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국회 국방위 단독 개최에 野 반발
"김 단장, 증인도 참고인도 아닌 신분"
"김 단장, 증인도 참고인도 아닌 신분"
김현태 육군 707특수임무단장이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제422회국회(임시회) 제2차 전체회의에 출석해 메모하고 있다. 왼쪽은 김선호 국방장관 직무대행. 뉴스1
지난해 12·3 불법계엄 당일 국회 단전 시도는 윤석열 대통령이 아닌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지시였다고 김현태 육군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이 17일 밝혔다. 전날 더불어민주당에서 주장한 '암흑천지' 상황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날 김 단장은 국민의힘이 단독으로 개최한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질의에 출석해 "단전 관련해서는 대통령 지시가 없었다"며 "단전은 (곽종근)특전사령관이 4일 0시 30분쯤 대통령 전화를 받고, 스스로 무언가를 하기 위해 생각해 낸 여러 가지 중 한 가지"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 지시는 건물 봉쇄 및 확보에 필요한 지시라고 이해했다"고 덧붙였다.
김 단장은 실제 단전이 5분 이내였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자동으로 비상등이 켜져서 암흑천지같이 어둡지는 않았다"며 "충분히 사람이 식별되고, 크게 불이 꺼졌다고 느끼기도 애매한 수준으로 잠시 꺼졌다가 켜진 상황이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는 전날 국회 단전 조치 배경에 계엄 해제 의결을 막기 위한 윤 대통령 지시가 있었다는 민주당 주장과 차이가 있다. 앞서 곽 전 사령관도 지난 6일 헌법재판소에서 단전에 대해선 자신의 지시였다고 언급한 바 있다.
다만 김 단장은 여당 의원들의 과도한 해석이나 유도 질문엔 곡해 없도록 소상히 설명하기도 했다. 그는 “(계엄)상황이 종료된 이후 곽 사령관이 부대와 부하를 살리기 위해 노력할 때 어느 누구도 손을 내밀지 않았다”며 “(김병주 의원이)손을 내밀어 그 손을 잡았고, 그 후 민주당 의원들과 만나며 본인 의지로 말씀한다고는 했으나 조금 왜곡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고 했다. 김 단장을 민주당이 패싱했다고 지적한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 지적에 대해선 “(부하 요원은)지난해 윤 대통령과 골프를 쳤던 요원 중 한 명”이라고도 답했다.
이날 야당 의원들은 국회 국방위원장을 맡는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이 직권으로 전체회의를 소집한 데 대해 반발, 두 명의 의원만 의사진행발언을 한 뒤 퇴장했다. 국방위 민주당 간사인 부승찬 의원은 “김 단장은 증인도 참고인도 아닌 단순 참석자”라며 “거짓된 진술을 해도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 국방위 권위를 스스로 무너뜨리는 일”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