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곽노필의 미래창
100도-30도 2분씩 번갈아 8번 반복
이탈리아 과학자들이 계란 노른자와 흰자를 균일하게 익힐 수 있는 조리법을 개발했다. 픽사베이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계란은 ‘약방에 감초’처럼 우리 식탁에 늘상 올라 오는 식품 가운데 하나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추정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전 세계 계란 소비량은 1인당 연간 150개 안팎이다.

주성분이 단백질과 지방인 계란은 특히 우리 몸이 스스로 합성할 수 없어 식품을 통해 섭취해야 하는 9가지 필수 아미노산이 모두 들어 있는 완전한 단백질 식품이다. 비타민 A, D, E, K 같은 지용성 비타민과 비타민 B, 철, 칼슘, 인, 아연 등 미네랄도 다양해 필수 영양소를 한꺼번에 공급해주는 훌륭한 식품이다.

최근 영양학 학술지 뉴트리언츠에는 건강한 노인이 일주일에 계란 1~6개를 꾸준히 섭취하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29% 낮출 수 있다는 오스트레일리아 모나시대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하지만 가열 조리 과정에서 일부 영양소는 기름이나 열에 의해 손실될 수 있다.

이탈리아 나폴리의 페데리코2세대학 연구진이 영양과 식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삶은 계란’ 조리법을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커뮤니케이션스 엔지니어링’(Communications Engineering)에 발표했다.

계란을 삶을 때 문제는 흰자와 노른자의 조리 온도가 다르다는 점이다. 흰자는 85도에서 익지만 노른자가 익는 온도는 65도다. 따라서 노른자와 흰자가 균일하게 익지 않는다.

100도에서 12분 정도 삶는 완숙 달걀은 노른자가 필요 이상 굳어지는 반면, 60~70도에서 1시간 동안 익히는 수비드 달걀은 흰자가 절반 정도만 굳어 물컹쿨컹하다.


노른자는 수비드, 흰자는 반숙 계란 비슷

연구진은 유체 역학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다양한 조리 방법을 시험한 결과, 끓는 물과 따뜻한 물에 번갈아 익히면 이 문제가 해결된다는 걸 알아냈다.

연구진이 ‘주기적 계란 조리법’이라고 명명한 이 방법은 중간 크기(63~73g) 계란을 100도 끓는 물과 30도 미지근한 물에 2분씩 담갔다 빼는 주기를 8번 반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계란 삶는 데 걸리는 시간은 총 32분이다. 달걀 완숙에 필요한 12분보다 약 3배가 더 걸린다.

연구진은 “이 조리법으로 삶은 계란은 흰자와 노른자가 모두 균일한 질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요즘 유행하는 말로 흰자와 노른자가 ‘이븐하게’ 익었다는 얘기다. 조리가 진행되는 동안 흰자의 온도는 100~87도, 30~55를 번갈아 오갔고, 노른자는 67도를 유지했다. 주기적 조리법으로 삶은 계란의 질감은 노른자는 수비드와 비슷했고, 흰자는 반숙과 매우 비슷했다.

반숙과 수비드라는 두 가지 조리법을 동시에 구현한 셈이다. 연구진은 “노른자는 65도 일정한 온도에서 조리한 것과 가장 유사하고 흰자는 100도에서 조리한 것과 가장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더 많아

연구진은 다소 번거롭고 시간이 걸리지만 주기적 조리로 삶은 계란은 건강에 더 좋은 이점이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이 대표적으로 꼽은 것은 기존 조리 방식보다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이 노른자에 더 많았다는 점이다. 연구진은 “영양 성분에서 주기적 조리가 가장 유리한 조리법이라는 점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주기법은 계란이 아닌 다른 식품이나 물질을 익히거나 결정화하는 데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진도 인정하듯이 주기적 조리법으로 집에서 계란을 익혀 먹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하지만 다른 조리법에 비해 건강상의 이점이 있다는 점을 내세워 음식점 등에서 새로운 메뉴로 개발할 수 있는 여지는 있어 보인다.

*논문 정보

Periodic cooking of eggs. Commun Eng 4, 5 (2025).

https://doi.org/10.1038/s44172-024-00334-w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71 홍준표, 김문수 겨냥 "김구 선생 국적이 중국? 기상천외한 답변" 랭크뉴스 2025.02.15
47570 트럼프 "4월 2일쯤 수입차 관세"‥한국 자동차 '직격탄' 랭크뉴스 2025.02.15
47569 뮌헨서 만난 밴스·젤렌스키…우크라 종전 논의 본격화 랭크뉴스 2025.02.15
47568 예고된 미국 ‘상호 관세’…농산물 시장도 영향? 랭크뉴스 2025.02.15
47567 "저희 화교 아닙니다"…'중증외상센터' 원작자 폭발한 이유 랭크뉴스 2025.02.15
47566 광주 등장한 황현필 ‘역사 바로잡기’ “민주성지에 내란세력이…” 랭크뉴스 2025.02.15
47565 젤렌스키 “우크라·유럽 협정에 반드시 참여해야” 랭크뉴스 2025.02.15
47564 한미 첫 외교장관회담…루비오 “한국과 북핵 문제 공조” 랭크뉴스 2025.02.15
47563 李 "상속세 때문에 집팔지 않도록"…與 "거짓말 스피커 누가 믿나"(종합2보) 랭크뉴스 2025.02.15
47562 한미 "北완전한 비핵화 견지…대북정책 수립·이행서 긴밀 공조"(종합2보) 랭크뉴스 2025.02.15
47561 “문형배 내려와” vs “윤석열 파면” 둘로 쪼개진 광화문 랭크뉴스 2025.02.15
47560 '서울대 의대' 합격했는데 포기한 단 '1명'…대체 누구길래 랭크뉴스 2025.02.15
47559 中 왕이 "미국과 같은 방향 가길…중국 억압하면 끝까지 맞설 수밖에" 랭크뉴스 2025.02.15
47558 [속보] 한미 "北완전한 비핵화 견지…대북정책 수립서 공조" 랭크뉴스 2025.02.15
47557 1159회 로또 1등 23명…당첨금 각 12억8000 랭크뉴스 2025.02.15
47556 [단독] '6명 사망' 부산 반얀트리 화재‥사고 당일까지 소방점검했다 랭크뉴스 2025.02.15
47555 [단독] 檢, 모레 '공천개입' 수사 발표‥이제야 尹 부부 겨누나 랭크뉴스 2025.02.15
47554 자동차도 관세 폭탄…트럼프 “4월 2일부터 부과” 랭크뉴스 2025.02.15
47553 필리핀서 납치된 한국 교민, 6일 만에 무사히 가족 품으로 랭크뉴스 2025.02.15
47552 황현필 강사 "광주서 내란 옹호 집회 용서 안 돼" 전한길 비판 랭크뉴스 202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