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ESG 경영 국제 자율협약 가입
52시간 제외는 협약 취지 어긋나
삼성전자.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도입 필요성을 강조한 ‘주 52시간 노동상한제’(주 52시간제) 적용 제외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에서 밝힌 ‘주 60시간 초과노동 금지’ 등 인권·환경·지배구조(ESG) 차원의 약속과 충돌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삼성전자는 전자업체의 자율협약인 ‘책임 있는 기업 연합’(Responsible Business Alliance·알비에이)의 회원으로서 행동강령을 준수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주 52시간제 도입 제외가 실행되면 행동강령 준수가 사실상 어려워져, ‘인권경영’을 도외시한 채 약속만 내세우는 ‘블루워싱’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11일 삼성전자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보고서)를 보면, 삼성전자는 알비에이 회원사로서 인권 영향 평가 등 다양한 점검 활동을 실시하고, 행동규범 준수 노력 등을 강조하고 있다. 전자·유통 등 글로벌기업 300여곳이 가입한 알비에이는 근무 환경의 안전을 비롯해 기업의 책임과 인권·환경 존중 등을 실천하기 위해 2004년 설립됐다. 행동강령에는 세계인권선언과 국제노동기구(ILO) 국제노동기준 등을 참고해 회원사들이 준수해야 할 내용이 담겨 있다. 국내에선 삼성전자와 에스케이(SK)하이닉스, 엘지(LG)전자가, 국외에선 티에스엠시(TSMC), 엔비디아 등이 회원사다.

행동강령에는 노동시간에 대해 현지 법에 규정된 최대 근로시간을 초과해서는 안 되며, 응급·비상상황을 빼고는 근로시간이 주 60시간을 초과해선 안 된다는 내용이 있다. 또 7일에 최소 1일의 휴일을 보장하고, 모든 초과근로는 자발적이어야 한다는 원칙도 세우고 있다. 다만, 해당 강령을 위반해도 제재는 없고, 대신 추후 개선했다고 공개하면 된다.

삼성전자는 2023년 세운 ‘인권 기본 원칙’에서도 인권경영을 강조했다. 근로시간 등에 대해 “7일마다 최소 1일은 쉬어야 한다”며 “모든 초과근무는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며 초과근로 수당은 현지 법에 따라 할증되어 지급된다”고 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티에스엠시는 ‘주 70~80시간 일한다’며 이들과의 경쟁을 이유로 주 52시간제 적용 제외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자사는 물론 공급망 업체(협력업체)에 강조한 행동강령 준수와 상반된 태도를 보인 셈이다. 여당이 추진 중인 반도체특별법이 시행되면 연장근로 상한이 사라져 주 60시간 이상 노동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연장근로 수당 등도 받을 수 없게 된다.

이를 두고 ‘기업과 인권네트워크’의 신유정 변호사는 “협력사에 주 60시간 노동을 요구하고 인권정책 준수를 요구하면서 장시간 노동이 가능한 법안 통과를 요구하는 것 자체가 모순적인 태도로 ‘블루워싱’이라 볼 수 있다”며 “국제적으로 ‘비자발적 초과근로’를 금지하고 있는데, 노동단체들이 원치 않는 장시간 근로를 주장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앞서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은 설문조사 결과 연구개발 직군 조합원의 90%가 주 52시간제 적용 제외에 반대한다고 답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삼성전자 반도체 및 국내 사업장은 근로시간에 관한 알비에이의 지적을 받은 적이 없다”며 “앞으로도 알비에이 행동강령과 국내법을 모두 준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93 윤석열이 연 파시즘의 문, 어떻게 할 것인가? [신진욱의 시선] 랭크뉴스 2025.02.12
45892 지난해 상장사 자사주 취득 14조원…1위는 경영권 분쟁 고려아연 랭크뉴스 2025.02.12
45891 [속보]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서명에도 시큰둥…다우 0.3%↑ 랭크뉴스 2025.02.12
45890 ‘코인 대통령’ 맞나요?···관세 정책에 휘청이는 비트코인[경제밥도둑] 랭크뉴스 2025.02.12
45889 ‘단골’ 할아버지의 부고…장례식장에 간 카페 사장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2.12
45888 명태균 "오세훈·홍준표 민낯을"‥야권, 특검 발의 랭크뉴스 2025.02.12
45887 인스타 ‘고해성사’방이라더니… “19금 비밀 얘기해줘” 랭크뉴스 2025.02.12
45886 기자 위협하고 경찰 짓눌렀다…극우 집회마다 등장한 유튜버, 결국 랭크뉴스 2025.02.12
45885 네타냐후 “15일까지 인질 석방 안 되면 휴전 끝날 것” 랭크뉴스 2025.02.12
45884 트럼프 옆 머스크, 백악관 집무실서 "관료주의는 민주주의 아냐" 랭크뉴스 2025.02.12
45883 ‘윤석열 옹호’ 앞장서는 극우 인권위…안창호 지명이 ‘퇴행’ 정점 랭크뉴스 2025.02.12
45882 신지호 “한동훈 서울시장 출마설, 오세훈 측이 퍼뜨린 가짜 뉴스” 랭크뉴스 2025.02.12
45881 유승민 "나라 두쪽 낸 윤석열·이재명 두 빌런, 동시 정리해야" [안혜리의 직격인터뷰] 랭크뉴스 2025.02.12
45880 트럼프, 요르단 국왕 면전서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랭크뉴스 2025.02.12
45879 논란의 ‘대통령 행정 명령’, 트럼프가 남발하는 걸까? [특파원 리포트] 랭크뉴스 2025.02.12
45878 트럼프발 관세 폭격, 자동차도 사정권..."한국서 미국 가는 140여 만대 어쩌나" 랭크뉴스 2025.02.12
45877 부부싸움에 총격전까지…'러 최고 여성갑부' 고려인 결국 이혼 랭크뉴스 2025.02.12
45876 ‘버터핑거 폐점·에그슬럿 철수’... 뉴욕 간판 단 美 브런치 브랜드, ‘우울한 퇴장’ 랭크뉴스 2025.02.12
45875 “러시아, 군용차량 부족하자 당나귀까지 동원” 랭크뉴스 2025.02.12
45874 이재명이 띄운 '주4일제'…스웨덴, 재정부담에 중도 포기했다 랭크뉴스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