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가 헛되이 보낸 오늘은 어제 죽은 이가 그토록 갈망하던 내일. "
고대 그리스 비극 작가의 말이라며 많이 인용되는 문구다. 비슷한 내용으로 화자를 고인으로 바꾼 시구도 있다. ‘그대가 보낸 오늘 하루가 어제 내가 그토록 살고 싶었던 내일.’ 1990년대 노래 가사의 한 구절이다.

평생 꿈을 좇던 남자가 세상을 떠났다.
고인의 형이 의뢰한 현장이다.

“원래 어머니와 동생이 이곳에서 함께 살았어요. 어머니는 3년 전에 돌아가셨고 이후로 동생 혼자 살았어요.”
LH임대아파트 중에서도 가장 평수가 작은 곳이었다.
좁은 공간에 짐이 빼곡했다.
돌아가신 어머니의 물건을 정리하지 않고 계속 산 것이다.
두 사람의 유품을 정리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어머니의 젊은 시절 옷가지들이 가득했다.
노인은 이미 떠난 젊음 대신 더는 입지 못하는 옷을 미련처럼 잡고 산 모양이다.
집 안 구석구석 물건 가득 그리움이 배어 있었다.

고인이 살던 단지는 중앙난방이었다.
사후 2주 만에 발견됐다는데 난방은 계속 돌아가고 있었으니, 현장은 시취와 부패물로 가득했다.
“짐도 많고 환기도 많이 필요해 작업시간이 꽤 오래 걸릴 것 같습니다.”

시취가 심하다는 내 말에 뭔가 걸렸는지 고인의 형이 사정을 설명했다.
“작년 명절에 봤을 때도 건강했는데….”
동생은 나와 같은 연배의 50대였다.
부모님이 돌아가신 나이 든 남자 형제가 자주 만나진 않는다.
명절에 한 번씩들 보면 좋은 관계다.
동생의 사인은 심장마비로 인한 돌연사였다.
혹시나 해서 묻기를 꺼렸는데, 잘못된 선택이거나 그런 건 아니었다.

시신이 2주나 방치되면서 이웃들 신고로 현장이 발견됐다.
그리고 유일한 가족인 형에게 경찰의 연락이 간 것이다.

작업 절차와 소요 시간을 설명해 주고 끝날 즈음에 다시 연락을 주기로 했다.
의뢰인은 멍한 표정으로 나서다가 문득 내게 한 가지 부탁을 했다.
“짐이 많긴 하지만 아마 동생의 수첩이 있을 거예요. 아주 오래된 건데. 그건 꼭 버리지 말고 전해 주실 수 있을까요?”

오랜만이었다.
고인의 유품을 꼭 집어 어떤 것을 찾아 달라고 하는 부탁이….
그것도 돈이 되지 않는 물건을 말이다.
“네, 꼼꼼히 찾아보겠습니다.”
그 수첩은 대체 무엇일까.
궁금증이 일었지만 질문을 삼키려 입을 꾹 닫았다.

시취를 없애려 약을 치고 부패물을 걷어내는 특수청소부터 했다.
짐은 많았지만 소위 ‘쓰레기집’은 아니었다.
최근까지 정상적인 생활을 한 사람의 집이었기 때문에 정리의 순서는 곧 잡혔다.
함께 간 직원과 방을 나눠 작업에 들어갔다.

유족이 부탁했던 ‘수첩’은 금세 찾을 수 있었다.
옷걸이에 걸려 있던 외투 주머니에 무언가 비죽 튀어나온 것이 보였다.
손바닥보다 조금 더 큰 수첩이었다.
소중해서 감춰둔 물건이 아니라 평소 늘 소지하고 다녔던 모양이다.

두꺼운 수첩에 글씨가 빼곡했다.
이미 노안이 꽤 온 나는 글씨를 알아볼 수 없었다.
함께 간 직원을 불렀다.

“용철씨, 이거 뭐라고 써 있어? 이분은 노안이 안 왔나 보네. 난 하나도 안 보여. 글씨가 너무 작아.”
“일본식 우동, 가쓰오부시 육수 내는 법….”
직원이 메모를 줄줄 읽었다.
사자(死者)의 공간에서 외람되게 시장기를 느낄 만큼, 맛깔나는 음식들의 레시피가 가득했다.

