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스팅보터 2030 표심에 촉각
박구용 더불어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이 지난 8일 팟캐스트 '매불쇼'에 출연해 발언하고 있다. 유튜브 캡처
더불어민주당 인사의 '2030 남성 비하' 발언에 국민의힘이 맹공을 폈다. 조기 대선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캐스팅 보터'로 부각된 2030 청년층 표심에 여야 모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박구용 "우파 청년 고립" 실언이 발단
발단은 박구용 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의 최근 유튜브 발언이었다. 박 원장은 서울서부지법 난입 폭력사태를 옹호하는 청년들을 고립시켜야 한다는 취지로 "스스로 말라 비틀어지게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주주의 훈련이 안된, 지체된 의식을 가진 친구들이 자유의 이름으로 민주주의를 파괴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 발언은 과거 야권 인사들의 2030 남성 비하 발언과 연장선으로 해석돼 파장이 커졌다. 앞서
유시민 작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투표한 2030남성들을 향해 “나는 ‘니들 쓰레기야’라고 말해주고 싶다”
고 했고, 설훈 전 민주당 최고위원은 20대의 민주당 지지가 예전 같지 않은 원인이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절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한 데 있다”고 언급해 파장이 일었다.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2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권성동 "민주당 동조해야 착한 청년이냐" 지적... 이재명, 박구용 사표 수리
국민의힘은 틈을 파고 들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12일 의원총회에서 박 원장 논란을 언급하며 “민주당 주장에 동조하는 청년은 착한 청년, 민주당과 생각이 다르면 나쁜 청년이라는 것”
이라고 직격했다. 국민의힘 중앙대학생위원회도 “국민의힘을 지지하면 민주주의 훈련이 안된 것이냐"라고 가세했다. 민주당은 곧바로 자세를 낮췄다. 이재명 대표는 박 원장의 사표를 즉시 수리하며 당 지도부에도
“박 원장 발언은 부적절한 표현이었으며 이를 계기로 당직자들은 언행을 신중히 해달라”
고 당부했다.2030 남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반. 그래픽=송정근 기자
지난 대선 '세대포위론' 반복될라... 촉각 세운 정치권
이처럼 여야가 촉각을 곤두세우는 건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청년 세대의 표심이 최대 변수로 꼽히기 때문이다. 과거 민주당의 우군이던 2030 남성 상당수가 2022년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를 선택해 박빙 승부의 당락을 갈랐다. 당시 방송3사(KBS·MBC·SBS) 출구조사를 보면 20대와 30대 남성은 각각 58.7%와 52.8%가 윤 후보에 투표했다고 답했다. 당시 윤 후보를 찍은 20대와 30대 여성이 각각 33.8%, 43.8%에 그친 것과 대비된다. 그러자 '청년은 민주당, 노인은 국민의힘'이라는 공식이 깨졌다는 의미로 '세대포위론'이란 말이 나왔다.
다만 정치권이 득표를 위해 성별과 세대의 갈등을 조장하는 건 뻔한 갈라치기일 뿐이다.
이동수 청년정치크루 대표는 통화에서 "지금은 별다른 젠더 이슈가 없는 상황임에도 여야가 모두 자기 편인 성별은 띄워주고, 반대 편인 성별은 '극우' 또는 '페미'라고 낙인을 찍고 있다"
며 "정치권이 청년들을 상대로 '동원과 낙인 찍기' 전략을 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