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4자 회담 “세부내용 추후 논의”…‘주 52시간 예외’ 등은 이견 못 좁혀
모처럼 손에 손잡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왼쪽부터)이 20일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국정협의회 첫 4자 회담에서 손을 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여·야·정 4자 대표가 20일 국정협의회를 열고 반도체특별법, 연금개혁 등 현안을 논의했지만 구체적인 성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다만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필요성에는 공감대를 확인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국정협의회 첫 4자 회담을 열었다. 이들은 116분 동안 회담을 하며 반도체특별법과 연금개혁, 추경 편성 등을 논의했지만 합의 도출에 실패했다. 참석자들은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 근무 예외’에 대해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신동욱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 부분을 빼고는 반도체특별법이 아니라 ‘반도체보통법’에 불과할 것이라고 최 권한대행도 강조했고, 우리도 핵심이라고 거듭 얘기했는데, 민주당에서는 이 부분을 뺀 특별법을 먼저 통과시키자고 주장했다”고 말했다.
앞서 최 권한대행은 모두발언에서 “현재의 근로시간 제도로는 집중근무가 어려워 연구의 단절이 발생하고 수요기업 발주에도 즉시 대응이 어렵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업계에서 이 조항은 굳이 필요하지 않고, ‘노동부의 (특별연장근로) 승인 조건을 완화해주면 충분하겠다’는 제안을 했다고 한다”고 반박했다.
연금개혁도 뾰족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신 대변인은 “소득대체율과 관련된 이견들이 좀 있었다”며 “(우리 당은) 구조개혁 문제에 대해 같이 논의하고 연금특위를 구성해 같이하는 것이 좋겠다고 했고, 민주당은 일단 모수개혁에 합의하자고 말했다”고 전했다. 앞서 여야는 보험료율을 현 9%에서 13%로 올리는 것에는 합의했지만 소득대체율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해왔다.
추경 편성 논의도 진전되지 않았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추경 필요성에 대해선 다 공감했고, 내용에 대해서는 민생지원과 인공지능(AI) 등 미래산업 지원, 통상지원 등 3가지 원칙에 입각해 시기와 규모, 세부 내용을 실무협의에서 추가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