 내보내고 충성파 지명(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2.22
46040 우리 아이 하루 종일 보는 '유튜브 쇼츠'…엄마는 '댓글' 보고 깜짝 놀랐다 new 랭크뉴스 2025.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