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공무원 둘 중 한 명 "다시 선택해도 공무원"
한경DB


우리나라 공무원 10명 중 5명은 직업을 다시 선택해도 현재의 직업을 하겠다고 답했다. 또 10명 중 7명은 소속 기관을 비판하는 뉴스가 나오면 창피함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한국행정연구원은 '한국의 공·사조직 구성원 인식 비교 조사' 보고서에서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국가 공무원 500명, 지방직 공무원 500명 등 공무원 1천명과 5인 이상 민간 기업 종사자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직업을 다시 선택할 수 있다면 현재와 같은 영역(공공 또는 민간)을 택하겠다고 답한 공무원(50.7%)은 민간 종사자(71.1%)보다 20%p 이상 적었다.

또 공무원 68.4%는 '기관을 비판하는 뉴스가 나오면 내가 창피하게 느껴진다'고 답했다. 동일한 질문에서 민간 기업 종사자의 응답률은 이보다 약 10%포인트(p) 낮은 58.6%였다.

반면 '사람들이 우리 기관을 칭찬하는 것을 들으면 내가 칭찬받는 것처럼 느껴진다'는 공무원은 51.0%로, 민간 종사자(58.3%)보다 약 7%p 낮았다.

'우리 기관이 잘되는 것이 내가 잘되는 길이다'라는 말엔 공무원 48.2%, 민간 종사자 66.1%가 동의했다.

의사 결정 측면에서는 민간 부문이 공공 부문에 비해 더 많은 자율성을 보장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가 맡은 직무는 내 의사결정에 있어 상당한 자율성을 제공한다'고 느낀 민간 종사자는 54.3%로, 공무원(38.6%)보다 15.7%p 높았다.

'직무를 수행하면서 주도적으로 업무를 판단할 기회가 있다'고 응답한 민간 종사자는 60.2%였지만, 공무원은 50.5%에 그쳤다.

'우리 기관의 조직 목표는 담당업무 수행을 위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한다'는 공무원은 32.0%에 불과했으나, 민간 종사자는 과반이 이에 동의했다.

'지난 1년간 우리 기관의 목표 달성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공무원은 35.5%, 민간 종사자는 49.6%였다.

'직장 일로 개인적인 삶을 즐기기가 어렵고 스트레스가 발생한다'는 공무원은 절반이 넘었지만, 민간 종사자는 41.3%였다. '직장 일이 많아져 가족적 책임(육아·가사 활동 등)을 다하기 어렵다'는 데에도 공무원(45.6%)은 민간 종사자(30.7%)보다 더 많이 동의했다.

정년 연장에 찬성하는 비율은 공무원은 54.5%, 민간 종사자는 58.6%였다.

보고서는 "공공 부문은 외부 평가를 개인 자존감과 연결하는 경향이 강하며, 민간 부문은 조직의 성공과 개인 성공의 연관성을 더 중요시한다"며 "공공조직이 구성원들에게 더 많은 자율권을 부여하고, 현장 상황에 맞춰 자율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한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공공 부문 장기 근속자들에게 보상이나 경력개발 기회를 제공해 구성원들이 조직에 장기적으로 남도록 동기부여를 할 필요가 있다"며 "동시에 재택근무나 유연 출퇴근제 등 다양한 근무 형태를 제공해 종사자들이 더 나은 근무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68 "진실 근접해" 여권 호들갑‥이미 헌재서 다 정리됐는데 랭크뉴스 2025.02.18
48667 [속보] 경찰, 이상민 전 장관, 소방청장 자택·집무실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2.18
48666 K-칩스법 국회 기재위 통과…대기업 20%·중소기업 30% 세액공제 랭크뉴스 2025.02.18
48665 [2보] 검찰, 국방부 국회협력단장 사무실·자택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2.18
48664 전남친 USB에 성관계 몰카 수백개…기막힌 소유권 전쟁, 왜 랭크뉴스 2025.02.18
48663 시진핑 소집 회의 뭐길래…회장 불참한 바이두 주가 3.5조 폭락 랭크뉴스 2025.02.18
48662 서울구치소 앞서 태극기로 면회객 때리고 밀친 윤석열 지지자 랭크뉴스 2025.02.18
48661 경찰,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혐의 이상민 자택 등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2.18
48660 테무도 한국안방 직접 진출…"오픈마켓 열고 판매자 모집" 랭크뉴스 2025.02.18
48659 경찰, ‘계엄 당시 단전·단수 의혹’ 이상민 자택·집무실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2.18
48658 사직 전공의들 "돌아가고 싶지만, 확실한 명분 있어야" [의정 갈등 1년] 랭크뉴스 2025.02.18
48657 “김건희·명태균 ‘48분 통화’…공천으로 다퉜기에 정확히 기억” 랭크뉴스 2025.02.18
48656 [단독] 檢, ‘계엄 관여’ 의혹 국방부 국회협력단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2.18
48655 NYT “설리, 구하라 이어 김새론까지…한국 연예산업의 비극” 랭크뉴스 2025.02.18
48654 [속보] 경찰, 이상민 자택 압수수색…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의혹 랭크뉴스 2025.02.18
48653 “잘 피했는데” 건보료 감액조정 악용한 고소득자 급감 랭크뉴스 2025.02.18
48652 딥시크가 유출한 데이터, 혹시 내 개인정보?…커져가는 우려 랭크뉴스 2025.02.18
48651 "유승민·심상정 두 분께 사과"‥'확인 못 했다' 김경수 '덜컥' 랭크뉴스 2025.02.18
48650 경찰, '단전단수 의혹' 이상민 자택 압수수색…소방청장도 대상 랭크뉴스 2025.02.18
48649 “계엄날 윤석열한테 술 냄새…군사경찰이 분명히 맡았다고 해” 랭크뉴스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