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전후 호가 급등
"비규제 지역만큼 더 오를 것"
vs "강남구 바깥에 30억 원은 무리"
리센츠 국민평형 30억 원 돌파 축하드립니다.

지난 주말 국내 최대 온라인 부동산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이다. 서울 잠실동 리센츠 아파트의 '국평'(전용 84.9㎡) 매물이 신고가(30억 원)에 팔렸다는 소식을 전한 것이다. 재건축에 들어간 진주아파트(잠실래미안아이파크)가 32억5,000만 원에 거래됐다는 이야기도 게시됐다.

공인중개사무소 등에서 흘러나온 풍문으로 실제로 거래가 이뤄졌는지는 아직 확인하기 어렵다. 다만 한 가지 감지할 수 있는 건 현재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지역 중 하나가 ‘잠실’이라는 점이다. 12일 서울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된 후 벌어지고 있는 풍경이다.

지난달 중순부터 '잠삼대청' 호가 급등



이 같은 현상은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검토를 밝힌 지난달 중순부터 시작됐다. 해제 지역으로 알려진 잠실을 비롯한 삼성·대치·청담동 등 이른바 ‘잠삼대청’ 일대 아파트 시세(호가)가 일제히 급등했다.

1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강남구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지난달 셋째 주부터 보합세에서 오름세로 돌아섰고 이달 둘째 주에는 0.08%까지 올랐다. 강남·강동·서초·송파구를 묶은 동남권 변동률은 서울 전체(0.02%)는 물론, 도심권(0.02%) 동북권(-0.02%) 서북권(0%) 서남권(0.01%)을 크게 웃돌았다.

지난 1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10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평균 0.02% 오르며 2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뉴스1


억눌렸던 집값 제자리로..."앞으로 수요 더 늘 것"



다만 이 같은 상승세가 지속될지에 대해선 전망이 갈린다. 우선 규제로 인해 집값이 억눌렸던 지역인 만큼 당분간 제자리를 찾아가는 '지역별 키 맞추기'가 나타날 것이란 분석이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애초에 토지거래허가제는 아파트가 아니라 앞으로 개발할 토지에 적용한 제도”라며 “현 제도는 취지와 멀어졌을 뿐만 아니라 토지거래허가구역과 길 건너편 지역의 집값이 크게 차이나는 등 형평성 문제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과 입지를 고려하면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란 관측도 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재건축 단지 일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대상에서 빠졌지만 잠삼대청에서는 똘똘한 한 채 수요가 여전히 많다”며 “주거 환경이 우수한 잠실동, 대치동의 랜드마크(상징적 건축물) 아파트는 앞으로 수요가 더 늘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거래 여부 지켜봐야... '반짝 상승' 전망도



반면 '반짝 상승'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당국이 금리 인하나 대출 규제 완화에 신중한 상황에서 집값 상승세가 얼마나 오래 갈 지 가늠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 거래 신고 후 취소 등 시세 조작 가능성도 제기된다. 매매 정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등 공신력이 있는 출처에 기록될 때를 기다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랜드마크 아파트도 신축 아파트에 밀려 매매가 상승세가 완만해질 가능성이 있다. 강남권은 도시정비사업이 활발한 지역이다. 잠실만 따져도 잠실주공5단지아파트, 장미아파트, 잠실우성아파트 등 재건축 사업이 줄줄이 진행 중이다. 강남구 바깥 국민평형 아파트의 3.3㎡당 매매가가 1억 원에 안착하려면 아직 멀었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93 헌재소장 집앞까지 몰려간 尹 지지자들… 주민들은 죽을 맛 랭크뉴스 2025.02.18
» »»»»» "잠실 '국평'이 30억?"… 규제 풀린 '잠삼대청'에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5.02.18
43991 샤넬·디올 매출도 흔들…초고가 명품 주얼리만 빛났다 랭크뉴스 2025.02.18
43990 탄핵 기각 꿈꾸는 용산 “대통령 복귀하면 바빠질 것” 랭크뉴스 2025.02.18
43989 “金 여사 ‘김상민, 의원되게 도와달라’ 요청”… 明 측 추가 주장 랭크뉴스 2025.02.18
43988 전남친 USB에 성관계 몰카…'소유권' 놓고 기막힌 공방전, 왜? 랭크뉴스 2025.02.18
43987 [단독] '여의도 저승사자' 이복현, 토스 대표만 봐줬다 랭크뉴스 2025.02.18
43986 “등푸른 생선은 최악” 악마의 통증 부르는 뜻밖의 음식 랭크뉴스 2025.02.18
43985 정몽준 "아시아판 나토로 북중러 억제하고 전술핵 재배치해야" 랭크뉴스 2025.02.18
43984 [단독] 검찰 "김건희, 尹 유리한 여론조사 명태균에 요청 의심 정황" 랭크뉴스 2025.02.18
43983 초지일관 '6대 4' 우위... '탄핵 찬성'  '정권교체', 중도는 흔들리지 않았다 랭크뉴스 2025.02.18
43982 홍준표 "당내 찬탄파 철딱서니 없어, 국힘서 정치하기 힘들 것" [인터뷰] 랭크뉴스 2025.02.18
43981 높은 수수료 부담에…애플페이 확산시 5년간 8000억 유출 랭크뉴스 2025.02.18
43980 암수술도 장기이식도 못해…눈 감을 날만 기다리는 비극 [의정 갈등 1년] 랭크뉴스 2025.02.18
43979 청년층 스며든 반중 정서 자극해 '혐중 몰이'... 보수의 위험한 도박 랭크뉴스 2025.02.18
43978 멕시코서 K팝 즐긴다는 이유로 교내 따돌림 받아…온라인 공분 랭크뉴스 2025.02.18
43977 “신풍제약 오너 2세, 코로나 치료제 실패 미리 알고 팔았다” 랭크뉴스 2025.02.18
43976 '커터칼 드르륵'…故 김하늘 살해 교사, 범행 전부터 '이상 행동' 랭크뉴스 2025.02.18
43975 “딥시크 사용자 정보, 틱톡 모기업 넘어가”…신규 다운 중단 랭크뉴스 2025.02.18
43974 권성동 만난 MB “이재명, 한덕수 탄핵 철회해야” 랭크뉴스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