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FTA '무관세' 한국도 상호 관세 영향권
전문가 "부가세 잘못 파악 후 내린 결정"
자동차 규제 등 '비관세 장벽' 철폐 언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3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의 대통령 집무실에 앉아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향후 '상호 관세' 부과 시 부가가치세(VAT)를 '관세의 일종'으로 간주하겠다고 밝혔다. 자동차 관세 도입 시점도 4월 2일로 구체화했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대다수 품목을 '무관세'로 거래해 온 한국도 '트럼프발(發) 관세 폭탄'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부가세, 관세보다 더 징벌적"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상호 관세 부과 결정을 언급하면서 "관세보다 훨씬 더 징벌적인 부가세 제도를 사용하는 나라들을 대미 관세를 가진 나라와 유사하게 간주하겠다"고 썼다. 부가세는 생산이나 판매 과정에서 증가한 부가가치에 매기는 세금으로, 소비세의 일종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유럽 등 다른 나라들이 내수 시장 판매 제품에는 부가세를 매기면서 해외 수출품에는 부가세를 감경·면제하는 것이 일종의 수출 보조금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스티븐 밀러 백악관 정책 담당 부비서실장은 최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부가세는) 미국 자동차 산업이 오랫동안 타격을 받고 일자리를 잃고 있는 이유"라며 "대단히 불공정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전문가들 견해는 다르다. 미국의 세금 관련 싱크탱크 '택스파운데이션'의 션 브레이 부사장은 지난 12일 재단 블로그에 쓴 글에서 "(미국 차량이 유럽에서 부가세를 부과받듯) 유럽 차량도 미국 국내에서 판매될 때는 판매세를 낸다"며 "부가가치세는 무역 중립적"이라고 지적했다.

아직 부가세 관련 무역 정책이 구체화되지 않아 예단하기는 이르지만, 한국도 일부 생활필수품을 제외한 대다수 물품에 10% 부가가치세를 부과하고 있어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비금전적 무역 장벽 금액 평가해 관세 부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상호 관세 조항에) 미국 제품이나 기업을 자국에서 밀어내기 위한 비금전적 관세 및 무역 장벽과 관련한 내용을 마련하겠다"고도 밝혔다. 미국 수출품의 경쟁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외국의 각종 규제 정책들로 관세 전쟁 전선을 확대하겠다는 선전포고인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자동차 관세 도입 시점을 "4월 2일 즈음"으로 명시한 데 이어 '비관세적 무역 장벽' 철폐 방침을 굳힌 만큼, 그동안 한미 FTA에 따라 무관세 대상이었던 한국 자동차도 사정권에 들어가게 됐다. 미국 무역대표부는 지난해 국가별무역장벽보고서(NTE)에서 "한국이 대기환경보전법상 배출가스 관련 부품(ERC) 규제를 적용해 자동차 제조업체의 제품 출시가 지연되고 있다"며 한국의 배출가스 규제를 무역장벽 중 하나로 거론하기도 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41 美·러 우크라 종전 협상에 '북한군 철수' 올리나…노벨상 군침 트럼프 대북 카드로 부상 랭크뉴스 2025.02.18
44340 [단독] "사기꾼" 선 긋더니‥오세훈, 명태균 여론조사 올리고 '홍보' 랭크뉴스 2025.02.18
44339 ‘상속세 완화’ 이재명…“국민 기만” “기업 혐오” 협공에 느긋? 랭크뉴스 2025.02.18
44338 김영선·김상민 '공천 개입' 김 여사 겨눈다‥이 시각 중앙지검 랭크뉴스 2025.02.18
44337 이재명 ‘CBS 김현정’ 저격글 올렸다 ‘순삭’…“관리자 실수” 랭크뉴스 2025.02.18
44336 “과거로 시간여행 체험”…中, 북한 단체관광 5년 만에 재개 랭크뉴스 2025.02.18
44335 "아들 울음소리 들었나"... 35분간 심정지 환자가 살아났다 랭크뉴스 2025.02.18
44334 홍준표 “명태균, 이준석과 찾아왔지만 나가라고 한 게 전부” 랭크뉴스 2025.02.18
44333 학원에 모의고사 문제 팔아 213억…교사 249명 적발 랭크뉴스 2025.02.18
44332 오픈AI 대놓고 비난한 머스크...그가 꺼낸 새 AI 챗봇 '그록 3'의 실력은 랭크뉴스 2025.02.18
44331 국회 측 “신속 파면해야” VS 尹 측 “합법적·평화적 계엄” 랭크뉴스 2025.02.18
44330 [단독] 여인형, 계엄 다음날 ‘계엄 예상 못함’ 문건 작성 지시…수사 혼선 노렸나 랭크뉴스 2025.02.18
44329 尹 측, 막판까지 부정선거론 제기... 국회 측 "尹 복귀는 재앙, 신속 파면을" 랭크뉴스 2025.02.18
44328 막바지 향한 대통령 탄핵심판, 국회 측 ‘계엄 위법성’ 굳히기 랭크뉴스 2025.02.18
44327 비명계 총집결… 김부겸 “개딸, ‘수박’ 표현 자제해야” 랭크뉴스 2025.02.18
44326 공수처, 손준성 '압수수색 일부 위법'에 불복…다시 대법원으로 랭크뉴스 2025.02.18
44325 "이건 무조건 한국산으로 사야 돼"…출산율 높은 '이곳'서 K-분유 열풍 랭크뉴스 2025.02.18
44324 김성태 “간신을 간신이라 했더니 이철규한테 고소장 날아와” 랭크뉴스 2025.02.18
44323 서울경찰청장 대리 "계엄은 잘못된 조치…관여한 바 없어"(종합) 랭크뉴스 2025.02.18
44322 소방청장 "이상민 前 장관, '단전·단수' 지시 명확하지 않았다" 랭크뉴스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