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전후 호가 급등
"비규제 지역만큼 더 오를 것"
vs "강남구 바깥에 30억 원은 무리"
리센츠 국민평형 30억 원 돌파 축하드립니다.

지난 주말 국내 최대 온라인 부동산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이다. 서울 잠실동 리센츠 아파트의 '국평'(전용 84.9㎡) 매물이 신고가(30억 원)에 팔렸다는 소식을 전한 것이다. 재건축에 들어간 진주아파트(잠실래미안아이파크)가 32억5,000만 원에 거래됐다는 이야기도 게시됐다.

공인중개사무소 등에서 흘러나온 풍문으로 실제로 거래가 이뤄졌는지는 아직 확인하기 어렵다. 다만 한 가지 감지할 수 있는 건 현재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지역 중 하나가 ‘잠실’이라는 점이다. 12일 서울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된 후 벌어지고 있는 풍경이다.

지난달 중순부터 '잠삼대청' 호가 급등



이 같은 현상은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검토를 밝힌 지난달 중순부터 시작됐다. 해제 지역으로 알려진 잠실을 비롯한 삼성·대치·청담동 등 이른바 ‘잠삼대청’ 일대 아파트 시세(호가)가 일제히 급등했다.

1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강남구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지난달 셋째 주부터 보합세에서 오름세로 돌아섰고 이달 둘째 주에는 0.08%까지 올랐다. 강남·강동·서초·송파구를 묶은 동남권 변동률은 서울 전체(0.02%)는 물론, 도심권(0.02%) 동북권(-0.02%) 서북권(0%) 서남권(0.01%)을 크게 웃돌았다.

지난 1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10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평균 0.02% 오르며 2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뉴스1


억눌렸던 집값 제자리로..."앞으로 수요 더 늘 것"



다만 이 같은 상승세가 지속될지에 대해선 전망이 갈린다. 우선 규제로 인해 집값이 억눌렸던 지역인 만큼 당분간 제자리를 찾아가는 '지역별 키 맞추기'가 나타날 것이란 분석이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애초에 토지거래허가제는 아파트가 아니라 앞으로 개발할 토지에 적용한 제도”라며 “현 제도는 취지와 멀어졌을 뿐만 아니라 토지거래허가구역과 길 건너편 지역의 집값이 크게 차이나는 등 형평성 문제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과 입지를 고려하면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란 관측도 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재건축 단지 일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대상에서 빠졌지만 잠삼대청에서는 똘똘한 한 채 수요가 여전히 많다”며 “주거 환경이 우수한 잠실동, 대치동의 랜드마크(상징적 건축물) 아파트는 앞으로 수요가 더 늘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거래 여부 지켜봐야... '반짝 상승' 전망도



반면 '반짝 상승'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당국이 금리 인하나 대출 규제 완화에 신중한 상황에서 집값 상승세가 얼마나 오래 갈 지 가늠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 거래 신고 후 취소 등 시세 조작 가능성도 제기된다. 매매 정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등 공신력이 있는 출처에 기록될 때를 기다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랜드마크 아파트도 신축 아파트에 밀려 매매가 상승세가 완만해질 가능성이 있다. 강남권은 도시정비사업이 활발한 지역이다. 잠실만 따져도 잠실주공5단지아파트, 장미아파트, 잠실우성아파트 등 재건축 사업이 줄줄이 진행 중이다. 강남구 바깥 국민평형 아파트의 3.3㎡당 매매가가 1억 원에 안착하려면 아직 멀었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60 이재명 "개헌 얘기하면 블랙홀…빨간넥타이 메신 분들이 좋아한다" 랭크뉴스 2025.02.19
44859 이재명, ‘우클릭’ 논란에 “상황 바뀌었는데 입장 안 바꾸면 교조주의, 바보” 랭크뉴스 2025.02.19
44858 이언주 "민주, 탈원전 기조 유지 안 해…에너지에 좌·우파 없다" 랭크뉴스 2025.02.19
44857 이재명, ‘우클릭’ 논란에 “상황이 바뀌었는데 입장 바꾸지 않으면 교조주의, 바보” 랭크뉴스 2025.02.19
44856 이재명 "내란 극복에 집중할 때… 개헌 논의할 시기 아냐" 랭크뉴스 2025.02.19
44855 이재명 "전 국민 25만 원 소비쿠폰 포기할 수 있다"...與 "오락가락 행태" 랭크뉴스 2025.02.19
44854 고법, '10·26 사건' 김재규 재심 결정…"수사 때 가혹행위"(종합) 랭크뉴스 2025.02.19
44853 "요충지인데 낡은 건물이 떡 하니" 지역 안전 지키다 '흉물'돼 주민들 불안 커진다 랭크뉴스 2025.02.19
44852 윤 측 “헌재 결정에 승복할 것…조기 하야는 전혀 고려 안 해” 랭크뉴스 2025.02.19
44851 "아들 초등학교 입학인데 돈 없어서"…은행 털려던 '장난감 물총' 강도 결국 랭크뉴스 2025.02.19
44850 김문수 토론회에 여당 의원 60명 출동‥여권도 조기대선 행보 랭크뉴스 2025.02.19
44849 여당 의원 줄세우며 ‘세 과시’한 김문수 “박근혜 파면은 잘못”[어제의 오늘] 랭크뉴스 2025.02.19
44848 유승민 "박근혜 회고록 다 읽어봤다…언젠가 쌓인 오해 풀고파" 랭크뉴스 2025.02.19
44847 약해진 美 입김, 강해진 주력업… 코스피 2700 고지 눈앞 랭크뉴스 2025.02.19
44846 "몰역사적" "보수참칭"... '중도 보수' 깃발 든 이재명에 진보도, 보수도 뿔났다 랭크뉴스 2025.02.19
44845 '탈북어민 북송' 정의용·서훈 선고유예… 법원 "실형이 해결책인지 의문" 랭크뉴스 2025.02.19
44844 EU, 러시아 추가 제재 합의… 美 해제 방침과 엇갈려 랭크뉴스 2025.02.19
44843 내일 尹 마주하는 한덕수‥"계엄 반대·국무회의 하자" 재확인 랭크뉴스 2025.02.19
44842 “지지율 4%, 우크라 대선 치러야”… 美·러가 함께 밀어내는 젤렌스키 랭크뉴스 2025.02.19
44841 '부동산 영끌 투자' 막히나…은행 가계대출 '月 2조'로 묶인다 랭크뉴스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