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모든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각) 멕시코만을 미국만으로 개칭하는 선언문에 서명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에 관련 제품을 수출하는 모든 국가에 영향을 끼치는 ‘보편 관세’를 본격화한 탓에 한국도 직접적인 사정권에 들어가게 됐다. 당장 연간 263만톤까지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는 대미 철강 수출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각) 전용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25%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계획을 10일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발 보편 관세의 신호탄으로 이 발언을 해석한다. 정부 출범 후 중국·캐나다·멕시코 등 ‘특정 국가’를 상대로 한 관세 인상 계획만 내놨던 터다.

관세 전쟁의 범위가 넓어지자 한국도 직접적인 영향권에 놓이게 됐다. 현재 우리나라는 미국에 철강을 수출할 때 연간 263만톤까지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한국은 미국 철강 수입 시장에서 캐나다·브라질·멕시코에 이어 네번째로 철강제품을 많이 팔고 있다. 한국의 미 철강 수입 시장 점유율은 9.7%(2024년 기준·미 철강협회 기준)다.


트럼프 발언이 현실화되면 한국 수출 철강제품 값은 순식간에 25% 뛰게 된다.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수출이 줄고 그에 따른 미국 시장 내 철강제품 공급 감소분 중 일부는 유에스(US)스틸 등 미국 현지 업체가 메울 여지가 있다. 미국 철강 소비 시장에서 수입 시장 비중은 약 30% 정도 된다. 건설·자동차 등 전방 산업의 부진과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의 공세로 감산과 공장 폐쇄에 나서고 있는 국내 철강제품 제조기업으로선 엎친 데 덮친 격이 되는 셈이다.

정부와 철강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속뜻을 알기 위해 분주한 분위기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 철강 무관세 쿼터(연간 263만톤)가 축소 또는 폐지되는 것인지는 아직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와의 사전 논의도 전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 핵심 관계자는 한겨레에 “트럼프 대통령 발언이 기존 국가 간 약속을 다 없애고 일괄적으로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인지 아직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1기(2017~2021) 때도 한국 철강 산업은 큰 위기를 맞은 바 있다. 당시에도 미 정부는 국가 안보를 내세워 철강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다만 협상을 거쳐 우리나라는 무관세 쿼터(직전 3년간 평균 수출량의 70%, 연간 263만톤)를 따냈으나, 대미 철강제품 수출량은 한해 만에 24.2%(330만→250만톤) 급감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1기 때처럼 협상을 통해 충격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한다. 협상 지렛대 중 하나로 국내 기업들의 대미 투자 확대가 거론된다. 한아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최근 국내 자동차·이차전지·반도체 기업들이 미국 현지에 공장을 짓는 등 투자를 많이 했다. 한국에서 미국에 수출한 철강이 이들 공장에도 많이 공급된다”며 “우리나라의 대미 철강 수출이 원활하지 못하면 미국 내 제조업 생산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을 협상 카드로 내세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1기 때도 협상을 통해 쿼터제를 따냈을 뿐만 아니라 철강제품 중 쿼터 제외 면세 품목도 추가로 얻어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미 철강 수출액이 쿼터 물량보다 많은 281만톤인 까닭이다. 조 바이든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조처로 대미 철강 수출 물량은 한때 300만톤(2022년)까지 불어나기도 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437 대전 초교 사망 8살 학생 아버지 “앱으로 현장 소리 들어”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36 [속보]윤석열 헌법재판소 도착···오늘 이상민 등 증인신문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35 '95년 역사' 여고에 '남학생 소변기' 생겼다…32개교 공학 전환, 왜 [사라지는 남학교·여학교]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34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발표‥"반도체·車도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33 피살 초등생父 "휴대폰 앱으로 소리 다 들었다, 100% 계획범죄"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32 ‘관세 전쟁’에도 코스피, 하루 만에 상승 출발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31 동료 죽음 이틀 뒤 “나와서 현장 치워야지”…변화 없는 ‘지옥’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30 '車, 칩, 철강'…트럼프, 韓 주력산업 다 때린다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29 이재명, 선거법 2심 “걱정 안해”…대법 5월 판결 “불가능”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28 [속보] 2월 1~10일 수출, 전년比 1% 증가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27 최상목 “임금체불 2조원 넘어···일자리 지원 조치 내놓겠다”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26 경쟁률 최고 2255 대 1…“아무일 없었다는 윤석열에 절망”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25 음주단속 피해 도망가다가 건물로 돌진…운전자 추적 중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24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발표…"반도체·車도 검토"(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23 “빠루는 기억이 잘…” 의원님들 온갖 꼼수에, 1심 재판만 5년째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22 [1보] 2월 1∼10일 수출 0.8% 증가…반도체·車 견인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21 [속보] 최상목 대행 “연금개혁 무엇보다 시급…초등생 사망 사건 깊은 애도”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20 윤석열 탄핵심판 7차 변론… 이상민·신원식 등 증인신문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19 하마스 "이스라엘, 휴전 합의 위반… 인질 석방 무기한 중단" 불안한 휴전 new 랭크뉴스 2025.02.11
45418 NJZ로 새출발 뉴진스, 홍콩으로 향하는 이유는 하니 불법 체류 탓? new 랭크뉴스 2025.02.11