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무주택자만 ‘무순위 청약’ 허용
거주지 요건은 지자체장이 판단
실거주 확인절차도 강화키로
게티이미지뱅크

부동산 시장 과열을 부추긴다고 비판받던 ‘무순위 청약제도’가 이르면 5월 중순부터 무주택자만 신청할 수 있도록 바뀐다. 이때 거주지 요건은 관할 지방자치단체장이 지역 시장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정하게 된다. 정부는 실거주 여부 확인 절차를 강화해 위장전입을 통한 부정청약을 막는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11일 이런 내용의 무순위 청약제도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무주택 실수요자 지원이라는 청약제도의 원래 목적을 살린다는 취지에서다. 무순위 청약제도는 1·2차 청약에서 미달이 나거나 계약 포기 등으로 생기는 잔여 물량을 대상으로 청약을 다시 신청하는 제도다. 무순위 청약제도 신청요건이 강화된 건 미분양 우려로 요건이 완화됐던 2023년 2월 말 이후 2년 만이다.

이번 제도개편은 기존 무순위 청약제도가 ‘투기성 청약’ ‘시장과열’을 조장한다는 지적에서 비롯됐다. 당첨만으로 막대한 분양 시세차익을 거둘 수 있어 청약경쟁이 과열되고, 유주택자도 청약신청이 가능해 청약제도의 본래 취지인 ‘실수요자 주택공급’을 훼손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지난 6~7일 제도 개편 전 마지막 ‘로또 청약’인 세종시 아파트는 세 가구 모집에 약 120만명이 몰렸다.

정부는 이에 무주택자만 무순위 청약제도 신청을 허용하기로 했다. 지금까지는 국내 거주 성년 이상이라면 누구나 청약이 가능했다. 무주택자로 한정하면 무순위 청약 경쟁률은 지금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부가 294만명이 몰린 ‘동탄역 롯데캐슬’ 사례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해본 결과 청약 신청자의 40%가량이 유주택자였다. 특히 경기도 거주자로 지역 제한까지 적용하면 60%가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거주지역 요건도 관할 지자체장이 지역별 여건과 시장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부과하도록 개선한다. 예컨대 분양 경쟁이 치열한 지역은 지자체가 해당 광역 지자체 또는 해당 광역권으로 거주지 요건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세종시의 경우 세종시장이 세종시 또는 충남권 거주자만 무순위 청약에 신청하도록 한정할 수 있다. 반면 경쟁률이 세지 않은 지방 소도시 아파트는 관할 지역 거주요건을 부과하지 않고 전국 단위로 확대해 분양신청을 받을 수 있다.

부정청약 근절을 위한 실거주 여부 확인절차도 강화한다. 앞으로 무주택 청약신청자 본인과 가족들의 최대 3년치 병원·약국 이용내역 제출이 의무화된다. 정부는 입주자 모집 공고일 이전 직계존속의 병원·약국 기록은 3년치, 30세 이상 직계비속은 1년 치를 제출하도록 할 계획이다.

정부는 제도 시행을 앞당기기 위해 주택공급 규칙을 신속히 개정할 계획이다. 다만 정부는 제도 개편 이전까지 ‘로또 청약’에 준하는 물량은 많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수헌 국토부 주택정책관은 “특별한 시세 차익이 예상돼 과도한 경쟁률이 보이는 곳은 없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053 배우 김새론 자택서 숨진 채 발견…"최초 발견자는 친구" 랭크뉴스 2025.02.17
48052 고평가 논란 뛰어넘으려면 M&A뿐... 유망 식음료 업체 찾아나선 백종원 랭크뉴스 2025.02.17
48051 지난해 '월급쟁이'가 낸 세금 60조원 돌파…법인세만큼 커졌다 랭크뉴스 2025.02.17
48050 트럼프가 '부가가치세'를 상호관세 빌미로 삼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2.17
48049 한동훈 “머지않아 찾아뵙겠다”…여당 ‘조기 대선 모드’ 가속화? 랭크뉴스 2025.02.17
48048 전광훈엔 선 그었다…금남로 '반탄 3만' 동원한 기도회 실체 랭크뉴스 2025.02.17
48047 이상기후에 과일 수입량 늘었다…작년 수입액 2조원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2.17
48046 배관실 최초 불꽃에 “불이야”…‘자동화재신고장치’도 없었다 랭크뉴스 2025.02.17
48045 '파과' 민규동 감독 "액션배우 이혜영 신선한 경험 될 것" 랭크뉴스 2025.02.17
48044 내다 버린 물김만 5200톤…돈 되자 달려든 불법양식에 김 산지 초토화 랭크뉴스 2025.02.17
48043 [단독]조지호 "체포조 지원 지시 안했다"…그날밤 11시59분 진실 랭크뉴스 2025.02.17
48042 [국제금융캘린더] 대형지표 부재 속 '트럼프 입'에 주목 랭크뉴스 2025.02.17
48041 [단독] 명태균이 尹에 보낸 유튜브 채널, '곽종근 가스라이팅'에도 쓰였다 랭크뉴스 2025.02.17
48040 트럼프 "출생시민권, 불체자와 무관…건국아버지들 무덤서 탄식" 랭크뉴스 2025.02.17
48039 팝업스토어의 저주…성수동 구두명장 1호, 56년만에 길을 잃다 [자영업자 울리는 임대 갑질] 랭크뉴스 2025.02.17
48038 짝 잃은 신발, 주인 없는 휴대폰…12월 29일에서 멈춘 그곳 랭크뉴스 2025.02.17
48037 권성동, 이명박 전 대통령 예방…탄핵정국 조언 청취 랭크뉴스 2025.02.17
48036 법사위, '명태균 특검법' 심사 착수…野, 27일 본회의 처리 목표 랭크뉴스 2025.02.17
48035 '아저씨' 아역 눈도장…16년간 스크린·안방 누빈 김새론(종합) 랭크뉴스 2025.02.17
48034 조류독감에 美달걀 금값인데…트럼프, 관련 업무 공무원도 해고 랭크뉴스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