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자기 마음대로 못하는 걸 못 견디는 사람 같다"며 "작은 잘못을 덮고, 덮다가 결국 더 큰 악이 됐다"고 말했습니다.

이 대표는 오늘 오전 유튜브 방송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해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배경을 이같이 분석했습니다.

계엄사태 후 처음으로 개별 인터뷰에 응한 이 대표는 "윤 대통령이 결국은 군정으로 갈 생각을 한 것 같다"며 "아마도 우크라이나의 젤렌스키 모델을 생각하지 않았나 의심된다"고 말했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출처: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이거를 퇴임한 후에 그러면 국민의힘에 누군가가 집권을 하면 본인의 안전이 유지되겠습니까? 본인이 모를 리가 없거든요. 탈출구는 딱 하나밖에 없다. 계속 본인이 집권하는 거밖에 없다. 유일한 길은 계엄이죠, 군정. 그리고 이분이 젤렌스키 모델을 좋아한다는 판단을 제가 했습니다. 전쟁을 하고 있으면 대통령 선거를 하지 않죠."

이재명 대표는 계엄 당일 상황과 관련해선 "국회에 빨리 들어오려고 아내가 엄청나게 과속을 했던 것 같다"며 "국회 안에선 숲에 숨어서 상황을 체크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당시 체포를 대비해 당의 지휘 체계를 살펴보고 대표 궐위 시의 지휘 순서까지 정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출처: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집사람도, 제 아내도 과속을 엄청나게 한 거 같고. 일단 제가 들어가서 계속 그, 그, 국회 숲이 있어요. 밤이니까 잘 안 보이잖아요. <숲에 숨어 있던 거?> 밖에서 계속 체크하는 거죠. 왜냐하면 제가 그때 사실은 비상체계를 준비해야 되니까."

이 대표는 "이들이 오랜 시간 철저히 계엄을 준비했지만, 기적적인 우연이 겹쳐 실패로 돌아갔다"며 국회로 모여 준 시민, 잘못된 명령을 이행하지 않았던 군인들에게 감사함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이 대표는 인터뷰에서 자신의 공직선거법 2심 재판과 최근 비명계로부터 제기된 대선 패배 책임 문제 등, 정치 현안에 대해서도 답했습니다.

이 대표는 "항소심 재판 절차가 굉장히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3월쯤 선고가 나지 않겠나 생각한다"며 '재판 지연' 의혹 제기를 일축했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출처: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지금 항소심은 사상 최대로 빨리하고 있어요. 법률이 정한 법정 기간을, 최대한 당겨가지고. (재판부에서) 공판 기일 전에 증거 조사, 정리, 신청서 다 내라고 그러더라고요. <엄청나게 신속하게 하는 거죠.> 네, 정말로 총알같이 하고 있는 거예요."

다만 이 대표는 '대법원 판결이 그로부터 두 달 안에 날 것 같냐'는 질문에는 "형사소송법 절차상 불가능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또 지난 대선 패배의 책임론을 두고는 "가장 큰 책임은 제게 있다"며 "불만이 있으면 당연히 말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출처: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대선에서 진 거는, 제일 큰 책임이 저한테 있어요. 저희 부족함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죠. 준비도 부족했을 거고, 자질도 부족한 점이 있고. 과거의 이력들 흠잡을 데가 있는 것이고요. 그런데 그거 자체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분들이 있죠. 당연히 지적할 수 있죠."

이 대표는 또 여당과의 소통을 두고는 "내가 먼저 숙여야 상대가 숙일 것"이라며 "나는 사실 국민의힘 의원들과 술도 한잔하고 토론도 하고 싶은데 전화를 안 받는다"고 웃으며 말하기도 했습니다.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701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같이 죽을 생각” new 랭크뉴스 2025.02.11
45700 초등생 살해 교사 체포·압수수색 영장 발부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99 헌재, 尹측 신문 도중 계속 끼어들자 "이래서 시간으로 규제"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98 살해 교사 “마지막 하교하는 아이 유인…누구든 같이 죽을 생각”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97 윤 대통령 “계엄 사후결재 가능”…이상민에게 ‘잘못 말했다’ 지적도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96 “계엄 해제 발표까지 왜 이렇게 오래 걸렸나” 김형두 재판관 신문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95 '유퀴즈' 출연 정신과 교수 "우울증은 죄가 없다…가해자는 죗값 치러야"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94 '국무회의 맞다' 이상민에게 "22시 17분 도착한 장관은‥"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93 '헌법재판소 불 지르겠다' 글 쓴 30대 구속‥"홧김에 글 썼다"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92 경기 중 상대 사타구니에 쓱…레즈비언 축구선수 '나쁜손'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91 한미사이언스, 형제 측 이사 2명 사의…“경영권 분쟁 종식 첫 걸음”(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90 밤부터 서울에 '최대 8㎝' 눈 내린다…"도로 결빙 주의"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89 계엄해제 의결에도‥尹, 군사시설서 한참 있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88 트럼프 “철강·알루미늄에 25%…자동차·반도체도 부과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87 [속보]경찰, 초등생 살해 여교사 체포·압수수색 영장 발부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86 정청래 ‘국회 권한’ 얘기에, 윤 대통령 “계엄은 대통령 권한”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85 "군인들이 오히려 시민에 폭행 당해"‥시민에 화살 돌린 윤 대통령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84 머스크 “오픈AI 141조에 팔아라”…올트먼 “우리가 14조에 트위터 살게”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83 “첫 승리다” 인권위 결정에 쏟아진 극우의 박수, 헌재 앞까지 향할까 new 랭크뉴스 2025.02.11
45682 살해 교사 "복직 사흘 뒤 짜증…어떤 아이든 같이 죽을 생각" new 랭크뉴스 2025.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