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의선(오른쪽) 현대차그룹 회장과 메리 바라 미국 제너럴모터스(GM) 회장이 지난해 9월 뉴욕 제네시스하우스에서 ‘포괄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하며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그룹

[서울경제]

현대차(005380)그룹과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글로벌 공장을 공유하는 ‘생산 동맹’을 체결한다. 현대차·기아(000270)가 GM의 미국 공장을 통해 생산을 늘리면 도널트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자동차 관세(25%) 부과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3면

20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과 GM은 이르면 내달 글로벌 생산 시설과 공급망을 공유하는 1차 포괄적 협력 방안을 발표한다. 이 사안에 정통한 업계 관계자는 “두 회사가 미국 공장 뿐 아니라 해외 생산망을 전반적으로 공유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는 논의를 진행 중" 이라며 “양사간 전략적 협력 결과 발표가 임박해 있다”고 말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메리 바라 GM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작년 9월 미국 뉴욕에서 만나 ‘포괄적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두 수장은 당시 협력 분야를 △승용·상용차량 △내연기관 △친환경 에너지 △전기 및 수소기술의 공동 개발·생산 등으로 제시하고 구체적 협력 방안을 조율해 왔다. 현대차그룹과 GM은 전략적 협력을 우선할 사안으로 ‘생산 시설 공유’를 꼽고 각 사의 생산시설과 공급망을 함께 활용해 제조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줄이기로 했다. 신규 공장 건설에 투입될 자금을 아끼고 기존 공장은 가동률을 끌어올리는 전략이다.

이번 협력으로 현대차그룹과 GM의 글로벌 생산 능력과 네트워크는 단숨에 확장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한국을 포함해 미국과 멕시코, 중국, 체코, 슬로바키아, 인도, 터키,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브라질 등에 공장을 두고 있다. GM은 캐나다, 멕시코, 아르헨티나, 이집트 등에서 생산 시설을 가동 중이다. 현대차는 공장이 없는 캐나다와 이집트 등에서 차를 생산할 수 있고 GM도 철수한 유럽과 인도 시장에서 현대차그룹의 공장을 활용해 재진출이 가능해진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GM과 동맹을 맺어 트럼프발(發) 관세 폭탄의 피해를 대폭 줄일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최대 자동차업체인 GM은 미국에 11개의 생산 시설을 가동 중이다. 이 곳에서 현대차·기아가 반조립(CKD) 등으로 생산하면 관세가 부과될 물량 자체가 줄어든다. GM 미국 공장의 생산량이 늘면 현지 투자와 고용 역시 자연스럽게 활성화해 트럼프 정부의 정책 기조에도 부응하게 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GM과 생산 동맹에 대해 “논의가 진행 중인 사안에 대해서는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19 국정원 CCTV 공개한 與 "홍장원, 체포명단 메모 거짓증언" 랭크뉴스 2025.02.20
45218 [단독] 현대차, 美 GM공장서 차 만든다 랭크뉴스 2025.02.20
45217 한덕수 “비상계엄 찬성한 국무위원 없어…김용현 진술, 내 기억과 달라” 랭크뉴스 2025.02.20
45216 [속보] 홍장원 "방첩사 체포 명단 알고 있어야겠다는 생각에 메모 남겨" 랭크뉴스 2025.02.20
45215 연세대·서울대 이어 고려대서도 '尹 탄핵' 찬반 시위 랭크뉴스 2025.02.20
45214 "대통령님 왜 자꾸 그러십니까" 尹 언성 높이자 덩달아 '벌컥'? 랭크뉴스 2025.02.20
» »»»»» [단독] 현대차·美GM '생산 동맹’ 체결…트럼프 관세 피한다 랭크뉴스 2025.02.20
45212 이복현 “공매도, 불법 99% 잡는다”고 하지만 “성긴 그물” 지적도 랭크뉴스 2025.02.20
45211 [단독] 여인형 “계엄, SNS 때문에 안돼” 김용현 “그만하라” 버럭 랭크뉴스 2025.02.20
45210 [속보] ‘쯔양 공갈 혐의’ 유튜버 구제역, 1심 징역 3년 랭크뉴스 2025.02.20
45209 [속보] 최상목 대행 “반도체법 꼭 필요…근로시간 특례 포함돼야” 랭크뉴스 2025.02.20
45208 ‘쯔양 협박’ 구제역 1심서 징역 3년…법정 구속 랭크뉴스 2025.02.20
45207 한덕수 "尹 이틀뒤 행사 참석 요청…'반나절 해제' 듣지 못해" 랭크뉴스 2025.02.20
45206 [속보]한덕수 “비상계엄 선포 국무회의, 형식적·실체적 흠결” 랭크뉴스 2025.02.20
45205 한덕수 “계엄 선포, 국무위원 모두 만류했다” 랭크뉴스 2025.02.20
45204 음주운전 직원 징계커녕 승진시킨 코레일… 감사원 “적정 조치해야” 랭크뉴스 2025.02.20
45203 부모 PC방서 게임하는 사이… 23개월 아기 혼자 집에서 숨져 랭크뉴스 2025.02.20
45202 [속보] 한덕수 "尹으로부터 '계엄 반나절이면 해제될 것' 들은 적 없어" 랭크뉴스 2025.02.20
45201 尹 내란 수괴 혐의 재판장 유임... 이재명 대장동 재판부는 교체 랭크뉴스 2025.02.20
45200 [속보]홍장원, 尹탄핵심판 출석…"메모 실물 갖고 왔다" 랭크뉴스 2025.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