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일(현지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가상자산 대통령’ 아니었나요. 코인 그대로 들고 있는 게 맞을까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잇따른 추가관세 부과 발표 이후 가상자산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가상자산 대통령’을 표방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 이후 넓게 퍼진 비트코인 낙관론도 최근 주춤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통상·안보 이슈에 관세 카드로 대응할 가능성이 큰 만큼 불확실성이 확대됐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관세 부과는 일시적 수단일 뿐 장기적으로는 ‘친’ 가상자산 정책 추진으로 코인 가격이 우상향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트럼프 당선에 “70만 달러 간다” 장밋빛 전망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때부터 가상자산에 우호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공화당 대선 후보 시절인 지난해 6월 한 선거자금 모금 행사에서 “나는 가상자산 대통령(crypto president)이 될 것”이라고 했다. 지난해 9월에는 뉴욕의 한 바에서 비트코인으로 햄버거를 사 먹으면서 “이것은 가상자산 버거”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런 탓에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이 확정되자 비트코인 가격도 상승세를 탔다. 미국 대선일(지난해 11월5일) 오전 7만달러 선 아래이던 비트코인 가격은 약 1주일 뒤인 13일 9만3000달러선을 웃돌며 약 35% 올랐다. 지난달 6일에는 사상 처음으로 10만달러 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전문가들도 연달아 희망섞인 전망을 내놨다. 래리 핑크 블랙록 최고경영자는 지난달 열린 다보스포럼에서 “비트코인 가격이 70만 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아직 가상자산에 유보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기관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에 가상자산 비중을 늘리면 가격이 크게 오를 것이라는 예상이었다. 캐시 우드 아크인베스트먼트 최고경영자도 “2030년까지 비트코인 가격이 100만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점쳤다.

관세 전쟁에 출렁···‘디지털 금’ 회의론

비트코인 가격


그런데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전쟁’을 발표한 뒤로 비트코인 시세는 조정기를 겪고 있다. 지난 1일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캐나다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후 비트코인 가격은 10만 달러선이 붕괴, 3일 9만1000달러대까지 하락했다. 주요 코인인 이더리움과 리플은 20% 가까이 폭락하기도 했다. 암호화폐 데이터제공업체 알터너티브의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도 전날보다 16포인트 급락한 44포인트로 지난해 10월14일 이후 가장 낮았다. 지수가 0에 가까울수록 투자심리가 비관적이고 100에 가까울수록 낙관적이라는 의미다. 관세 부과 한 달 유예를 발표한 지난 4일 비트코인 가격은 다시 10만 달러선을 회복하긴 했지만 변동성이 큰 상황이다.

이는 관세 부과 발표 이후 대표적 안전자산으로 평가받는 금이 연일 신고가를 기록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금속선물거래소에 따르면 4월 인도분 금선물은 지난 9일 기준 트로이 온스당 2893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비트코인 시세 조정기가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행정부가 ‘품목별 관세’ ‘상호관세’ 등 새로운 관세카드를 잇따라 꺼내 들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 철강 품목에 대한 25% 추가관세 계획을 발표했다. 유럽연합(EU) 등을 대상으로 한 상호 관세도 조만간 부과할 방침이다.

이에 비트코인이 ‘안전자산’이 되기에는 갈 길이 멀다는 회의론도 힘을 받는 모양새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유진 파마 시카고대 교수는 지난달 30일 한 팟캐스트에서 “10년 안에 비트코인 가치가 0이 될 가능성은 1(100%)에 가깝다”고 했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도 지난 2일 뉴욕타임즈 인터뷰에서 “가상화폐는 전혀 쓸모가 없다”고 했다.

장기 정책은 ‘우호적’···“실행 의지 봐야”

트럼프 대통령이 3대 교역국인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절차에 착수해 ‘무역전쟁’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는 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 한수빈 기자


