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이 지난해 10월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해병대사령부가 해병대 장교 육성을 위해 신설된 대학 학과 교수직에 지원한 김계환 전 사령관(예비역 중장)을 위해 대학 측에 추천서를 보낸 것으로 19일 확인됐다. 김 전 사령관이 채 상병 사망사건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라는 점에서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이날 해병대사령부가 지난달 김 전 사령관 등 3명을 단국대 해병대군사학과 교관(석좌·초빙교수)로 추천하는 공문을 단국대 공공인재대학 교학행정팀에 보냈다며 관련 공문을 공개했다.
단국대 해병대군사학과는 단국대와 해병대사령부가 체결한 교류협정에 따라 해병대 장교 육성을 목표로 신설됐다. 통상 전역한 사령관들이 해당 학과 석좌교수에 임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정부 첫 해병대사령관인 김 전 사령관은 2023년 7~8월 채 상병 사망사건 수사에 외압이 가해지는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의 핵심 피의자다.
해병대사령부 일자리정책과는 박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서 지난해 12월18일 단국대로부터 ‘2025학년도 1학기 단국대학교 군사학과 특별교원 추천 의뢰’를 받아, 교수직에 지원한 김 전 사령관을 단국대에 추천자로 선정해 지난달 20일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피의자 신분인 자에 대해 추천서를 발급한 전례가 있느냐’는 박 의원실의 질문에는 “없다”면서도 “추천 제외자는 국방부 훈령(군 전직 및 취업 지원업무에 관한 훈령 제19조 제3항)에 따라 ‘중징계 이상의 징계 처분을 받은 사실이 있는 자’로 김 전 사령관은 이에 해당하지 않아 추천자로 통보했다”고 답했다.
박 의원은 “해당 학과는 해병대 가치에 부합하는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곳”이라며 “해병대가 수사 개입 의혹으로 공수처(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조사를 받는 전 사령관을 공식 추천하는 것이 적절한지 재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