간혹 유품을 정리하다 보면 고인의 직업을 유추할 수 있는 물건들을 발견한다.
요리사라면 자기 이름이 적힌 전문적 주방 칼이 나오고, 미용사라면 멋들어진 가위 세트가 발견되기도 한다.
요리사였나 보다, 이 사람은.

이지우 디자이너
정리가 끝난 뒤 다시 찾아온 고인의 형에게 동생의 요리 수첩을 건넸다.
형은 동생의 손때가 묻은 수첩을 계속 넘겨봤다.
읽는 게 아니었다.
다만 수첩에 깃든 동생의 손길을 느끼고 싶은 것 같았다.

손을 떨었다.

(계속)

그 수첩 속 레시피는 맛집의 영업 비밀이 아니었습니다.
“그렇게 고집을 피우더니…” 형이 털어놓은 사연은 잔인한 현실이었습니다.
수첩이 전한 비극,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8751


〈어느 유품정리사의 기록〉 더 많은 기사를 보시려면?

“나쁜 새끼” 아내는 오열했다, 11층 아파트의 ‘피칠갑 거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7091

창고 속 비밀 공간서 죽었다, 편의점 알바생 ‘마지막 의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5433

웃음 가스는 죽음 가스 됐다, 옥탑방 청년 ‘기묘한 배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511

그녀 시신 온전히 못 떠났다…욕조 물 퍼내자 드러난 ‘흔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8497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75 李 "與, 거의 범죄집단…건전·합리적 보수도 우리 몫 돼야"(종합) 랭크뉴스 2025.02.19
44874 법원, ‘대우조선 하청노동자 파업’ 공익 목적 인정하고도 “유죄” 랭크뉴스 2025.02.19
44873 한덕수 탄핵심판, 90분 만에 변론 종결…윤석열 탄핵에 영향 줄까 랭크뉴스 2025.02.19
44872 ‘차 25% 관세’ 땐 수출 9조원 감소…트럼프 “미국으로 오라” 랭크뉴스 2025.02.19
44871 홍준표 “내일 당장 대선해도 준비돼… 이재명 국민 선택 못 받는다” 랭크뉴스 2025.02.19
44870 [속보] 푸틴 "트럼프, 러·우크라 모두 참여하는 회담 가정" 랭크뉴스 2025.02.19
44869 백종원 '가스통 옆 튀김 요리' 해명했지만…과태료 처분 받는다 랭크뉴스 2025.02.19
44868 이재명, ‘김현정 뉴스쇼 저격글’ 삭제에…“악의적 프레임 있다 생각” 랭크뉴스 2025.02.19
44867 이재명 "개헌 얘기하면 블랙홀… 빨간 넥타이 맨 분들만 좋아한다" 랭크뉴스 2025.02.19
44866 LH ‘미분양 직매입’에 “업계 자금 숨통” “악성 재고 떠안기” 분분 랭크뉴스 2025.02.19
44865 여 ‘잠룡’ 잰걸음…‘토론회 연설’·‘저서 출판’ 랭크뉴스 2025.02.19
44864 ‘탈북 어민 북송’ 문 정부 인사들 유죄…“분단 고려” 선고유예 랭크뉴스 2025.02.19
44863 이재명 “언론들이 내게 불리한 것은 신속히 보도” 랭크뉴스 2025.02.19
» »»»»» 그 우동, 끝내 세상 못 나왔다…주방서 죽은 50대 男의 수첩 랭크뉴스 2025.02.19
44861 [단독] '선관위 간첩' 가짜뉴스 출처는 '캡틴코리아'‥"트럼프도 안다" 랭크뉴스 2025.02.19
44860 이재명 "개헌 얘기하면 블랙홀…빨간넥타이 메신 분들이 좋아한다" 랭크뉴스 2025.02.19
44859 이재명, ‘우클릭’ 논란에 “상황 바뀌었는데 입장 안 바꾸면 교조주의, 바보” 랭크뉴스 2025.02.19
44858 이언주 "민주, 탈원전 기조 유지 안 해…에너지에 좌·우파 없다" 랭크뉴스 2025.02.19
44857 이재명, ‘우클릭’ 논란에 “상황이 바뀌었는데 입장 바꾸지 않으면 교조주의, 바보” 랭크뉴스 2025.02.19
44856 이재명 "내란 극복에 집중할 때… 개헌 논의할 시기 아냐" 랭크뉴스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