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당내 계파 통합’ 행보 시동
아직은 조금 어색한 사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13일 국회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이 “헌정수호에 힘 합치자”

김 “더 넓은 연대를” 화답 후

팬덤 정치 지적 등 쓴소리도


이 “지금은 내란 극복 집중”

김 제안한 개헌엔 ‘선 긋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3일 친문재인(친문)계 적자로 불리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를 만나 ‘헌정수호 대연대(가칭)’를 제안했다. 최근 이 대표 일극 체제와 지난 대선 패배 책임론 등을 두고 비이재명(비명)계와 친이재명(친명)계의 갈등이 심화하자 이를 봉합하는 통합 행보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두 사람은 ‘통합’에는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개헌을 두고는 온도차를 확인했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김 전 지사를 만나 “고생하시다가 당에 돌아오신 것을 환영한다”며 복당을 축하했다. 김 전 지사는 ‘드루킹 댓글 여론 조작’ 혐의로 2021년 7월 대법원에서 징역 2년을 확정받아 자동 탈당 처리된 뒤 최근 복당했다. 두 사람의 회동은 12·3 비상계엄 직후인 지난해 12월5일에 이어 두 달여 만이다.

이 대표는 “내란 극복에 동의하는 모든 세력이 힘을 합칠 필요가 있다”며 “‘헌정수호 대연대’라고 하면 (표현이) 이상할지 모르겠으나 힘을 최대한 모아 국민께 희망을 드리고 다시 우뚝 서는 길에 김 전 지사가 함께 손잡고 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이 대표의 제안에 “더 넓고 강력한 민주주의 연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화답했다. 그는 “김대중 전 대통령은 자신을 죽이려고 한 세력과도 손을 잡고 첫 번째 정권교체를 이뤄냈다”며 “모든 세력을 아울러서 함께해야 한다. 정권교체를 하지 못하면 역사의 죄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팬덤정치의 폐해도 극복해야 한다” 등 뼈 있는 발언도 내놨다. 최근 당내 통합, 개헌 필요성을 언급해 온 것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그는 지난달 29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이 대표와 친명계를 향해 지난 총선 과정에서의 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 모욕·폄훼 발언 등을 사과해야 한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김 전 지사는 “다른 목소리를 용납하지 않는 극단과 배제의 논리를 반드시 극복해야 한다”며 “당의 정체성이나 노선을 바꾸는 것은 민주적 토론과 숙의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가 성장과 실용주의를 강조하면서 최근 ‘우클릭’ 논란이 일고 있는 점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 수행실장인 김태선 의원과 김 전 지사 측 김명섭 대변인에 따르면 1시간30분가량의 비공개 회동에서 김 전 지사가 “당 통합을 위해 마음에 상처 입은 분들도 담을 때가 됐다”고 말하자, 이 대표는 “통 큰 통합으로 민주주의를 지켜나가자”고 공감을 표했다. 반면 김 전 지사가 ‘원포인트 2단계 개헌’을 언급한 데 대해 이 대표는 “지금은 내란 극복에 집중해야 할 때”라며 선을 그었다.

이날 회동은 이 대표의 당내 통합 행보 출발점으로 해석된다. 이 대표는 이달 안에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도 만날 예정이다.

이번 만남으로 당내 계파 갈등이 말끔하게 봉합될지는 미지수다. 이 대표와의 연쇄 회동이 잠재적 대선 주자들의 레이스를 앞당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비명계 일각에선 자신들의 연대체를 형성하려는 시도와 함께 공정한 경쟁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비명계 전직 의원 모임인 ‘초일회’ 간사를 맡은 양기대 전 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가 기득권을 내려놓고 누구든 수긍할 수 있는 공정한 대선 경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 전 의원은 오는 18일 경기 광명에서 비명계 대선 주자들 간 연대의 틀을 만들기 위한 ‘희망과 대안 포럼’ 출범식을 열 예정이다. 출범식에는 정세균·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동연 경기지사, 김두관·박용진 전 의원 등이 참석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33 "이 돈 주고 갈 바엔 해외여행 간다"…4인 가족에 622만 원 필요하다는 '이곳'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32 2분기부터 법인도 가상자산 투자 가능…판 커지는 국내시장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31 맨날 집 안에서 빨래 말렸는데…과학자들 '섬뜩한 경고' 나왔다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30 사랑 많았던 하늘이 가는 길, 축구·아이브가 널 웃게 했으면…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9 [사설] ‘총파업’ 외치는 민노총, 회계 공시·법치 준수 기본책무 다하라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8 차준환, 피겨 남자싱글 역전 우승…사상 첫 ‘남녀 싱글 동반 금메달’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7 [단독] ‘총알받이’라던 북한군, 약어표 보니…‘돌격전’ 지시어 빼곡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6 “이재명·한동훈 잡으러” 진실은…조태용-홍장원 대화도 공방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5 “기후위기로 바다 거칠어져…선원 고령화 악조건 대처 힘달려”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4 獨 포르쉐 공장, 2029년까지 일자리 1900개 감축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3 이통 3사, 구글 수수료에 의존… 자체 앱 ‘원스토어’는 허덕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2 “여깁니다” 놓고…윤 “미국 있는 줄” 조태용 “한국이라 밝혀”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1 ‘윤 국민변호인’ 앞장선 전한길 “탄핵 땐 헌재 역사 속 사라질 것”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20 ‘홍장원 메모’ 흔드는 尹 측… 법조계, 본질 흐리기 지적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19 [단독] 노상원 수첩에 ‘윤석열 3선 구상’…계엄 뒤 계획 담겼다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18 美 1월 생산자 물가 0.4% 상승… 예상보다 높아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17 포르쉐 독일공장 일자리 1900개 감축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16 응급실에 온 여성 몸에 탯줄이…태아는 숨진 채 비닐봉지에 있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15 러 손잡고 첫발 뗀 협상…‘젤렌스키 제안’ 배제되나 new 랭크뉴스 2025.02.14
46714 [단독] 살해 암시 ‘노상원 수첩’에 문재인·유시민 등 500명…“확인사살” new 랭크뉴스 2025.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