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 본 아파트의 모습. 권도현 기자


무주택자의 내 집 마련을 위한 저금리 대출인 ‘신생아 특례대출’이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에서 더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 집 마련을 위해 대출을 받았다가 자녀 출생 후 ‘대출 갈아타기’를 한 비율 역시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에서 더 높았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6일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신생아 특례 대출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고소득층(연 소득 8500만원 초과~2억원 이하)에서 신생아 특례대출을 받은 건수는 총 4356건으로, 저소득층(연 소득 4000만원 이하) 2351건의 1.8배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1주택자들의 갈아타기 상품인 ‘대환대출’ 역시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의 이용률이 높았다. 지난해 고소득층의 대환대출 건수는 4447건으로, 저소득층(1138건)의 3.9배에 달했다.

신생아 특례대출이란 대출신청일 기준으로 2년 내 출산·입양한 무주택 가구나 1주택 가구(대환대출)가 주택구입이나 전세자금을 저리로 빌릴 수 있는 제도다. 대상 주택은 9억원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로 최대 5억원까지 대출할 수 있다. 당초 맞벌이 부부 소득기준이 1억3000만원이었으나 지난해 12월부터 2억원으로 기준을 완화했다.

이에 올해 1월 한달만 보면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 고소득층의 1월 한달간 신규 대출 건수는 537건으로, 저소득층(259건)보다 두 배 많았고, 대환대출 상품 역시 고소득층이 올해 1월에만 338건으로, 저소득층(69건)보다 4.9배 많이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신생아 특례대출을 가장 많이 받는 소득 계층은 연소득 4000만원 초과~8500만원 이하 중산층으로 나타났다. 중산층의 지난해 신규대출은 7868건으로 전체 대출의 53.9%를 차지했다. 올해 1월 기준으로는 전체 신규대출 1700건 중 53.1%(904건)가 중산층에서 이뤄졌다. 중산층의 대환대출 비율은 지난해 47.2%(5011건), 올해 1월 47.3%(366건)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보면, 신생아 특례대출을 통한 내 집 마련은 경기도(4621건)에서 가장 많았으며, 대구(1017건), 인천(989건), 서울(978건), 경남(926건) 순으로 집계됐다.

신생아 특례대출이 저소득층보다는 중산층·고소득층에 집중되면서 ‘주거 불안 때문에 아이를 낳지 않는다’는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든 정책 대출 상품을 정책목표와 실제활용 사이에 괴리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 의원은 “정부는 출산율 제고를 위해 신생아 특례 대출 요건을 지속적으로 완화해왔는데 정작 저소득층에 대한 효과는 미비하다”면서 “중산층과 고소득층의 이자경감 및 대출부담 경감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건 아닌지 고민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신생아 특례대출은 대부분 아파트 구입자금으로 활용됐다. 빌라 등 비아파트보다 아파트를 ‘생애 첫 집’으로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한 것이다. 지난해 실행된 대출 총 1만4575건 가운데 97.4%(1만4210건)가 아파트 구입자금으로 활용됐으며, 빌라·단독주택 등 비아파트 구입자금으로 활용된 경우는 365건(2.6%)에 그쳤다. 올해 1월에는 98.7%(1679건)가 아파트 구입자금으로 활용됐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61 검찰, ‘계엄 관여 의혹’ 국방부 국회협력단장 사무실·자택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2.18
44160 다짜고짜 "중국으로 돌아가!"… 20년 전에도 이러진 않았다 랭크뉴스 2025.02.18
44159 검찰, '계엄군 길 안내 의혹' 국방부 국회협력단 압수수색(종합) 랭크뉴스 2025.02.18
44158 위협 느껴 택시서 뛰어내려 숨진 여성···택시기사 ‘무죄’ 확정, 왜? 랭크뉴스 2025.02.18
44157 ‘김새론 비보’ 조명한 외신들… “완벽한 외모·행동 압박 심한 한국” 랭크뉴스 2025.02.18
44156 교육부, 교직 인·적성 검사 강화…적격 판정 2번 이상 받아야 랭크뉴스 2025.02.18
44155 [속보] 검찰, 계엄 사태 관련 국방부 국회협력단 자택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2.18
44154 홍준표 “나는 명태균과 어울린 일 없어…샅샅이 조사해 보라” 랭크뉴스 2025.02.18
44153 "중국산 디지털 도어록, 불나면 잠기거나 고온에 폭발하기도" 랭크뉴스 2025.02.18
44152 더본코리아, ‘빽햄’ 자사몰 판매 중단 랭크뉴스 2025.02.18
44151 멕시코, 美 방문해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 본격화 랭크뉴스 2025.02.18
44150 [단독] 초등생 살해 교사, 급여 챙기려? 인사 규정 어기고 방학 때 조기 복직 랭크뉴스 2025.02.18
44149 ‘명태균-오세훈-김모씨’ 3자 만남 보도에…오세훈 “새빨간 거짓말” 랭크뉴스 2025.02.18
44148 반도체 세액공제 5%p 높인 ‘K칩스법’ 기재위 통과 랭크뉴스 2025.02.18
44147 부활한 30대 ‘영끌’에 지난해 가계빚 1927조, 또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2.18
44146 이선균 대사로 김새론 애도한 이기인…"죽창은 정의 아냐" 일침 랭크뉴스 2025.02.18
44145 눈밭 활주로 착륙중 여객기 뒤집혀 18명 부상…"사망 0명 기적"(종합) 랭크뉴스 2025.02.18
44144 3월 31일 공매도 전면 재개…무차입 공매도 방지 조치 의무화 랭크뉴스 2025.02.18
44143 검찰, '비상계엄 관여 의혹' 국방부 사무실 등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2.18
44142 [속보] 검찰 특수본, 국방부 국회협력단 압수수색…‘내란 동조’ 의혹 랭크뉴스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