그럼에도 시장 전망이 비관적으로 돌아선 것은 아니다. 트럼프 2기 정부에서 가상자산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도 여전히 많다. 트럼프 정부의 정책이 가장자산의 제도권 편입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카드를 협상용으로 쓸 가능성이 큰 만큼 관세 이슈가 일단락되고 가상자산 정책 추진이 본격화될 올 하반기에는 가격이 반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책 환경은 우호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3일 ‘가상화폐 실무 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비트코인을 디지털 전략자산으로 간주해 비축하는 내용이 검토될 것으로 예측된다. 실무그룹은 6개월 내 가상자산 입법 관련 보고서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출하게 된다. 정부 기관도 보조를 맞추고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지난달 21일 가상화폐 태스크포스(TF)를 신설했다. 미국 플로리다·메릴랜드 주에서는 주 정부가 비트코인·가상자산에 투자하도록 허용하는 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직책에도 가상자산에 우호적인 인물이 다수 포진해있다. 정부효율성 부서 수장인 일론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대표적이다. J.D 밴스 부통령도 직접 비트코인을 보유한 가상자산 우호론자로 알려져 있다. 폴 앳킨스 SEC 의장 역시 가상자산에 우호적인 인물이다.

달러와 연동되는 스테이블 코인 발행 확대도 가상자산 시장의 기대감을 키우는 요소다. 그간 일반 화폐에 비해 약점으로 꼽힌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달러 패권 강화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과도 맞닿아 있다. 스테이블 코인 시장은 지난해에만 전년 대비 48% 성장했다.

다만 발표된 내용의 실행 과정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홍기훈 홍익대 경영학부 교수는 “디지털 전략자산 추진도 연준의 동의를 받고 예산을 확보해야 하는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면서 “이미 비트코인 가격에 트럼프 행정부의 친 가상자산 정책 내용이 선반영된 상태라 지금보다 더 오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정책이 공염불에 그칠 가능성도 있으니 트럼프 대통령이 실현 의지가 있는지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05 숨진 하늘이 아버지 “악플러들 처벌받게 할 것” 랭크뉴스 2025.02.12
46004 구속된 尹, 깔끔 머리에 시계 착용…"스타일리스트가 한 것, 특혜 없다" 랭크뉴스 2025.02.12
46003 [영상] 김민석 “국힘, 100일 안에 윤석열 부정하고 간판 바꿔 달 것” 랭크뉴스 2025.02.12
46002 [단독] ‘계엄 국회 사전동의’ 개정안에 입법조사처 “개헌 사안” 랭크뉴스 2025.02.12
46001 “장원영이 꿈” 김하늘양 빈소에 걸그룹 ‘아이브’ 근조화환 랭크뉴스 2025.02.12
46000 표창원 "초등교사 살인, 우울증 본질 아냐…계획성·잔혹성 봐야" 랭크뉴스 2025.02.12
45999 BTS 한복 정장 디자인한 김리을 디자이너 숨져 랭크뉴스 2025.02.12
45998 [르포] 한국인 100만명 유전자 데이터 모이는 ‘인체자원은행’…“희소·유전질환 해결법 찾는다" 랭크뉴스 2025.02.12
45997 법무대행 "尹헤어 스타일리스트가 한 것…비용지원·특혜 없어" 랭크뉴스 2025.02.12
45996 임종석 “팬덤은 일종의 종교집단… 많은 정치인 영혼마저 팔아” 랭크뉴스 2025.02.12
45995 가계대출 줄긴 줄었는데···은행 주담대는 증가세 유지 중 랭크뉴스 2025.02.12
45994 "심신미약 아닌 계획살인 가능성" 하늘이 아빠 부검 동의한 이유 랭크뉴스 2025.02.12
45993 [속보]하늘양 아버지 “제2의 하늘이가 안 나오게 도와주세요” 랭크뉴스 2025.02.12
45992 전문가들이 본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우울증 무관한 계획적 ‘권위살인’…심신미약 인정 안 돼” 랭크뉴스 2025.02.12
45991 '음주 뺑소니' 김호중 2심서 "술타기 수법 쓰려던 것 아냐" 랭크뉴스 2025.02.12
45990 초등생 살해 교사 수사 본격화…부검 결과 "다발성 손상 사망"(종합) 랭크뉴스 2025.02.12
45989 기내서 승객 잘 때 신용카드 슬쩍…1억 쓴 50대 중국인 결국 랭크뉴스 2025.02.12
45988 ‘시청역 역주행’ 금고 7년6개월…법원 “급발진 인정 안 돼” 랭크뉴스 2025.02.12
45987 권성동 "헌재, 임의로 법 해석 '법치' 아닌 문형배 '인치'" 랭크뉴스 2025.02.12
45986 [단독] 녹십자, 톡신 시장 진출… 400억원에 이니바이오 인수 랭크뉴스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