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고객들이 29일 여의도 국민은행 한 지점에서 업무를 보고 있다. 한경=김병언 기자 20221129
가입자한테서 떼가는 퇴직연금 수수료가 해마다 불면서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 금융사들이 막대한 수입을 얻고 있지만 수익률은 물가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2일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의 ‘퇴직연금 비교공시’ 자료에 따르면 확정급여형(DB), 확정기여형(DC), 개인형 퇴직연금(IRP) 가입자(기업 혹은 개인)가 퇴직연금 사업자인 금융사에 자산관리 대가 등으로 건넨 총수수료는 지난해 1조 6840억5500만원에 달했다.
수수료 수입 규모 상위 금융사별로는 살펴보면 ▲신한은행 2116억4300만원 ▲KB국민은행 2064억2300만원 ▲삼성생명 1714억6400만원 ▲하나은행 1663억200만원 ▲우리은행 1284억1000만원 ▲IBK기업은행 1269억3900만원 ▲미래에셋증권 1089억9300만원 순이었다.
수익률과는 무관하게 금융사가 가입자한테서 떼가는 수수료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8년 8860억4800만원 ▲2019년 9995억7800만원 ▲2020년 1조772억6400만원 ▲2021년 1조2327억원 ▲2022년 1조3231억6100만원 ▲2023년 1조4211억8600만원 등으로 늘었다.
이는 해마다 퇴직연금 적립금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현행 수수료 체계는 금융사들이 운용 성과와 상관없이 적립금에 차등 요율이나 단일 요율 등 일정 비율로 부과해서 가입자한테서 떼어가는 방식이다. 적립금이 커지면 커질수록 수수료도 커지는 구조다.
실제로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는 ▲2018년 190조원 ▲2020년 256조원 ▲2022년 336조원 ▲2023년 382조4000억원 ▲2024년 432조원 등이다.
가입자들은 이렇게 막대한 수수료를 내고 있지만 정작 퇴직연금 운용실적을 보여주는 수익률은 물가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한다.
2023년 말 기준으로 10년간 퇴직연금 연 환산 수익률은 2.07%에 불과하다. 5년으로 기간을 줄여도 연 환산 수익률은 2.35%로 2023년 물가 상승률인 3.6%에도 미치지 못한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수익률은 마이너스인 셈이다.
퇴직연금 수익률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 2.25%, 2020년 2.58%, 2021년 2%, 2022년 0.02%, 2023년 5.26%였습니다. 제도 시행 이후 5%대 수익률은 2010년과 2023년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