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모든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각) 멕시코만을 미국만으로 개칭하는 선언문에 서명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에 관련 제품을 수출하는 모든 국가에 영향을 끼치는 ‘보편 관세’를 본격화한 탓에 한국도 직접적인 사정권에 들어가게 됐다. 당장 연간 263만톤까지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는 대미 철강 수출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각) 전용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25%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계획을 10일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발 보편 관세의 신호탄으로 이 발언을 해석한다. 정부 출범 후 중국·캐나다·멕시코 등 ‘특정 국가’를 상대로 한 관세 인상 계획만 내놨던 터다.

관세 전쟁의 범위가 넓어지자 한국도 직접적인 영향권에 놓이게 됐다. 현재 우리나라는 미국에 철강을 수출할 때 연간 263만톤까지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한국은 미국 철강 수입 시장에서 캐나다·브라질·멕시코에 이어 네번째로 철강제품을 많이 팔고 있다. 한국의 미 철강 수입 시장 점유율은 9.7%(2024년 기준·미 철강협회 기준)다.


트럼프 발언이 현실화되면 한국 수출 철강제품 값은 순식간에 25% 뛰게 된다.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수출이 줄고 그에 따른 미국 시장 내 철강제품 공급 감소분 중 일부는 유에스(US)스틸 등 미국 현지 업체가 메울 여지가 있다. 미국 철강 소비 시장에서 수입 시장 비중은 약 30% 정도 된다. 건설·자동차 등 전방 산업의 부진과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의 공세로 감산과 공장 폐쇄에 나서고 있는 국내 철강제품 제조기업으로선 엎친 데 덮친 격이 되는 셈이다.

정부와 철강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속뜻을 알기 위해 분주한 분위기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 철강 무관세 쿼터(연간 263만톤)가 축소 또는 폐지되는 것인지는 아직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와의 사전 논의도 전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 핵심 관계자는 한겨레에 “트럼프 대통령 발언이 기존 국가 간 약속을 다 없애고 일괄적으로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인지 아직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1기(2017~2021) 때도 한국 철강 산업은 큰 위기를 맞은 바 있다. 당시에도 미 정부는 국가 안보를 내세워 철강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다만 협상을 거쳐 우리나라는 무관세 쿼터(직전 3년간 평균 수출량의 70%, 연간 263만톤)를 따냈으나, 대미 철강제품 수출량은 한해 만에 24.2%(330만→250만톤) 급감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1기 때처럼 협상을 통해 충격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한다. 협상 지렛대 중 하나로 국내 기업들의 대미 투자 확대가 거론된다. 한아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최근 국내 자동차·이차전지·반도체 기업들이 미국 현지에 공장을 짓는 등 투자를 많이 했다. 한국에서 미국에 수출한 철강이 이들 공장에도 많이 공급된다”며 “우리나라의 대미 철강 수출이 원활하지 못하면 미국 내 제조업 생산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을 협상 카드로 내세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1기 때도 협상을 통해 쿼터제를 따냈을 뿐만 아니라 철강제품 중 쿼터 제외 면세 품목도 추가로 얻어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미 철강 수출액이 쿼터 물량보다 많은 281만톤인 까닭이다. 조 바이든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조처로 대미 철강 수출 물량은 한때 300만톤(2022년)까지 불어나기도 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38 나경원 “더불어민주당이 계엄 유발”…민주 “대놓고 내란 선동” 랭크뉴스 2025.02.15
47537 “‘아무 일 없었다’는 궤변 동의한다면”···‘침묵의 대가’ 시 소개한 이재명 랭크뉴스 2025.02.15
47536 금남로에서 계엄옹호? "극우집회 선 넘었다" 시민들 분노 랭크뉴스 2025.02.15
47535 현실로 다가온 尹 부부 '공천 개입' 조사‥핵심 내용은? 랭크뉴스 2025.02.15
47534 78학번 태우고 출발합니다, 21년 만에 돌아온 '춘식이' 랭크뉴스 2025.02.15
47533 "싸장님 괜찮아요?" 뒤에서 '쾅'…교통사고 낸 외국인, 블박 메모리 들고 튀었다 랭크뉴스 2025.02.15
47532 젤렌스키 “우크라 뺀 협정, 절대 받아들이지 않겠다” 랭크뉴스 2025.02.15
47531 "조민 못 지켜 미안하다"는 전 부산대 총장…교육감 재선거 도전 랭크뉴스 2025.02.15
47530 ‘JMS 피해자’ 메이플, 홍콩 수영선수 출신 연예인과 결혼 랭크뉴스 2025.02.15
47529 "미국, 미군 배치 대가로 우크라이나 희토류 50% 지분 요구" 랭크뉴스 2025.02.15
47528 “미군 배치해줄테니 우크라 희토류 지분 절반 줘”…사업가 기질 드러낸 트럼프 랭크뉴스 2025.02.15
47527 서울대 교정서 탄핵 찬반 집회 ‘충돌’···“비켜” “끌어내” 아수라장 랭크뉴스 2025.02.15
47526 김하늘양 사건 후 '자녀 보호 앱' 주목…교사들은 '도청 우려' 랭크뉴스 2025.02.15
47525 "금남로를 못 지켜서 죄송합니다"… 속울음 삼킨 광주 랭크뉴스 2025.02.15
47524 광주 금남로서 맞붙은 ‘탄핵 찬성’ vs ‘탄핵 반대’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15
47523 광주는 달랐다···보수 ‘1만명’ 모이자, 시민 ‘2만명’ 집결 랭크뉴스 2025.02.15
47522 필리핀서 납치된 교민, 엿새 만에 구출…“건강 상태 양호” 랭크뉴스 2025.02.15
47521 반탄 3만명 vs 찬탄 2만명…경찰 차벽 두고 광주 금남로 두 쪽 랭크뉴스 2025.02.15
47520 88세 교황 ‘호흡 곤란 증세’로 입원···사흘간 일정 취소 랭크뉴스 2025.02.15
47519 광주·서울에서 외친 ‘민주주의’…“우리에겐 혐오 멈출 힘 있다” 랭크뉴스 202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