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재앙에 인니, 아체 반군과 휴전…자치권 인정하고 평화협정
스리랑카, 위기에도 내전 계속…쓰나미보다 더 많은 목숨 잃어


인도양 쓰나미 참사 20주기
2024년 12월 26일 인도양 쓰나미 20주기를 맞아 인도네시아 반다아체에서 열린 기도회에서 한 여성인 눈물을 닦고 있다.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2004년 12월 26일, 인도양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초대형 쓰나미가 발생했다. 순식간에 덮친 대재앙으로 23만 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이 중 인도네시아는 약 15만 명, 스리랑카는 3만 명 이상이 사망해 가장 큰 피해를 본 두 나라가 됐다.

두 나라는 당시 내전 중이었고 피해 지역이 내전 핵심 지역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하지만 대응 방식은 완전히 달랐다.

쓰나미 직격탄을 맞은 인도네시아 아체 지역은 네덜란드 식민시대 이전부터 전통 왕국이 있었고, 식민 통치 기간에도 끊임없이 독립 투쟁을 벌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치권을 주겠다는 약속을 믿고 인도네시아에 편입됐지만 약속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고, 주민들은 독립운동에 나섰다.

이들은 자유 아체 운동(GAM)을 조직해 아체를 중심으로 무장 투쟁을 벌였고, 인도네시아 역시 강경하게 맞섰다.

양측은 수십년간 격렬히 싸웠지만 2004년 쓰나미라는 초유의 대형 재난이 닥치자 달라졌다.

이들은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을 원활히 받기 위해 즉각 휴전을 맺었다. 그리고 2005년 8월 인도네시아 정부는 아체 자치권을 공식 인정했고, GAM은 독립 요구를 철회하며 평화협정을 체결했다.

아체는 인도네시아에 남았고, 아체 주민들은 자치권을 얻어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를 법으로 채택하는 등 자신들이 원하는 이슬람 근본주의 생활을 하고 있다. 쓰나미라는 커다란 비극이 영원할 것 같던 갈등을 풀어내 평화를 가져온 역설적 상황이 펼쳐진 것이다.

스리랑카 내전 난민들
스리랑카 정부군과 타밀엘람해방호랑이(LTTE) 간 전쟁을 피해 모인 난민들이 스리랑카 바부니야 난민촌에서 생활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스리랑카는 정반대의 길을 걸었다.

1948년 영국에서 독립한 스리랑카는 다수인 싱할라족이 권력을 잡았고, 소수 민족이던 타밀족을 차별했다. 싱할라족은 불교, 타밀족은 힌두교를 믿어 종교도 달랐다.

결국 타밀족은 타밀엘람해방호랑이(LTTE)를 조직하고 무장 독립 투쟁을 벌였다.

쓰나미와 맞닥뜨린 스리랑카 동부 지역은 LTTE의 군사 전략 요충지였다.

쓰나미 직후 스리랑카와 LTTE도 휴전했지만 얼마 가지 못했다.

스리랑카 정부는 인도적 지원보다 재난을 틈타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는 데 집중했고, LTTE도 격렬하게 저항했다. 이들은 쓰나미 피해지역에서도 전투를 이어갔다.

그 결과 쓰나미 이후 2009년 LTTE가 항복할 때까지 전쟁으로 사망한 민간인 수는 7만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쓰나미보다 더 많은 사망자를 낳은 것이다.

LTTE는 사라졌지만, 스리랑카의 내전 상처는 여전히 아물지 않고 있다.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는 아니지만 2025년의 한국도 커다란 위기 속에 놓여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보호무역 정책을 강화하며 글로벌 경제 질서를 재편하고 있고, 우크라이나 전쟁과 가자지구 전쟁 등으로 국제 정세는 불안정하다. 북한은 핵과 미사일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런 위기에도 한국 정치권은 계엄과 탄핵 논란 속에 극심한 갈등을 겪으며 극단으로 치닫고 있다. 대화와 협력이 단절된 극단 정치의 피해는 결국 국민에게 돌아가고 있다.

쓰나미 위기 속에서 이뤄진 인도네시아와 스리랑카의 엇갈린 선택은 대한민국 앞에 놓인 여러 갈림길에도 나침반이 되고 있다.

손잡은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아체 주지사
자유 아체 운동(GAM) 지도자였다가 평화 협정 체결 후 아체 주지사가 된 이르완디 유수프(왼쪽)가 2007년 1월 11일 자카르타에서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44 “한국의 경제 성장 재역전” 日 성장률 4년 만에 최저 랭크뉴스 2025.02.17
43643 [속보] 개인정보위 “딥시크 앱 국내 서비스 잠정 중단” 랭크뉴스 2025.02.17
43642 지난해 '월급쟁이'가 낸 세금 60조 원 돌파‥법인세는 감소 랭크뉴스 2025.02.17
43641 개인정보위 "딥시크 국내 신규서비스 중단…개인정보 정책 미흡" 랭크뉴스 2025.02.17
43640 [속보] 개인정보위 “딥시크 국내 서비스 잠정 중단” 랭크뉴스 2025.02.17
43639 [속보] '개인정보 침해 논란' 딥시크 다운로드 당분간 차단 랭크뉴스 2025.02.17
43638 [단독]이재명, ‘삼프로TV’ 출연한다…‘우클릭’ 여론전 강화 랭크뉴스 2025.02.17
43637 [속보]공항철도 공덕역 무정차 통과…역사 화재 가능성 랭크뉴스 2025.02.17
43636 전 국정원장 “난 영부인 문자 받은 적 없다…김건희는 별걸 다 해” 랭크뉴스 2025.02.17
43635 허허벌판서 맛집 일궜더니...건물주 "시설비 8800만원 달라" [자영업자 울리는 임대 갑질] 랭크뉴스 2025.02.17
43634 [속보] 개인정보위 "딥시크 앱 국내 서비스 잠정 중단" 랭크뉴스 2025.02.17
43633 공항철도 공덕역에서 연기 발생‥무정차 통과 중 랭크뉴스 2025.02.17
43632 박지원 "미국도 이재명 인정…혹시 안 되면 나도 대선 출마" 랭크뉴스 2025.02.17
43631 [속보]검, ‘대통령 부부 공천개입 수사’ 명태균 구속 두 달 만에 중앙지검 이송 랭크뉴스 2025.02.17
43630 [속보] 권영세 “尹 하야,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옳은 방법 아냐” 랭크뉴스 2025.02.17
43629 이재명 43.3% 김문수 18.1%…국힘 41.4% 민주 43.1%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2.17
43628 [속보] 검찰, '명태균' 사건 서울중앙지검 이송… 尹 부부 공천개입 의혹 등 수사 랭크뉴스 2025.02.17
43627 "트럼프, 왜 푸틴과만 협상하나"…다급한 유럽 정상들 파리 긴급회동 랭크뉴스 2025.02.17
43626 권성동 "제1야당 대표가 대북제재 위반범‥외교 대참사" 랭크뉴스 2025.02.17
43625 서울중앙지검, 尹 공천개입 의혹 수사 착수 랭크뉴스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