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슬립맥싱 게시글 갈무리
글로벌 젊은층이 숙면에 높은 관심을 보이며 ‘슬립맥싱(sleepmaxxing)’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다. 슬립맥싱은 더 빠르게 잠들고, 더 오래, 더 깊이 자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방법을 실천하는 트렌드로, 수면의 질을 극대화하는 모든 노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미국 CBS 뉴스는 “젊은이들이 더 나은 수면을 위한 팁을 공유하고 있으며, 수백만 명이 이에 주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수면 최적화를 위해 많은 방법을 시도하고, 자신만의 노하우를 소셜미디어(SNS)에 공유하고 있다. ‘슬리피 걸 목테일’(마그네슘 음료)부터 수면 추적기 사용, 입 테이핑, 콧구멍 확장기까지 그 방법도 가지각색이다.
틱톡에서 ‘#슬립맥싱’ 관련 영상들은 조회수 약 1억 회에 달하며, SNS에는 수십만 개의 관련 게시물이 올라왔다.
플로리다대 4학년 카밀라 찰스는 “매일 밤 마그네슘을 먹고, 피부 관리를 하며, 롤로 머리카락을 고정하는 루틴을 지킨다”며 “숙면을 위해 내게 맞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CBS 뉴스에 밝혔다.
또 다른 대학생 크레이그 제임스는 “방을 어둡고 조용하며 차갑게 유지하는 것이 수면을 돕는다”며 “TV를 끄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스탠포드 헬스케어 신경과 전문의이자 수면 전문가 클리스 쿠시다는 “젊은층의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면의 중요성이 재조명됐고, 슬립맥싱 열풍이 시작됐다”고 분석했다.
그는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으로 쉽게 수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며 “정신적·신체적 건강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을 찾으려는 이들이 슬립맥싱에 빠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렌터카페의 ‘2024년 Z세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Z세대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9시간 37분으로 다른 세대보다 길었다. 이들이 운동(28분)과 자기 관리(5시간 15분)에 투자하는 시간 역시 세대 중 가장 많았다.
수면 과학자 바네사 힐은 CBS 뉴스에 “슬립맥싱 트렌드는 사람들이 수면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면서도 “수면을 완벽하게 관리하려는 강박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심혈관 전문의 니디 쿠마르 박사 역시 “수면을 추적이 강박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방법의 위험성을 지적했다. 특히 ‘입 테이핑’에 대해 “코골이를 악화시키고, 불안과 질식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절대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틱톡이 수면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는 없다”며 수면 습관은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