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민의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해 마련한 연속 토론회가 오늘(19일) 세 번째 토론회를 끝으로 막을 내렸습니다.

오늘 토론회에서 논의된 주제는 '제왕적 국회'입니다. 당내에서도 개헌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주제입니다. 권성동 원내대표도 지난 11일 국회 교섭단체대표연설에서 "제왕적 대통령과 제왕적 의회의 권력 남용을 제한할 수 있는 구조를 고민해야 한다"며 개헌 논의에 나서자고 제안했습니다.

토론회에 참석한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우리 당도 국회 과반 의석을 점했던 적이 있다"면서 "그때는 국회를 무도하게 일방적으로 처리하고 운영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과반 의석을 점한 정당이 무도하게 탄핵 소추 발의하고, 특검법안 발의하고, 일방적으로 법안 처리하면 국민들이 국회를 신뢰할 수 있겠느냐"며 "87년 헌법 체제에 그대로 머물러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개회사를 한 김미애 의원도 "29번의 연쇄 탄핵, 23번의 특검법 발의, 삭감 예산안 단독 처리, 갑질 청문회 등 권력을 극대화해 폭주하는 민주당의 행태가 바로 제왕적"이라면서 "헌법상 대통령의 권한이 의회 권력보다 우위에 있다고 말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절제된 권한 행사를 기대하기 어렵다면 현실적으로 개헌 등을 통해 실질적인 권력 균형 장치를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화면 출처 : ‘국민 위에 군림하는 국가기관, 정상인가’ 토론회 홍보 영상

■"사법부, 중립성 갖춰야…공수처, 폐지해야"

여의도연구원의 이번 연속 토론회에선 '국민 위에 군림하는 국가기관, 정상인가'를 주제로 국회뿐 아니라 사법부와 수사기관의 현실과 문제점 등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모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과 수사를 둘러싼 논란과 무관하지 않은 주제입니다. 이를 반영하듯 토론회에 참석한 당내 인사들은 헌법재판소와 수사 기관을 향한 날 선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17일 첫 토론회 축사에서 "입법부를 장악한 거대 야당은 의석수를 무기로 ‘조기 대선’을 앞당기기 위해 행정부를 무력화하는 것을 넘어, 사법부까지 종속시키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검찰과 경찰, 공수처 등 수사기관을 향해선 "다음 정권에 줄서기 위해 안간힘을 쓰면서 마치 사냥이라도 하듯 경쟁적으로 달려들었다"고 지적하며 "법치와 민주주의 수호의 ‘최후 보루’라 할 수 있는 헌법재판소의 편향적 행태도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권성동 원내대표도 두 번째 토론회의에서 "국가 비상사태에서 수사의 절차적 허점이 드러났고 국가적 혼란으로 이어졌다"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폐지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권 원내대표는 "공수처를 만든 지 4년 됐는데, 그간 딱 5건 기소했고 단 한 건의 구속 사건도 없다"며 "수사기관 간 권한 다툼 때문에 오히려 국민의 자유가 침해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나경원 의원은 "2019년 법안 처리 당시 특정 세력의 ‘하명수사처’가 될 수 있고, '옥상옥' 기구가 돼 수사권 조정에 혼선이 온다고 지적했는데, 이를 그대로 목도하게 됐다”며 공수처 폐지론에 목소리를 보탰습니다.

■"법원과 수사기관 병폐는 국회와 연결…개헌 필요"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은 이번 토론회를 마무리하면서 "국민의 삶을 규정하는 제도적 틀이 너무 낡았고, 우리 국민들의 수준을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면서 "법원과 수사기관의 잘못된 병폐의 꼭대기는 국회와 연결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판사를 보면 판결이 보인다는 절망의 목소리들은 국민들이 자유롭고 마음껏 잠재력 펼칠 수 있는 국가와는 많이 어긋나 있다"며 개헌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국민의힘은 "이번 토론회에서 도출한 고견을 바탕으로 국가기관 각각 본연의 역할을 되찾고, 균형 잡힌 삼권분립 체제를 완성해 국민 여러분께 돌려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13 [단독] 현대차·美GM '생산 동맹’ 체결…트럼프 관세 피한다 랭크뉴스 2025.02.20
45212 이복현 “공매도, 불법 99% 잡는다”고 하지만 “성긴 그물” 지적도 랭크뉴스 2025.02.20
45211 [단독] 여인형 “계엄, SNS 때문에 안돼” 김용현 “그만하라” 버럭 랭크뉴스 2025.02.20
45210 [속보] ‘쯔양 공갈 혐의’ 유튜버 구제역, 1심 징역 3년 랭크뉴스 2025.02.20
45209 [속보] 최상목 대행 “반도체법 꼭 필요…근로시간 특례 포함돼야” 랭크뉴스 2025.02.20
45208 ‘쯔양 협박’ 구제역 1심서 징역 3년…법정 구속 랭크뉴스 2025.02.20
45207 한덕수 "尹 이틀뒤 행사 참석 요청…'반나절 해제' 듣지 못해" 랭크뉴스 2025.02.20
45206 [속보]한덕수 “비상계엄 선포 국무회의, 형식적·실체적 흠결” 랭크뉴스 2025.02.20
45205 한덕수 “계엄 선포, 국무위원 모두 만류했다” 랭크뉴스 2025.02.20
45204 음주운전 직원 징계커녕 승진시킨 코레일… 감사원 “적정 조치해야” 랭크뉴스 2025.02.20
45203 부모 PC방서 게임하는 사이… 23개월 아기 혼자 집에서 숨져 랭크뉴스 2025.02.20
45202 [속보] 한덕수 "尹으로부터 '계엄 반나절이면 해제될 것' 들은 적 없어" 랭크뉴스 2025.02.20
45201 尹 내란 수괴 혐의 재판장 유임... 이재명 대장동 재판부는 교체 랭크뉴스 2025.02.20
45200 [속보]홍장원, 尹탄핵심판 출석…"메모 실물 갖고 왔다" 랭크뉴스 2025.02.20
45199 한덕수 “비상계엄 당일 국무회의, 형식적·실체적 흠결 있었다” 랭크뉴스 2025.02.20
45198 與, 홍장원 동선 CCTV 공개…"체포명단 진술, 사실과 다르다" 랭크뉴스 2025.02.20
45197 [속보] 한덕수 “통상의 국무회의와 달랐고 형식적·실체적 흠결 있었다고 생각” 랭크뉴스 2025.02.20
45196 한덕수 “비상계엄 당일 국무회의, 통상적인 회의와 달랐다…흠결 존재” 랭크뉴스 2025.02.20
45195 민주당·김문수 '환노위 대충돌'…"불법계엄" vs "의원이 판사냐" 랭크뉴스 2025.02.20
45194 [속보] 윤 대통령 측 “대통령, 같은 심판정에서 총리 증언 보는 게 국가 위상에 좋지 않아 퇴정” 랭크뉴스 2025.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