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김건희 여사가 작년 총선을 앞두고, 국민의힘 공천에 개입했다는 정황을 담은 검찰의 수사보고서가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명태균 씨가 김 여사에게 자신은 김영선 의원에게 경선하라는 말을 못하겠다고 하자, 금세 김 여사와 김 전 의원 사이에 두 차례 통화가 이뤄졌고, 모두 11차례 연락이 오갔는데요.
하지만 검찰은 이러한 사실을 확인하고도, 김 여사에 대한 조사는 하지 않았습니다.
김상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김건희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이 처음 보도된 건 지난해 9월 5일입니다.
'작년 총선 전 김 여사가 김영선 전 의원에게 지역구를 옮길 것을 요청했다'는 내용입니다.
대통령실은 해당 보도에 대해 "김 전 의원은 애당초 컷오프됐는데 무슨 공천개입이냐"고 일축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10일자 검찰 보고서의 내용은 달랐습니다.
검찰은 지난해 2월 18일 오후 3시 반쯤 명태균 씨와 김 여사 간에 이뤄진 걸로 보이는 텔레그램 대화를 확인했습니다.
명 씨가 "당원 50%·시민 50%인 경선룰에 따르면 김영선이 이길 방법이 없다"며 "여사님이 해결해 달라"고 호소합니다.
김 여사는 "단수를 주면 나 역시 좋다"면서도 "기본전략은 경선이 되어야 하고, 약체후보부터 만나서 포섭해나가는 게 답"이라고 대꾸합니다.
이에 명 씨는 "대선 때 몸이 부서져라 대통령님을 도왔다"며 "김영선에게 경선하라는 말은 못하겠다"고 했습니다.
검찰은 이 텔레그램 대화 이후 김 여사와 김영선 전 의원 간 연락이 11차례 이어졌다고 파악했습니다.
우선 당일 오후 5시쯤 김 여사는 두 번에 걸쳐 김 전 의원과 11분 가량 통화를 했습니다.
같은 날 저녁 8시 24분에도 통화는 이어졌습니다.
명태균-김건희-김영선으로 이어지는 연락이 일단락된 뒤인 당일 오후 10시27분, '김 전 의원이 윤석열 정부 성공을 위해 김해갑 출마를 선언했다'는 뉴스경남의 속보기사가 게재됐습니다.
검찰은 결국 김 전 의원이 창원의창 지역구의 컷오프를 미리 알고 김해갑으로 출마지를 바꾸는 과정에 김 여사가 개입한 건 아닌지 의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내용은 최근 명 씨 측이 밝힌 '김상민 검사 공천 개입 의혹'과도 연결됩니다.
명 씨 측은 "지난해 2월 16일부터 19일 사이 김 여사와 나눈 대여섯 번의 통화내용"이라며, "김 여사가 '김 검사를 창원의창 국회의원이 되게 도와달라'고 말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명 씨 측은 "당시 김 여사가 '김영선은 어차피 컷오프 아니냐'고 말했다"고도 했습니다.
김 여사가 김상민 전 검사를 돕자는 시점에 김 전 의원에게는 지역구 변경을 종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입니다.
검찰은 이 내용을 이미 지난해 11월 파악하고도 김 여사를 조사하지 않았습니다.
MBC뉴스 김상훈입니다.
영상편집 : 김재환 / 자료제공 : 뉴스타파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