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있다. 연합뉴스

비인기 과목이었던 서울대학교 헌법 관련 강의가 이번 학기 수강신청에서 큰 인기를 끈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서울대의 올해 1학기 수강신청 결과를 보면, 헌법 관련 학부 강의인 ‘헌법’, ‘시민교육과 헌법’, ‘민주시민과 헌법’, ‘한국정치사 입문’ 등 4과목의 수강신청률이 92.8%에 달했다. 헌법, 시민교육과 헌법, 한국정치사 입문 등 3과목은 모두 정원이 꽉 찼고 민주시민과 헌법 과목은 60명 정원에 42명이 수강을 신청했다. 이들 과목은 지난해 1학기 당시 수강신청률이 67.8%에 불과했다.

헌법 수업 수요가 급증한 건 12·3 내란사태와 윤석열 대통령 탄핵정국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대 재학생 박아무개(22)씨는 한겨레에 “전공은 다른 쪽이지만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로 한순간에 민주주의가 무너질 수 있었다는 생각에 헌법과 정치사 공부에 관심이 생겼다”며 “방학 때도 헌법 관련 책을 여러 권 읽었는데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어 헌법 강의를 신청했다”고 말했다.

헌법재판소는 이르면 다음 달 초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결론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헌법 관련 강의를 듣게 된 학생들은 이번 사건을 수업에서 직접 다룰 가능성도 크다. 한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헌법을 배우려는 학생이 늘었다는 소식에 반가움을 느낀다”며 “헌법이 담고 있는 가치를 한 번쯤 들여다 보는 것 자체가 시민의식을 키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짚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273 질식해 죽은 산천어 눈엔 피가 맺혔다 랭크뉴스 2025.02.16
43272 한동훈 ‘복귀 예고’에 윤상현 “짐 된다, 오지 마라” 랭크뉴스 2025.02.16
43271 이재명 “국힘, 100일 내 윤석열 부인 장담…광주서 계엄옹호, 사람인가?” 랭크뉴스 2025.02.16
43270 [속보] 권성동 “상속세 공제 한도 확대, 野와 얼마든지 논의할 생각 있어” 랭크뉴스 2025.02.16
43269 18년 만에 첫 로코 이준혁 "아이 돌보고 밥 짓는 건 정말 멋진 일" 랭크뉴스 2025.02.16
43268 "제발 '목사' 타이틀 떼라…종교 아닌 정치집회" 불편한 기독교 랭크뉴스 2025.02.16
43267 '오징어게임2' 채경선 미술감독, 3년만에 美미술감독조합상 수상 랭크뉴스 2025.02.16
43266 부천 노래방서 살해된 50대 여성…부검서 질식사 소견 랭크뉴스 2025.02.16
43265 하늘양 살해 교사, 평생 '月 100만원' 공무원연금 받는다…이달 월급도 랭크뉴스 2025.02.16
43264 인도 뉴델리 압사 사고…“축제 인파 몰려 18명 사망” 랭크뉴스 2025.02.16
43263 윤동주에 도시샤대 명예박사 수여…80주기 日서도 추모 랭크뉴스 2025.02.16
43262 이재명 “광주 찾아가 불법계엄 옹호 시위, 악마와 다를 게 뭔가” 랭크뉴스 2025.02.16
» »»»»» 내란, 계엄 탓에...서울대 수강률 급상승한 ‘이 강좌’ 랭크뉴스 2025.02.16
43260 ‘바라카 내홍’ 겪는 K-원전… 분리 8년 만 다시 커지는 “수출 일원화” 목소리 랭크뉴스 2025.02.16
43259 빚 못 갚은 자영업자 늘어…'생계형’ 60대 이상 52% 급증 랭크뉴스 2025.02.16
43258 '투자의 귀재'로 불리던 직장동료 믿었는데… 나도 모르는 새 6억 대출이 랭크뉴스 2025.02.16
43257 "계엄군 차단기 '턱' 순간 암흑"‥국회 CCTV 포착된 '단전 시도' 랭크뉴스 2025.02.16
43256 故송대관 생전 마지막 무대…"인생은 쿨하게" 밝은 얼굴로 열창 랭크뉴스 2025.02.16
43255 박찬대 "윤석열, '명태균 폰' 공개 치명상 막으려 계엄 선포‥명태균 특검 필요" 랭크뉴스 2025.02.16
43254 이재명 “정년 연장”에…오세훈 “‘공정한 일터’ 없으면 청년 말라비틀어져” 랭크뉴스 2025.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