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美 물량 韓서 59% 생산
한국GM은 84%… 25% 관세땐 타격
의약품도 美 생산기지 앞당길 듯
한국GM은 84%… 25% 관세땐 타격
의약품도 美 생산기지 앞당길 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와 의약품 등에 최소 25% 관세를 붙이겠다는 방침을 명확히 하면서 관련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는 등 대응책을 고심 중이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 부문 미국 수출액은 347억4400만 달러(약 50조원)에 달한다. 전체 수출액(707억8900만 달러)의 49.1%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한 자동차 170만8293대 가운데 절반이 넘는 101만5005대(59.4%)를 한국에서 생산했다. 한국GM은 한국 생산 물량의 약 84% 수준인 42만대 정도를 미국에 수출했다.
모두 무관세 수출이었다. 그러나 트럼프가 오는 4월 2일 수입 자동차에 예상보다 높은 ‘25% 정도’의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히면서 국내 완성차업계는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현지 생산을 최대한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10월 가동한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생산능력을 연간 30만대에서 50만대로 높일 계획이다. 앨라배마 공장(35만6100대)과 기아 조지아 공장(34만대) 물량을 더하면 미국 현지 생산을 119만6100대까지 높일 수 있다.
한국GM은 일단 미국의 관세 관련 정책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GM 본사가 글로벌 생산 전략을 바꿔 한국GM에 할당한 생산 물량을 미국 공장으로 옮길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자동차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완성차업체가 꺼낼만한 뾰족한 카드가 없는 데다 정부 리더십마저 부재한 상황이라 대응책 마련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제약·바이오 업계도 긴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다. 특히 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시밀러(의약품 복제약), CDMO(의약품 위탁개발생산) 업계의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미국은 전 세계 의약품 최대 수입 국가다. 의약품은 미국이 수입하는 품목 중 5번째로 규모가 크다. 지난해 기준 미국은 의약품 분야에서 1180억 달러(약 170조원)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미국의 대 한국 의약품 무역수지 적자 폭은 2021년 6억3831만 달러에서 지난해 21억9000만 달러까지 벌어졌다.
업계 관계자는 “미 정부가 약가 인하 기조의 정책을 펼치고 있는 만큼 의약품은 관세 적용 대상에서 빠질 것이라 예측했으나 빗나갔다”며 “중·장기적으로 미국 내 생산기지의 인수 또는 설립을 검토해온 기업들이 시기를 앞당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